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의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진 이유 - 고기를 굽기 전, 우리가 꼭 생각해봐야 할 철학적 질문들
최훈 지음 / 사월의책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원대학교 최훈 교수님의 신작, [동물윤리 대논쟁] 읽어야겠지만 나는 만에 다시 2012 저작인 [철학자의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진 이유] 돌아갔다. 최훈 교수 역시 서울대학교 철학과 전공 교과였던 '현대 윤리학' 에서 [실천 윤리학](피터 싱어)를 통해 처음으로 "채식주의"를 들어본 이후, 대학원진학, 논문집필, 대학강의 등의 과정과정에서 [실천 윤리학]을 20여년 동안 여러번 다시 읽었다고 한다. 이론과 실천은 별개라고, 책은 열심히 읽었으나 삼계탕 잡뼈까지 쪽쪽 발라먹을 정도로 고기 잘 드시던 그가 어느 날 갑자기 붉은 고기와 빠이한다. 이후, 닭고기(하얀 고기)까지 빠이하면서 스스로 "반쪽짜리 채식주의자"라 하는데, 그에 따르면 "채식한다"와 "채식을 지향한다"가 엄연히 다르다. 나는 "채식을 지향"하는 쪽에 해당할텐데, 최훈 교수와 같은 윤리적 채식주의자 근처에도 못 가는, 그냥 취향에 따른 채식 지향자일뿐이다. 아래의 인용을 읽어보면 그가 채식주의자를 동기에 따라 범주화하는 데 있어 '일반화 가능성'이 얼마나 중요한 항목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자이나교도나 프루테리언은 윤리적 채식주의자가 아니다. 종교적이거나 정서적 취향에 의거해 먹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나는 이런 사람들을 채식주의자인 것처럼 소개하는 [고기 없인  살아! 정말  살아?] 읽으면서 마음이  불편했다.채식주의자는 보통 사람들이   없는 괴팍한 짓이나 실천하는 사람이라는 인상을   있기 때문이다 (305)."

 

윤리적 채식주의를 지향하는 그는 동물의 고통을 외면하는 것은 일종의 "종차별주의(speciesism Richard Ryder 1970)"라면서 외계인 에일리언이 인류를 식육하는 에피소드에 비유했다. 놀랍게도 호주에서는 문어, 낙지를 기절 시킨 후에 끓는 물에 넣는 것을 법제화했다고 하는데 검색어를 잘못 잡아서 인지, 실제 법안을 확인하지는 못했다. 또한 EU에서 2013년부터 시행한다는 Sow Stoll Ban이 실제 어느 수준으로 준수되고 있는지도 온라인 상의 자료만 확인해서는 궁금증이 다 풀리지 않는다. 부제 "철학, 채식을 말하다"인만큼 철학, 특히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 이론과 톰 리건의 권리이론을 바탕으로 윤리적 채식의 당위와 나아갈 행동강령 등을 소개하고 있는데, 한 걸음 더 들어가고 싶다. 최훈 교수도 현장의 목소리를 살리지 못하고 문헌에 의존하는 수 밖에 없는 시간적, 인맥적(예를 들어 도축장에는 대통령도 발을 들이기 어렵다하는데?) 제한으로 인한 아쉬움을 토로했는데, 실제 사람들이 어떤 동기에서 채식을 (지향)하고, 채식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한 계단 내려와서 살펴보고 싶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