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Child in Time]덕분에 메가박스(코엑스 점) 'Film Society'라는 상영관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십수년 자주 다니던 영화관이었는데, 요런 소규모(30석) 상영관을 운영하는 줄 몰랐어요.

http://megabox.co.kr/?menuId=specialcontent-lounge&majorCode=06&minorCode=0602


명절 연휴에 혼자 영화를 봤네요. 서울, 경기권 전역에서 [Child in Time]의 유일한 상영관이 "메가박스 필름소사이어티" 뿐이기에 2좌석 예매를 했어요. 영화보자고 초대를 해도, 다들 쉬고 싶어하더라고요. 저도 자알 쉬었습니다. 혼자 영화보는 거, 힐링이네요.
예약했으나 비어 버린 좌석에는 노트북 가방과 선물받은 영화 포스터 2장을 눕혀 놓고, Venti 사이즈 뜨거운 라떼 마시며 93분짜리 영화, 잘 보았습니다.

저처럼 "이언 매큐언" 때문에 극장 찾은 분들 많을 것 같아요. 저는 그랬어요. 2019년, 알라디너 고수 분들이 큐피트 화살을 한 방향으로 날리시길래, 그 주인공 "이언 매큐언"이 도대체 어떤 글을 쓰는가 궁금해서 작년에 조금 읽었지요. [Child in Time]은 아직 읽지 못했어요. 번역판은 2020년에 출간되었더라고요. 메가박스 필름소사이어티에서 "이언 매큐언 기획전" 상영중이니, 팬인데 모르셨다면 한 번 찾아보세요.

트레일러로 내용을 살짝 엿본데다가, 다른 분들 리뷰에서 '부성애'가 키워드로 올라오기에, 줄거리를 짐작했지요. 아이를 갑자기 잃고(아마 유괴당했을테고), 삶이 피폐해진 그러나 아이를 기다리는 부부의 이야기일거라고. 물론, 그 내용입니다. 헐리우드 영화스타일 반전은 없었습니다. 아이는 계속 부재하고, 주인공의 상상의 세계에서 이야기하고 웃고 손을 내밀 뿐.
*
그러나, 그렇게 밋밋한 드라마는 이언 매큐언 스타일이 아니죠. 이 안에, 영국 정부의 육아정책에 대한 비판, 어린이와 유년기 예찬, 치유와 인간 간 소통의 매체로서의 음악 등 여러 메시지를 동시에 담아냅니다. 영화 보고 나와서, 거진 2시간 내내 이 영화와 소설, 그리고 배우에 대한 서칭을 했습니다. 그 정도로 제게는 참 와 닿는 영화였어요.

영화를 다 보고 나서, 이 두 장의 스틸컷을 보면 아주 다른 느낌일 거예요. 주인공이 응시하는 대상은 물론 다른데, 시공간을 초월해서 연결되어 있어요. 타임머신 탄 것도 아닌데, 물질 세계를 넘어서서 존재와 존재가 교감하는 장면입니다. 인간의 용어를 빌자면 '세대generation'을 넘어섰고, 직선상의 시간 도형이 구부러져 한 점에서 만나는 장면입니다.
의미 깊습니다.
*
만약 이런 식으로 존재, 특히 아이들의 존재를 생각하기 시작하면 남의 아이도 내 아이, 모르는 아이도 우리 모두의 아이가 될 수 있기에 함부로 대할 수 없겠다는 소박한 생각도 해봤습니다.
**
위 사진 속, 주인공은 아직 그 '넘나드는 존재들의 끈'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아래 사진 속에서 어떤 대상을 응시하며 미소지을 수 있는 이유는, 그 연결성에 대한 감을 잡았기 때문이죠.
제게는 어떤 긴 영화리뷰보다도 이 두 장의 사진이 의미깊게 남을 것 같아요.
*
오늘 내일 사이로 [Child in Time]의 상영관이 zero가 될 듯 합니다. 혹 못 보시는 분들은 나중에 원작 소설을 읽으시면 되겠네요. 저도 그렇게 하려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