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모험 - 인간과 나무가 걸어온 지적이고 아름다운 여정
맥스 애덤스 지음, 김희정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7월
평점 :
품절


스무 살, 그 땐 몰랐었지! "숲사람"으로서 살 수 있도록 인생의 물줄기를 틀어 놓을 생각조차 못했던 FM범생이라니! 아쉽다 못해서 질투한다. "숲사람"들을. 『나무의 시간』(김민식, 2019)과 『나무의 모험』(맥스 애덤스, 2019) 덕분에 든 감정이다. 



 『나무의 시간』과 『나무의 모험』. 각각 한국의 "나무 보헤미안"이라는 내촌목공소 대표 김민식과 영국의 고고학자 맥스 아담스(Max Adams)가 썼다. 직업, 국적 그리고 재주가 판이한 두 사람인데, 어찌 그 성품의 대범함과 가공하지 않은 겸손함이 공명하는지 "숲사람"의 공통점인가 싶었다. 혹시라도 두 작가가 한 자리에 만난다면, 그 대화 자체가 바로 책이 되지 않을까하는 즐거운 상상을 해본다. 


2019년 여름, 『나무의 시간』과 『나무의 모험』에 얼마나 큰 영감과 위안을 받았는지, 마치 48시간 내내 에어컨 냉기에 곱아있던 피부 감각이 비온 직후 숲이 뿜어내는 피톤치드 덕분에 되살아난 듯 하다. 이 두 작가는 나무와 숲을 대상으로서 낭만화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숲 사이의 공존과 순환의 원리를 겸허히 인정하고 생명의 원천으로서 숲의 가치를 세상에 전해왔다. 山이 좋다며 목숨 걸고 산에 오르거나 아예 숲으로 은둔하는 이들도 있지만, 김민식과 맥스 아담스는 소위 세속적인 명예와 부도 확보하면서도 숲의 전령으로서 양 세계 넘나들기에도 성공한 듯 보인다. 어찌 부럽지 않을 수 있으리!




"나무"를 분모 삼는 책 제목만큼이나, 두 작가의 성품이나 지향에도 공통점이 보인다. 다른 점을 굳이 집어내 본다면 김민식은 나무를 "경재제"로, 즉 자원으로 활용할 고마운 수단으로서 보는 시각이 강하고도 행간에 "(내촌목공소) 나무 장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장인 정신을 보인다. 반면, 맥스 아담스는 학자적 성향이 강하고 "숲"을 키워드로 세상 근간에 변혁을 일으키켜는 사회운동가 같다고나 할까? 맥스 아담스는 16만 제곱미터 면적의 삼림지를 가꾸며, 나무를 직접 깎고 다듬어 가구와 도구를 만들고 숯으로 만들어 판매도 한다. 실은 『나무의 모험』이 고고학자인 작가의 전문가적 식견이 반영된 학술서 일 거라 생각했다가, 맥스 애덤스가 울타리를 새로 고치거나 갈이 틀로 탁자를 만드는 소소해 보이는 이야기가 중간중간 나와서 의아했다. 의아함은 책의 마지막 장인 "Lesson 12 나무의 내일"에서 해소되는데, 그의 주장은 잘 보여주는 문단을 옮겨본다. 

나는 종이를 더 많이 소비하라고 권하고 싶다... (중략)... 숲이 돈이 되면 숲의 생존이 보장된다. 나무가 가진 경제적 가치를 보지 못하고 나무의 경제학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지 못한 채, 감상적으로만 나무를 대하고 숲을 갈아엎어 특용 작물을 기르거나 초원으로 바꾸려고 하는 순간, 숲의 운명은 끝나는 것이다. 그러니 이 책을 보며 펄프가 된 나무를 위해 눈물 흘리지 말자. 책 한 권을 더 사는 것이 숲을 구하는 것이다. [나무의 모험] 345쪽


나무를 더 많이 심고, 활용하는 것은 인간의 경제를 위한 것이기 이전에 나무, 즉 숲의 생존과 직결된다는 깊은 속뜻이 느껴진다. 아담 애덤스는 말뿐이 숲사랑이 아니라 사회운동으로서의 실천도 병행하는데, 자국인 영국뿐 아니라 세계에 숲과 정원 조성하는 사업에 힘을 쓰고 있다. "더 많은 사람이 숲속에 살았으면 좋겠다"라는 그의 현명한 바람이 현실이 되려면, 개개인의 자연친화성을 일깨우는 이상으로 국가가 현실적인 유인책과 지원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즉 "숲사람"으로 산다는 것이 자연으로의 자폐적 은둔이나 낭만이 아니라, 적극적인 사회운동과 동의어가 되려면 개개인의 각성 이전에 위정자의 시야가 근본적으로 트여야 한다고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