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국영의 언어 - 우리가 모르는 광동어 이야기 고려대중국학연구소 문화시리즈 5
조은정 지음 / 문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표준 중국어 일명 '만다린'어만 할 줄 안다. 그런데 홍콩과 광둥 지역을 포함하여 동남아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화교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바로 광둥어이다. 사용인구가 1억명에 달한다고 하니 중국의 방언 중 가히 대표적이라고 할 만하다. 


평 소 광둥어에 관심이 있었던 터라, 도서관 신간 코너에 꽂혀 있던 <장국영의 언어-우리가 모르는 광동어 이야기>를 집어 들었다. 고려대중국학연구소의 문화시리즈 중 제5권으로, 얄팍하여 두껍지 않고 일반인의 호기심도 자극할 만한 내용들이 곳곳에 눈에 띄었다. 글쓴이는 내 나이또래-적확하게는 나보다 한살 아래-로 성대 중문과를 졸업하고 대만국립사범대에서 광동어 연구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한 인물이다.


책의 앞부분에서는 광동어의 발음과 성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청각적 도움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읽기만 하니 '수박 겉핥기식' 으로 넘어갈 수 밖에 없었다.


나 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킨 부분은 케짬(茄汁)->케첩(ketchup), 라이치(荔枝)->리치(litchi), 딤쌈(点心)->딤섬(dim sum), 다이퐁(大风)->타이푼(typhoon)등의 영어 표현이 원래는 광동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점이었다. 특히, 대표적인 서양 소스로 알고 있던 케첩이 원래는 광동 지역 어민들이 만들어 먹었던 해산물 소스 '케짬'이 서구로 넘어가 토마토를 주재료로 사용하게 되면서 지금의 토마토 케첩이 되었다는 점이었다. 그런데 표준중국어로는 토마토 케첩은 '판체장(番茄酱)' 이라고 하는 등, 위와 같은 유래의 흔적을 전혀 찾아 볼 수 없다. 아마 종성이 발달되지 않았고 특히  'ㅁ, ㅂ'의 받침을 소리낼 수 없는 표준 중국어의 특징때문에 의역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로, 중국 북방에서 토마토는 주로 西红柿라고 하는 반면, 남방지방에서는  番茄라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영어에서 들어와 중국어 단어로 자리잡은 경우도 있다. 대륙에서는 택시를 '出租车'라는 반면, 홍콩등 광둥지역에서는 '的士'라고 하는데 이제 그 이유를 알 것 같다. 원래 的士는 영어 발음 taxi와 가장 가까운 광동어로 광동 지역에서는 的士를 '땍시'라고 발음했던 것이다. 그 후, 的士가 대륙으로 넘어오면서 택시를 의미하게 되었고 발음도 중국 표준 발음으로 '디스'라고 불렸던 것이다. 이와 같은 연유로 인해 중국 남방지역에서는 아직도 택시를 '出租车'보다는 '디스(的士)'라고 부르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택시(taxi)->땍시(的士)->디스(的士)


이 밖에도 대륙 표준어와 쓰임이 다른 단어들도 상당수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姑娘으로, 중국어로는 아가씨를 뜻하지만 광동어로는 '간호사'를 의미한단다. 이유인 즉, 과거 선교사들이 들어와 현대식 병원을 운영하면서 수녀들이 환자들을 돌보았는데 수녀들은 결혼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아가씨를 뜻하는 姑娘이 간호사로 그 의미가 확대되었단다.


그리고 영어를 중국 표준어에서는 뜻으로 번역한 반면, 광동어는 음으로 번역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쿠키(cookie)는 광동어로 콕케이(曲奇)인 반면, 표준 중국어로는 의역하여 '마른 떡'이라는 뜻의 '빙간(饼干)'이라고 한다. 이런 단어들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
 영어  광둥어
 표준 중국어
 젤리  jeiiy   嘟哩(찔레이)
 果冻(궈둥)
 스토로베리  strawberry  士多啤梨(사또뻬레이)  草莓(차오메이)
 넘버  number   冧巴(람바)  号码(하오마)
 바이올린  violin  歪乌连(와이우린)  小提琴(샤오티친)
 스탬프  stamp  士擔(시땀)  邮票(유파오)



젤리/찔레이, 바이올린/와이우린, 넘버/람바 등등 한국어와 광둥어는 영어 발음과 상당히 유사한 것에 비해, 의역한 표준 중국어는 원래의 영어 단어와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발음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와 같은 점 때문에 표준 중국어로 표기된 외국인 이름이나 지명등 고유명사는 일일히 사전을 찾거나 검색하지 않는 한 알 길이 없다. 설령, 의역하지 않고 발음대로 표기했다 하더라도 영어 발음에 가까운 광둥어에 비해 표준 중국어는 전혀 다른 발음처럼 들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베이커한무(贝克汉姆)가 축구스타 베컴(Beckham)이고, 지무카이리(吉姆凯利)가 영화배우 짐 캐리(Jim Carrey)라는 걸 발음만으로 어떻게 알 수 있단 말인가.  반면, 광둥어에서는 베컴은 碧咸(빽함), 짐 캐리는 占基利(찜께이레이)라고 표기하고 발음한다 하니, 표준 중국어보다는 원 발음에 훨씬 더 가깝다는 걸 쉽게 알 수 있다.


말도 안되는 상상이지만 만약 중국의 표준어가 지금의 북경지방언어가 아닌 광둥어로 결정되었다면 어떠했을까?  성조와 발음을 익히기 위해 훨씬 더 힘이 들었겠지만, 외국인 이름과 지명 등으로 혼란을 겪는 일은 지금보다는 훨씬 더 줄어들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소한 차이
연준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굳이 돈을 써가며 구입하진 않지만 한번쯤 진지(?)하게 눈길이 가는 책들이 있다. <사소한 차이> 도 아마 그런 종류에 속하지 않을까 싶다. 독서 계획표에 담겨 있지는 않지만 서점이나 도서관에서 우연히 만나게 되면 무심코 손이 가고 책장을 넘기게 된다.

많은 이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성공한 사람들의 이름을 나열하며 그들만이 갖고 있는 비밀스런 습관이나 행동을 서른 세 가지로 요약하여 보여준다. 책을 읽고 있노라면 내가 아직도 성공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고 있는 것이 그들처럼 훌륭한 습관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자괴감을 피할 수 없다.  

 

물론, 작은 차이가 모이고 쌓여 커다란 차이와 변화를 만들어낸다. 그렇지만 이런 사소한 차이가 성공을 부르는 결정적인 요소라고는 할 수 없지 않을까. <사소한 차이>와 같은 '처세술' 용 지침서들은 경쟁에 내몰려 있는 현대인들의 불안하고 조급한 심리를 잘 이용하여 마치 나도 책에서 언급한 좋은 습관만 갖는다면 성공할 수 있다는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2010년 상반기 <사소한 차이>가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자 그 뒤를 이어 <보이지 않는 차이>라는 책이 서점가에 등장했었다. 내용은 위대한 발명이나 아이디어의 탄생에 담겨 있는 비하인드 스토리(?)를 소개 나열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런 책들은 일단 읽기에 부담이 없다. 간결하고 짧은 문장에 누구나 공감하는 말들을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런 류의 책읽기는 진정한 '독서'라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마지막 장을 덮으면 모든 내용들이 망각의 블랙홀 속으로 사라져버리기 때문이다.


무릇, 좋은 책이란 좋은 내용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사색의 실마리를 제공해주는 책이다. 그리고 이처럼 생각에 잠길 수 있는 독서는 책을 읽는 과정에서 혹은 책을 다 읽고 난 후 끝없이 이어지는 진지한 질문과 대면하는 행위이다. 스스로 깨닫고 체득하지 않은 앎은 얄팍한 지식에 불과할 뿐, 진정한 지혜로 승화되지 못한다.


성공적인 삶을 절실히 바란다면 성공한 사람들의 습관이나 처세술을 모은 책을 읽을 것이 아니라 오히려 깊은 사색의 세계로 인도하는 책들을 가까이 해야 한다. 생각의 폭과 넓이가 확장되면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고 바라보는 관점 역시 그만큼 커지는 법이다.


그런데 이제 막 책읽는 습관을 갖추기 시작한 독서 초보자도 아니요 처세술 서적을 가급적 멀리하려 노력해 왔고 또 나름대로 독서 목록과 계획을 갖고 있는 내가 냉큼 이 책을 집어 들었다. 그리고 끝까지 정독을 했다. 역시, 베스트셀러를 여러 권 만들어낸 저자답다. 도서 구입을 위해 쉽사리 지갑을 열려 하지 않는 사람들을 유혹하는(?) 솜씨가 여간 아니다.


타성에 적은 일상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는 이들은 일독을 해도 무방할 듯...


참고로,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범인과 초인의 사소한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마감시한 이틀 앞당기기

2, 하기 싫은 일 3분 더하기

3, 가족과 함께 아침밥 먹기

4, 맨 앞자리에 앉기

5, 늘 펜을 가지고 다니기

6, 핸드폰 바탕화면에 목표 띄워 놓기

7, 약속 시간 15분 전에 도착하기

8, 노는 계획 먼저 세우기

9, 큰 소리로 먼저 인사하기

10, 처음 만난 사람에게 일주일 안에 이메일 보내기

11, 이름과 직위를 정확하게 부르기

12, 신용카드 잘라 버리기

13, 평생의 동반자, 취미 만들기

14, 3초 기다린 후에 대답하기

15, 만장구치면서 듣기

16, 닫힘 버튼 누르기 않기

17, 한 숟가락 덜어내고 밥 먹기

18, 매일 다른 사람과 점심 먹기

19, 흘리지 않고 밥 먹기

20, 하루 30분 걷거나 뛰기

21, 배웅은 엘리베이터 앞에서 하기

22, 모든 대답은 '예'로 시작하기

23, 잠자리에 들기 5분 전, 스스로에게 질문 던지기

24, 5분 안에 꿈 일기 쓰기

25, 종이 신문 꼼꼼하게 읽기

26, 책 한권 가지고 다니기

27, 일주일에 한 번 다른 길로 출퇴근하기

28, 가만히 앉아 사람 구경하기

29, 컴퓨터 끄고 퇴근하기

30, 모르는 척해주기

31, 안 좋은 이야기는 이메일로 보내지 않기

32, 없는 사람 칭찬하기

33, 나에게 고맙다고 말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책을 가져라 - 지식경영시대의 책쓰기 특강
송숙희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자신만의 책을 갖는 것은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일이 아닐까. 밀란 쿤데라는 한발 더 나아가 자신의 책을 쓰고 출판하고자 하는 욕망을 '그라포마니아'라고 명명하기까지 했다. 

 

책 썸네일

<당신의 책을 가져라>는 잡지사 기자와 출판 편집자 출신인 저자가 이런 현대인의 욕망을 포착하고, 그 욕망을 어서 빨리 실현하라고 '부추기는 책'이다. 저자 또한 책에서 다루고 있는 책 출판 방식을 몸소 증명하기라도 하 듯 2~3개월에 걸쳐 '속전속결'로 책을 만들어 낸 것 같다.

 

저자의 주장처럼 누구나 자신의 책을 손쉽게(?) 만들어낼 수 있고 또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물론, 별의별 사람들이 별의별 이야기를 책으로 엮어내고 있고, 또 평생 몸담아 온 분야에서 자신만의 노하우를 기록한 책들은 분명 가치있고 또 그런 책들을 출판하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일이다.

 

그렇지만 깊은 사색과 고민의 과정 없이 붕어빵 찍어 내듯 찍어내는 책들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책만들기를 도와주는 강의를 하고 관련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저자의 주장이 순수하게만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어쩌면, 저자는 자신의 사업 번창을 위해 세상을 뒤덮고 있는 많고 많은 인간의 욕망들 중 한가지를 자극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책 썸네일

자기만의 책을 갖고 싶다는 세상 사람들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책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널리 읽히는 고전 명작들을 보라.

하나같이 깊은 울림과 감동을 전해 주고 있지 않은가. 이런 울림이나 감동은 어떤 한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실용서적이나 개인의 삶을 기록한 일기나 수필 등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무릇 양서(良書)란...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전달해 주는 것이 아니라, 다 읽고 난 후 독자 스스로 질문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책 썸네일

신이란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등등...

나와 타인과 세상에 대한 진지한 그 '물음'말이다.

 

다시 고전을 읽어야겠다. 

중요한 지식과 정보를 배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위대한 질문을 던지기 위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썸네일

 

'인생은 타고난 운명이다'라는 말이 있다.

패기 만만한 사람들이 그렇듯 나 역시 이 말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미 정해져 있는 운명을 개인의 노력으로 바꿀 수 없다면 도대체 평범한 사람들은 삶의 의미를 어디서 찾는단 말인가?'

오히려 인생이란 타고난 운명을 스스로 바꾸고 새롭게 개척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내 앞에 쌓이는 세월의 두께가 더해갈수록 인생은 우연한 사건의 연속으로 이루어진다는 걸 점점 부인하기 어려워진다.


우선, 개인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나 '가족'을 선택할 권리는 아무에게도 주어지지 않는다. 그 누구도 부모나 자식 혹은 타고난 재능을 선택할 수는 없지 않은가.

 

곰곰히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하게도 지금 내가 누리고 있는 모든 것들이 사실은 내가 선택하지 않은-나의 노력여부와는 무관한- '부모'나 '가족' 혹은 '사회' 덕분인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신체적으로 건강한 것도,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을 받고, 평범한 사람으로 살아 갈 수 있는 것도 어쩌면 모두 자식을 위해 기꺼이 희생하는 부모 밑에서 태어난 것과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제도와 체제를 잘 갖추고 있는 사회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한번 생각해보라. 지나친 비약이긴 하지만 만약 아주 가난한 국가에서 기본적인 인품조차 갖추지 못한 부모 밑에서 태어났더라면 우리의 삶은 어떠했을까? 지금 누리고 있는 삶이 모두 자신의 전적인 노력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그래서 삶의 혜택을 아무 거리낌없이 누릴 자격이 스스로에게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을까?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바로 위와 같은 질문으로부터 시작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이 아무리 뛰어나고 눈물겹더라도 보통사람보다 월등히 많은 부와 혜택을 누리기에 충분하고 타당한 그런 '자격'은 그 누구에게도 없다.

 

그래서 우리는 너나할것없이 조금씩은 몸담고 있는 사회와 동시대인에게 빚을 지고 있으며, 기부와 배려 역시 바로 이와 같은 발상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마이클 샌델 교수의 '정의론'에 비추어 볼 때, '내돈 내맘대로 쓰면 죄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개인이 쌓은 부와 성공은 일정부분 아니 상당히 많은 부분이 자신의 노력에 의한 결과가 아닌, 우연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말한 우연의 결과란 물론 국적이나 부모 혹은 타고난 재능 처럼 개인의 노력이나 선택이 아닌 우연히 주어진 것들을 말한다.

 

 

그러므로...

정의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추구하는 것도 아니요,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는 것도 아니며, 보편적인 선 즉, 공동선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공동선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여러가지 답이 가능하겠지만 간단하게 말하면 양심에 비추어 부끄럽지 않은 것이다. 비록 내 삶을 불편하게 만들지언정 양심에 비추어 부끄럽지 않도록 행동하는 것 말이다.

 

 

지금 내가 누리고 있는 모든 혜택과 편리함이 사실은 개인적인 노력의 결과라기 보다는 우연히 얻어진 것이라는 자각이야말로 사회적 책임을 깨닫고 정의를 실천하는 첫걸음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쓰기의 모든 것 Part 2 : 묘사와 배경 - 독자를 사로잡는 이야기에는 섬세한 문장이 있다 소설쓰기의 모든 것 2
론 로젤 지음, 송민경 옮김 / 다른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쓰기의 모든 것> 시리즈 중, 두번째는 묘사와 배경이다. 지은이인 론로젤은 스스로 뛰어난 작가이면서 작가 지망생들에게 소설 작법을 가르치는 이름난 강사이기도 하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다 넘기고 나서도 한참이나 나는 론로젤을 당연히 여성이라고 생각했다. 왜 그랬을까? 굳이 뛰어난 작가에 여성이 많은 것도 아닌데 말이다. 그동안 나 자신도 모르게 섬세한 묘사와 탁월한 배경 설정은 여성작가의 전유물이라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었던 것 아니었는지...

론로젤은 말한다. 

누구나 소설에 어울리는 그럴듯한 발상과 아이디어를 떠올리지만 그들 모두가 이를 소설작품으로 완성하지 못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구체적인 묘사와 배경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그냥 줄줄 이야기만 나열한다면 마치 앙꼬 없는 단팥빵을 씹어 먹는 것처럼 맛이 없고 재미가 없다. 그렇다면 뛰어난 묘사와 배경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바로 작가의 치밀한 구상과 상상력에서 비롯된다. 그렇지만 모든 것을 상상력에만 의존할 수는 없는 일이다. 작가의 상상력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지금껏 접해보지 못한 전혀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 낼 수는 없는 일이다. 설령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미래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일지라도 인류의 과거나 현재의 모습을 바탕으로 약간 혹은 다소 많은 수정을 가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소설은 기본적으로 '그럴듯'해야만 한다. 즉, 언제 어디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어야만 독자의 호기심과 관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소설의 배경이란 바로 이 언제 어디서에 해당되는 시공간의 문제로 귀결된다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의 배경이 되는 '평사리'라는 장소는 작가의 고향인 경남 하동의 어느 마을일거라는 인상을 주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그럴 것이라는 추측에 불과할 뿐, 순전히 작가의 상상력에 의지해 창조된 마을이라고 한다. 토지의 배경 설정이 너무나도 그럴듯해서 이미 독자들은 작가가 만들어놓은 '평사리'라는 가상의 배경을 통해 허구의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다시 말하면 소설의 배경이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열고 들어가는 '옷장의 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배경이 그럴듯 할수록 작가는 독자를 훨씬 쉽게 자신이 꾸며낸 이야기의 속으로 이끌 수 있는 반면, 배경이 엉성할수록 독자가 이야기속으로 몰입하는 것을 방해하여 결국 독자를 속이는데 실패하고 만다.


론로젤은 <소설쓰기의 모든 것> Part 02 에서 좋은 소설작품은 배경 못지 않게 묘사가 훌륭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묘사는 구체적이어야 하지만 구구절절해서는 안되며, 정곡과 헛점을 놓치지 않고 파고들되 독자의 관심을 '꽉ㅡ' 불들어 매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국, 묘사와 배경은 독자의 두뇌활동을 자극하는 데에 앞장선다고도 할 수 있겠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사건이 일어날 수 밖에 없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지만 모든 것들을 설명해서는 안 된다. 소설의 성공 여부는 설명하는 데에 있지 않고 바로 보여주는 데에 있다. 일일히 설명하지 말고 보여줘라. 독자가 느끼고 상상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론로젤은 바로 이 점을 알려주기 위해 소설쓰기의 모든 것 part 02 에서 다양한 예문들을 제시하고 있다. 잊지말자. 소설은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보여주는 것임을......


'좋은 소설은 시공간을 초월한다.'

 대학교 시절 문학 수업시간에 교수로부터 이 말을 듣고 깊은 충격에 사로잡힌 바 있는 론로젤은 소설쓰기의 모든 것 part02 <묘사와 배경>를 이 이야기로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말은 진실이다. "좋은 소설은 배경과 묘사가 뛰어나지만 또한 배경과 묘사에 집착하지 않고 초월한다."


끝으로, 론로젤이 진부한 표현으로 언급한 '그림처럼 예쁘다’거나 인물이 ‘교회의 생쥐처럼 조용하다’거나 ‘머리 잘린 닭처럼 돌아다닌다’ 등의 표현은 첫번째 문장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신선한 표현으로 다가왔다. 아마 영어와 한국어라는 언어적 '배경'의 차이때문이리라. 그러므로 때론 외국소설을 읽으면서 원문이 그대로 들어난 번역투 문체-번역세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좋은 번역문장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를 통해 새로운 표현을 접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중국어 번역사로서 그동안 도착어를 기준으로 한 번역을 지향하는 편이었다. 그런데 만약 문화적 차이로 인해 원문식-출발어 위주의-표현이 한국 독자들에게는 전혀 새로운 표현으로 다가올 수 있다면, 도착어 위주의 번역을 할 것인지 아니면 출발어 위주의 번역을 할 것인지 다시 한번 고민에 빠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