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세상 끝에서 외박 중 - MBC 다큐멘터리 <아마존의 눈물>, <남극의 눈물> 김진만 PD의
김진만 지음 / 리더스북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나는 <아마존의 눈물>과 <남극의 눈물>을 비롯한 '지구의 눈물' 시리즈를 보지 않았다. 그런 다큐에 관심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큐멘터리답지 않은 높은 관심 덕분에 이름은 많이 들어 보았다. 조에족과 남극 이야기는 tv를 보지 않은 나도 많이 접한 내용이었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끝나고 나면, 시청자들은 거기서 관심을 멈추게 된다. 그 뒤에 있을 삶은 생각하지 않는다. 다큐멘터리는 예능 프로그램 같은 다른 프로그램과는 큰 차이가 있다. 그런 것들은 방송만을 위해 짜여진 내용이다. 반면, 다큐멘터리에서 촬영하는 내용은 촬영 이전의 삶부터 계속되어 왔던 것이며, 촬영이 끝나도 계속된다. 그래, 다큐는 삶의 기록이다.

 

 그런 점에서 PD라는 직업은 참 놀랍다. 프로그램의 기획, 진행 과정, 프로그램이 방영될 때의 여파를 모두 알고 있으니까. 마치, 작가와 영화 감독이나 다름 없는 직업이다. 그래서 나에게는 '작가'와 '감독', 그리고 'PD'는 편한 직업이라는 인식이 나의 생각을 쥐어잡고 있었다. 하지만 『오늘도 세상 끝에서 외박 중』의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김진만 PD를 보니, 이 세 직업은 편한 직업이 아니라 힘든 직업인 듯 하다. 문명 사회에 적응되어 있던 한국인들이 문명의 손길에서 벗어난 아마존과 남극에서 얼마나 많은 고생을 했겠는가. 정말 상상하기도 힘든 어려움이었을 것이다. 물론 김진만 씨에게는 고생만큼의 보답, 즉 시청자들의 관심과 사랑이 들어왔으니 만족스러웠으리라 짐작한다.

 

 어쨌든 이 책을 읽으며 참 놀라웠다. 책의 구성이 정말 야무졌다. 역시, 프로그램을 잘 다루는 PD답게, 어떤 방식으로 책을 전개해야 독자들이 재미있어 하고 감동하는지 알고 있다. 보통 실력이 아니다. 그러나 그가 PD가 된 사연은 '의도치 않게'였다. 사실 어떤 사연이 있어도 그건 중요하지 않았다. 작가와 감독과 PD는 작품으로 말하니까(이제 김진만은 PD이자 작가인 건가?). 예인 최민수와 세진이 모자 이야기도 나쁘지 않았지만, 역시 이 책의 하이라이트는 <아마존의 눈물>편과 <남극의 눈물>이었다.

 

 다큐멘터리 촬영진 일행은 아마존과 남극에서 다시는 겪지 못할 뜻깊은 체험들을 한다. 아마존 내에 숨겨진 많은 부족들을 만나며 그들의 관습을 접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때로는 문명에 오염되어 버린 부족을 안타까워하는, 가슴 따뜻해지는 이야기들이 이 책에 존재한다. 방송으로는 잘 느껴보지 못했던 여운들을 독자들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나 같이 책부터 본 사람은 이제 방송을 봐야 하고. 남극에서는 대자연 앞에서 한없이 약한 인간의 모습과, 그 속에서 살아남는 그들의 생존기를 볼 수 있다. 황제펭귄을 찍기 위해 블리자드와 화이트아웃과 엄동설한과 싸우며 취재를 계속했던 이들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멋지다. 『오늘도 세상 끝에서 외박 중』은 나에게 미지의 세계에 대한 깨우침과, PD라는 직업이 어떤 직업인지, 그리고 삶이란 게 어떤 것인지 가르쳐주었다. 내 앞에 놓일 삶은 순탄하지 않으리라는 것, 그러나 분명히 그 속에는 뜻 밖의 행운이 있으리라는 것, 나는 이것을 확신한다.

 

 P.S : 역시 한국 라면은 글로벌 상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