새로운 대중의 탄생 - 흩어진 개인은 어떻게 대중이라는 권력이 되었는가
군터 게바우어.스벤 뤼커 지음, 염정용 옮김 / 21세기북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CORONA로 일상의 시계가 다르게 가는 요즘꼬꼬마들도 "지금 이 시국에?" 라는 말을 쓰더라. 이럴 걸 두고 '웃프다라고 할까? 꼬마들도 아는 걸까? 이 재난 상황이 사적 경험 차원이 아닌, 집합적 국가 차원의 문제로 다뤄짐을........

 

[새로운 대중의 탄생: 흩어진 개인은 어떻게 대중이라는 권력이 되었는가]를 하필 "이 시국에" 읽다 보니, 한국의 상황을 대입하느라 읽는 속도가 느려 졌다. (적어도 유럽에서) 20세기가 대중의 시기였다면,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진 21세기에 과연 대중은 매력을 잃었을까? 한결같이 '대중'이라는 동일한 단어에 현상을 담지만, 과연 과거의 '대중' 21세기의 '대중,' 그 속성은 얼마나 겹칠까? 이 책은 "개인주의 시대가 왔다는 일반적 가정과 달리 대중은 결코 사라진 적 없다...(중략)...새로운 대중이 생겨났다."(7)고 선언하며 시작된다. 베를린 자유대학의 철학 명예교수인 군터 게바우어와 마찬가지로 독일인 철학가인 스벤 뤼커가 함께 썼다. 유럽의 지성인 미셸 푸코, 하이데거, 한나 아렌트, 피에르 부르디외, 르네 지라르, 조르조 아감벤, 안토니오 네그리 등을 종횡무진 인용하고 에드거 알렌 포우와 카뮈의 소설부터 히치콕의 영화까지 다양한 소스를 끌어온다. 유럽의 역사와 정치적 상황에 익숙한 독자에게 아무래도 더 친절할 책이란 생각도 든다


대중은 본질적이고 항구적인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불명료한 개념이다. 그래서 공저자 군터 게바우어와 스벤 뤼커는 질문의 방향을 돌린다. ‘대중이란 무엇인가?’에서, ‘대중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어떤 원리로 대중이 움직이는가,’ 그리고 언제 우리는 대중이라고 말하는가? (316)’.  

대중 형성 과정부터 살펴보자. 먼저 많은 이들이 한 장소에 집결하는 것이 첫 단계이다[★광화문 광장★]. 이들에게는 공통의 지향성(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있다[★축구팀 응원★]. 이들은 일체화된 행동을 통해 강렬한 정서적 반응을 경험함으로써 생각 속의 대중을 형성한다[★붉은 티셔츠와 집합적 응원의 박수와 몸짓, 그리고 붉은 악마라는 상상의 공동체★]. ‘++++ + + += 우리가 되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자각을 통해 대중은 정치적 잠재력을 얻는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사회-정신적 동력이 대중을 형성하는가? (82)” 먼저, 집단 최면 상태에서 최면술사로서의 지도자 아래 최면 상태가 사회적으로 모방됨으로써 대중이 형성된다는 르봉의 해석이 있다. 프로이트나 엘리아스도 대중 형성에 대한 가설을 내 놓았다. 주목할 지점은 군터 게바우어와 스벤 뤼커가 보기에 이전의 대중과 군중 속에서 소멸되었다면 21세기, 새로운 대중 속에서 개인은 독자성을 잃는 것이 아니라 더욱 가치 있게, “개인적으로 풍부해진 것을 경험(111)”한다. 개개인이 스스로 최고 권력기관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믿고 권력과 직접 관계를 맺는 것이 그 한 예이다. 한 마디로 21세기에도 대중은 이전의 대전과는 다르지만 여전히 권력의 중심으로 움직인다. 그렇다면 더 생각해 볼 질문은 이 새로운 대중 속에서 각자의 사회적 역할, 정치적 의미는 무엇인가?


유럽 지성인들의 저서를 읽는 것은 언제나 도전이다. 도전하는 이가 부족한 탓이다. [새로운 대중의 탄생: 흩어진 개인은 어떻게 대중이라는 권력이 되었는가]를 하필, ‘이 시국에읽었기에 더욱 감흥이 컸고, 생각할 거리가 많았으나 1000자 내로 압축해내기에는 이해가 부족하다.


  냉전시대에 카네티가 완성했다는 이중 대중의 개념, 이 이중대중의 모방적 구조, 포퓰리즘적 대중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대의민주주의의 공격(Trump대통령의 트위터 소통도 한 예), 공간과 대중(대중이 신성한 공간의 파괴자가 아니라 되레 범속화시킴으로써 그 공간을 대중의, 거주 가능한 공간으로 되돌려내는 힘), 인터넷 등 메스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대중 역시 감염의 원리에 따라 작동함, 가상이 대중이 먼저하고 실제의 대중이 뒤따르는 예(2016 미국 대통령 선거전에서의 social bot, Crowd funding, Flash Mob, ‘독자층이라는 개념) 등등 [새로운 대중의 탄생: 흩어진 개인은 어떻게 대중이라는 권력이 되었는가]으로 새롭게 환기 받은 생각거리가 한 무더기이다. 이 맛에 책 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