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현의 과학책방 - 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이명현 지음 / 사월의책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자고 그런 맹랑한 상상을 했는지 모르겠다. [이명현의 과학책방]을 읽는 내내, '작가님께 이런이런 팬레터를 써야지' 하며 문장 꽤 여러 줄 머릿 속에 모아놨는데 막상 책을 다 읽고 작가님의 이메일주소를 뒤지다보니 팬레터 예비 문장은 지워졌고, 이메일 디지털 발굴에도 실패했다. 실은 디지털 탐정노릇 과정에서 이명현 박사님이 일단 원고를 출판사에 넘기고 나면 뒤돌아보지 않는 스타일, 게다가 리뷰조차 안 읽는다고 하시는 인터뷰 기사를 확인했으니 이런 식으로 서평 팬 레터를 소심하게 남긴들 읽으실 리가 없겠다 판단했다. 설상가상, 불과 10년 전 건강문제로 힘드셨다는데 공중파방송, 팝캐스트, 여러 공공기관, 인디문화공간 도대체 인터뷰나 강연이 안 잡힌 날이 일년 365일 중 얼마나 있을지 모를 만큼 스케줄이 빡빡해보이신다. 독자들의 리뷰, 이 리뷰를 읽을 시간이 없으시겠다. 이쯤하면, 내가 팬 입문함을 신고하는 주제에 이미 스토커 수준에 닿아 있음을 자백하는 듯 하다. 



그 정도로 나는 [이명현의 과학책방]에 빠져 읽었고, 책 날개 앞뒤에 빼곡히 적힌 추천사며 그를 오래 알던 이들의 찬사에 격하게 공감하는 중이다. 



올리버 색스, 정대승, 이명현 



물리 시험 0점의 기적도 겪어본 나로서는 과학자들의 문체를 알 기회도 의지도 별로 없었는데, 그래도 이 세분의 글은 유독 일부러 찾아 읽어왔다. 특히 올리버 색스 교수의 [고맙습니다 Gratitude][모든 것은 그 자리에]는 내 매해 생일마다 또 선물 받아도 또 기쁠 것 같은 책들이다. 나는 종종 이처럼 경계넘나들기를 애써 추구하지 않아도 유년기 생활속에서부터 자연스레 삶으로 살아온 지적모험가들을 질투하는데, 역시나. 이명현 박사 역시 정신의학자와 사회학자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책을 밥처럼 자연스럽게 접해온 분이시다. 그러고 보니, 경계넘기의 대지성인으로서 둘째 가라면 서러울 제러드 다이아먼드나 올리버 색스 역시 의사인 아버지를 두었구나. 


이명현의 '과학책방'은 서평 모음집이다. 깔리고 깔린 게 서평 모아 펴낸 책들이라 솔직히, 처음엔 큰 기대 안했다. 여느 책과 다르다는 건, 몇 페이지 안 넘기고서 바로 알았다. 우선, 한달에 40여권 책 읽어내리던, 강의 준비하겠다면 몇 달 내내 다른 일을 일체 접고 종일 책만 읽던, 네델란드에서 박사 학위 받고 귀국해서 서점에서 50여권의 책을 사서 배낭에 매고 왔다는 이 분이 "속독" 습관을 반성하며 "정독"한 후 쓴 서평 모음이기에, 저자들에 대한 예우는 확실히 기본으로 탑재했다. 게다가, SETI과학자들과의 글로벌 인맥, 칼 세이건의 아내와 아들과의 개인적 연망, 현재 대한민국의 내노라하는 스타 과학저술가들과 막역한 친구로 보이는 광폭인맥 덕분에 가능한 뒷무대 에피소드를 쏠쏠 더해놨다. 평생 천문학에 천착해온 과학자로서의 전문성과, 그 전문성을 일반에게 해독가능한 언어로 전달하는 탁월한 능력이 더해져서 [이명현의 과학책방]은 느무느무 재밌고 유익하다. 


그야말로 책벌레, 타고난 학자 이명현의 개인적 성향에서 나아가 대한민국 과학계, 지구촌 과학계 그리고 우주와 기원에 대한 궁금증까지 품게하는 책이니 아. 부럽다! 일기 쓰듯 자신을 다 드러내놓고 편하게 서평을 써도, 그냥 베스트셀러감 글이 되는구나! 이명현 박사님, 부다 계속 건강 또 건강하셔서 좋은 글과 강연 많이 해주시기를. 스스로를 1980년대 조경철 Kids라 하시던데 2010, 2020년대 대한민국의 많은 어린이들이 '이명현 KIDS'로 자라나 세계에 기여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