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톤엔젤
마가렛 로렌스 지음, 강수은 옮김 / 도서출판 삼화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여자는 아름다움에 관심이 많다. 그래서 여자는 아름다워지려고 많은 노력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 들수록 그 노력의 성과는 줄어든다. 아무리 아름다운 여자도 세월이 만드는 주름 앞에서는 무너지고 만다. 『스톤 엔젤』의 주인공 헤이거는 왕년에는 아름다웠던 시절이 있으나, 지금은 며느리와 아들과의 잦은 갈등으로 인해 양로원 안에 갇혀야 하는 신세다. 이 소설은 그녀의 과거를 추억하며 늙었던 여자의 젊은 시절을 회상하게 만들며, 요즘 세대간의 갈등을 잘 드러내고 있다(30여년 전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헤이거가 집에서 도망쳤을 때, 낡은 통조림 공장에서 만난 머레이 퍼니 리즈라는 여성과 만났을 때다. 두 사람은 처음 보는 사이지만, 보이지 않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두 사람 모두 여자이며, 담배를 필 줄 안다는 것 외에도). 두 사람이 함께 있으면, 마치 오랜 친구가 고민을 침묵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두 사람의 대화도 매우 깊이 있었고, '늙음'이라는 이 작품의 주제를 잘 드러내 준다.
처음에는 스톤 엔젤이 무슨 뜻인지 몰랐다. 돌로 된 천사상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나는 이 소설에서 종교적인 의미를 많이 보지 못했다. 과거야 어찌되었든 현재가 중요하니까. 『스톤 엔젤』은 과거를 이야기하지만, 그것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현재다. 현재? 헤이거는 한 때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종 '하갈'이었으나, 버림받고 방랑자가 되어, '돌'이 되어버리고 만 '엔젤'이다. 양로원 안에서는 모두 돌이 되어버린다. 늙음과 세월 앞에서 몸은 서서히 굳어간다. 그것이 아름다운 천사라고 할지라도.
이 책을 읽으며 가장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부분은 헤이거의 의식이다. 마빈과 도리스(아들과 며느리의 이름)와 의견 차이가 있을 때마다 그들에게 향하는 조소, 자신이 실수를 하고 난 뒤의 뒤늦은 후회. 무엇이 그녀를 그렇게 만들었는지 파악하며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어쨌든 나는 만족스럽게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