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사회 - 폭염은 사회를 어떻게 바꿨나
에릭 클라이넨버그 지음, 홍경탁 옮김 / 글항아리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뉴욕대 사회학과 교수인 에릭 클라이넨버그Eric Klinenberg 교수가 24세, 버클리 사회학과 대학원 입시를 준비하던 1995년 7월, 폭염(Heat Wave)이 시카고를 강타했다. 하지만 불과 한 달만에 같은 미국 안에서도 이 폭염은 기억에서 사라져가고 있었기에 클라이넨버그는 혼란스러워졌다. 이에 그가 이 폭염에 대해 "사회적 부검(social autopsy)"를 서둘러야겠다는 학자적 의무로 메스를 들어 5년여의 연구 끝에 내놓은 책이 [Heat Wave: A Social Autopsy of Disaster in Chicago]. 



초판은 2002년, 새로 쓴 서문을 곁들인 재판은 2015년 발간되었는데 한국어 번역판은 2018년에 출간되었다. 당시 내 관심은 홍경탁 번역자가 번역작업을 시작한 시점이었는데, 2018년 여름 한국 뉴스에 연일 "폭염 사망자"가 키워드로 등장했다. 따라서, 폭염이 단순히 기후재앙이 아닌 사회적 재앙이자 사회극(social drama)라는 인식, 적어도 폭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던 딱 그 시점에 이 책이 출간되었으니 기막힌 타이밍이었다. 내 기억으로, 이 두꺼운(참고문헌까지 450여 쪽을 가뿐히 넘긴) 사회학 책은 이례적으로 온라인 서점의 메인 페이지에 수 주간 올라왔다. 번역자가 수년전부터 2018년 여름 발간을 목표로 꾸준히 작업해왔을까? 아니면 2018년의 기록적 폭염 사태를 계기로 초인적 스피드로 번역해냈을까, 몹시 궁금했다. 또한 얼마나 팔렸을까? 출판사 영업 비밀이겠지만 몹시 궁금하다. 짐작하건대 김승섭 교수의 베스트셀러 [아픔이 길이 되려면]에서도 이 책을 언급했기에 더욱 많은 독자들이 찾았을 것 같다. 그렇다면 정말 다행이다. 


  김승섭 교수가 이미 두 권의 스테디셀러를 통해 "사회역학"의 지향을 일반에 알렸지만, [폭염사회]는 구체로서의 적용을 보여준다. 또한 적어도 클라이넨버그 교수가 2015년 재판 서문을 쓸 때만 해도 변방에 있던 "환경사회학environmental sociology)"의 관심영역과 기여가능성을 제대로 보여준다. 무엇보다, 왜 같은 폭염 아래 누가 더 죽음에 취약한지 그 취약이 개인의 실패가 아니라 사회적인 동시에 정치적 실패라는 경종을 독자들에게 울려준다. 1995년 7월 시카고 폭염의 경우, 취약한 이들은 그저 에어컨이 없거나, 수도세를 낼 돈이 없어 물공급이 끊긴 가난한 사람들이 아니었다. 사회적 연망에서 고립된 이들이었다. 보다 엄밀히는 사회적 연망자체가 생길 여지가 낮은 공동체 사람들이었다. 


사회학자로서의 에릭 클라이넨버그는 CDC로 대변되는 보건학자들과 다른 접근으로 1995년 시카고의 폭염을 "사회적 부검"했다. 역시 "다행이자 고맙게도" 이 면밀한 부검은 일회용 보고서로 끝나지 않고 이후 기후재앙에 대비한 시스템 구축에 실제적 거름이 되었다고 한다. 단순히 첨단기술 업그레이드 뿐 아니라 공동체의 회복 탄력성 높이기 등 사회적 대응기반구축이 따랐다. "폭염은 사회를 어떻게 바꿨나"의 한국어판 부제에 대한 답이 되지 않을까 한다.  









2002년 초판 출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