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문
이윤기 지음 / 열린책들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limin(접두사): 한계, 문턱

 

 <참말 하느님께서 여기 계셨는데도

 내가 모르고 있었구나.

 이 얼마나 두려운 곳인가.

 여기가 바로 하느님의 집이요,

 하늘의 문이로구나>

 

 이윤기는 윤동주를 떠올리게 한다. 비록 살았던 시대는 달랐지만, 그의 의식에는 언제나 일제강점기의 아픔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끊임없이 자기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끼며 성찰한다. 에피소드처럼 나열된 의식들은 하나의 주제를 향한 전제가 되고, 페이지가 더할수록, 문을 향한 달림은 빨라진다. 어디를 향한 문인가? 창세기에 묘사된, 야곱의 꿈에 나왔던 하늘의 문이다. 그 문이야말로 이윤기가 평생을 추구했던 길이요 삶이요 진리였다.

 

 도대체 이윤기, 라는 이 사람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 소설가도, 번역가도, 시인도, 그를 한 마디로 정의하기에는 부족하다. 나는 그를 '하늘의 문턱에 선 사람'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는 스스로를 "밖에 갇힌 자"라고 칭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 허물로 낙원을 잃고 밖에서 그 허물을 한하며 이를 가는 자. 열쇠가 들어 있는 낙원으로 열쇠 없이 들어가려고 하는 자. 따라서 문을 부수지 않고는 낙원에 들어갈 수 없는 자……." 이것이야말로 이윤기의 모습 그 자체이다.

 

 본래 『하늘의 문』은 1994년에 출간된 이윤기

자신의 자전적 모습이 담긴 소설이다. 

 

 『하늘의 문』에는 작가 자신의 자전적 모습이 다분히 투영되어 있다. 국토를 도보로 일주하려는 야망과 베트남 전 참전,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겪는 문화의 차이에 대한 깨달음, 자신의 근원을 찾아 떠난 여행. 이러한 부분은 번역하듯 묘사되어 있어 자서전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 그러나 이 방대한 분량의 소설에는 자전적인 면모만 담겨 있는 것이 아니라, 이윤기의 철학과 사상, 그리고 작품들이 곳곳에 숨어 하늘의 문으로 가는 단서를 제공한다. 이윤기는 '작가의 말'에서 이렇게 말했다. "<자전적인 소설>이라는 말은 늘 나를 당황하게 만들고는 합니다. 이 세상의 사물은 어차피 개인의 경험이라는 문맥 안에서 읽히기 마련이므로 소설이라고 하는 것은 어차피 모두 자전의 운명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지는 못한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때로는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도 인정해야 한다. 타인의 평가에 지나치게 얽매이는 것은 옳지 못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무시하는 것 역시 바른 방식이 아니다. 이윤기는 이 책 속에서 인정해야 할 것은 인정하고, 거기서 멈추지 않고 더 나은 삶을, 하늘의 문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바뀌어야하는 것은 세계가 아니라 바로 <나>다. 그런데, 나는 무엇인가?" 『하늘의 문』은 결국 고백록이다.

 

 한 마디로 이윤기는 그리스 인 조르바

이다.

 

 최근에 나는 이윤기의 딸, 이다혜가 번역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을 읽었다. 그리고 2013년에 사서 1년만에 『하늘의 문』을 완독했다. 그 동안 나는 정말로 즐거웠고, 이윤기의 삶을 존경하게 되었다. 문학평론가 이남호는 그를 소리꾼, 조르바, 똥폼의 사나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나는 그를 '문턱의 남자'라고 부른다. 사실, 난 아직 이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 내가 "문턱"이라는 말을 내 삶에 쓸 수 있다면, 그 때는 알게 되겠지.

 

 limin: 문턱, 경계.

 문턱: 1.문짝의 밑이 닿는 문지방의 윗부분.

 2. 어떤 일이 시작되거나 이루어지려는 무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limin으로서의 문턱: 두 경계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

 문턱의 남자는, 이분법의 세상에서 벗어난 하늘의 남자, 야곱인 것이다. 헬라인 야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