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종종 아무도 없는 폐허 속을 홀로 걷는 상상을 한다. 모든 질서가 붕괴된 종말을 목격하고 싶다는 단순한 바람 때문이다. 그렇지만 종말 이후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생각해 보면 그저 막막하기만 하다. 제대로 된 생활을 할 수 없는 것은 물론이요, 알 수 없는 목적지를 향해 믿을 수 없는 사람들 사이에서 떠돌아야 하니 말이다. 무엇보다도 모든 것이 무너진 세상에서 내가 왜 살아남아야 하는지 의문이 들 것이다. 어쩌면 종말 이후의 삶은 세상이 아닌 자신과의 싸움일지도 모르겠다.


 『로드』의 부자가 그토록 살기 위해 투쟁한 까닭을 살펴보기 전에 작품의 제목인 로드(Road), 즉 길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자. 이름 모를 두 남자는 어떤 위협이 있을 때마다, 그리고 감당할 수 없는 추위가 닥칠 때마다 길에서 벗어나 몸을 피했다. 남자가 '나쁜 사람'들이라 부르는 낯선 무리들도 모두 길 위를 지나갔다. 이처럼 길은 파괴된 세상에서 만날 수 있는 모든 위험이 존재하는 곳이다. 그러나 주인공들은 길을 통해 목적지로 나아가고 길 위에서 새로운 공간을 발견한다. 언제나 그곳에서 그들은 새로운 만남을 이어간다. 즉 길은 두 사람이 필연적으로 거쳐야 할 시련의 공간인 동시에 희망의 지표인 것이다.

 

 익명의 부자가 살아남으려 했던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잿빛으로 가득한 땅, 부식된 건물들과 녹아버린 시체들로 채워진 도시, 희망이라고 생각했으나 그 기대를 철저히 삼켜버린 검은 바다, 그리고 참을 수 없는 정적의 시대이다. 무엇이 세상을 이렇게 만들었는지 코맥 매카시는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우주적 묘사를 통해 태양의 폭발로 인한 재앙이 일어났음을 암시한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멸망의 원인이 아니라 그 결과이다. 희망을 찾을 수 없지만 그들은 계속 걷는다. 그것은 아마 서로를 위한 투쟁일 것이다. 만약 남자 혼자 살아남았다면 그는 길 위에 주저앉았을 것이다. 남자의 힘과 행운, 그리고 타인을 향한 소년의 자비가 그들을 또 다른 희망으로 이어주었다. 이미 불조차 죽은 세상이기 때문에 죽음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문득 남아 있는 자들의 삶에 대해 떠올려 본다. 우리에겐 어떻게 죽을지가 아니라 어떻게 살 것인지가 훨씬 중요한 문제이다. 선택은 여러 가지다. 남자의 사랑, 소년의 순수함, 아니면 또 다른 생존자들이 추구하는 가치, 이들 중 어떤 것을 택하든 그것은 본인의 자유다. 하지만 모두가 함께 해결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 세상에서 나는 왜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 답을 창고 속에서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길 위에서 보여주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우리가 서 있는 세상은 코맥 매카시가 제시한 흑백사진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안에 훨씬 많은 색깔이 존재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