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바이 삼성 - 이건희, 그리고 죽은 정의의 사회와 작별하기
김상봉 외 지음 / 꾸리에 / 2010년 10월
평점 :
이것은 진실을 알고 있는 자들에게만 전하는 메시지이다. 이미 우리 사회는 삼성에게 지배당한지 오래다. 한 기업이 한 나라를 이렇게 '식민지' 삼는 것은 역사상 유례 없는 일이다. 이 기업의 회장은 대통령에 버금가는 권력과 부, 그리고 명성(어떤 방향으로의 명성인가?)을 가지고 있다. 그는 자신의 기업에 반란을 일으키는 세력의 등장을 아예 막는다. 사실 이것은 모든 독재자들의 공통적인 특징 아니겠는가? 독재자가 시민군에게 무기를 쥐어주는 경우는 없으니까. 이제 늙어버린 ㅎㅈ(회장, 아니 황제)은 자신의 권력을 자식에게 세습하여 통치를 이어가려고 한다.
우리는 누구인가? 이 거대한 기업의 노예들이다. 어린 시절부터 철저하게 교육을 받아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 결국 우리나라 최고의 일류 기업이라고 일컬어지는 이 제국의 수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우리의 최종 목표다. 이 삼성 제국에 들어가기 위해 5살부터 20살까지 15년 동안 우리의 유년, 청소년 시절을 소비하게 한다. 그러나 이 제국에 들어가는 이들은 한정되어 있고, 사회는 이들을 성공한 사람,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패배자로 간주한다. 그리고 모든 문화는 이 제국에 의해 통제된다. 그러니까 국민은 두 강력한 세력에게 지배당하고 있는 셈이다. 하나는 우리가 '표'로 만든 정치적 세력, 다른 하나는 '돈'이 만들어 낸 경제의 세력.
물론 봉기의 세력은 있었다. 하지만 그들 대부분은 소수로 행동했고, 대기업의 거대한 음모 앞에 진압되고 말았다. 반란자들은 여러 수단을 동원하여 끊임없이 대항하고 있지만, 삼성 제국은 언론, 방송 등 모든 것을 통제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막지 못한 것은 우리의 영원한 유산, '책'이었다. 삼성 제국의 황제가 책을 읽는다면, 아마 『삼성을 생각한다』라는 책을 읽었을 것이다. 아마 그는 이 정신적 반란을 보고 깜짝 놀라 진압을 시작할 것이다. 그러나 물리적 저항이 금세 우리 기억 속에서 사라진다면, 정신적 반항은 끊임없이 세력 중에 회자된다. 결국 2차 반항이 시작된다. 『굿바이 삼성』이다. 이 책을 통해 삼성 제국을 무너뜨리려는 시도가 등장한다.
책을 통한 혁명이다. 혁명의 깃발을 이끄는 사람들은 김상봉, 김용철, 김재홍, 김진호, 류동민, 성현석, 우석훈, 이계삼, 이득재, 이택광, 조국, 최성각, 하승우, 홍윤기, 황광우다. 성격도, 하는 일도 모두 제각기인 이 사람들은 '삼성'이라는 하나의 독재 세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한데 뭉쳐, 각자만의 방식으로 삼성에 저항하는 방식을 알려주었다. 이들의 말하기는 매우 호소적이다. 제발 깨어나라고, 제발 혁명하자고 외친다. 하지만 나도 인정하기 싫은 사실은, 대부분의 국민들이 이미 삼성이 만들어 낸 물질과 문화의 노예가 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삼성이 만든 갤럭시, 전자 제품에 빠져 살며 우리나라의 미래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 그야말로 '죽은 정의의 사회'를 만들어버렸다. 이건희가 있는 한, 자유도 평등도 없다. 영원한 차별과 억압만 있을 뿐이다.
사실 나는 두렵다. 이건희 황제는 가히 '빅 브라더'를 연상시키니까. 조지 오웰의 미래소설 『1984』에서 절대적인 존재, 신과 같은 존재로 여겨지는 바로 그 인물 말이다. 안타깝게도 그의 미래소설은 현재가 되었고, 빅 브라더는 실존하는 강력한 세력이다. 이제 이 독재를 끊을 혁명이 일어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 자유가 찾아올까? 마음놓고 삼성을 하나의 '기업'으로 바라볼 수 있는 그 날까지, 혁명은 계속되어야 하리라. 삼성이 제국이 아니라 기업이 되는 것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기업은, 적어도 국민을 노예로 보지 않는다. 지금의 삼성은 너무나 변질되었다. 돈이 많다고 자신이 하나의 나라인 듯 착각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바보가 아닌 이상, 세상이 '돈'으로만 된다는 생각은 이제 버려야 할 때다. 세상은 돈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혁명을 시작한다. 굿바이, 삼성. 이것으로 시작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