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을 스치는 바람]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별을 스치는 바람 1
이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단어는, 한 문장은 사람을 변화시킨다. 나는 그것을 믿는다. 그리고 그것이 글쓰는 사람의 역할이라고 본다. 한 문장으로 타인의 인생을 변화시키는 것, 이것이 작가의 임무다. 그리고 그 임무는 어떠한 상황이 닥쳐도 포기할 수 없다. 설령 폭행과 고문이 가득한 형무소 안이라고 할지라도 그 속에서도 시인이 쓴 문장은 살아 숨쉰다.
윤동주. <별 헤는 밤>, <서시> 등은 누구나 한 번쯤 읽어보았을 시이다. 그 아름답고 섬세한 문장들을 창조해 낸 인물이 바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살았던 하나의 별, 윤동주이다. 『별을 스치는 바람』 속에서 동주는 '히라누마 도주'라는 일본식 이름을 가진, 죄수번호 645번을 소유한 죄수로 등장한다. 그리고 그가 갇혀 있는 곳은 악명 높은 후쿠오카 형무소이다. 이 형무소 안에는 동주 말고도 최치수나 최칠구와 같은 흉악한 살인범들이 머물고 있다. 그만큼 간수장들도 억센데, 특히 스기야마 도잔이라는 간수는 폭력 간수로 죄수들을 폭행하기도 유명하다. 그리고 어린 나이에 형무소에서 간수 노릇을 하게 된 '유이치(나)'가 있다. 유이치는 징집되기 전까지 시인들과 고전 작가들을 좋아하는 순수한 청년이었다. 그러나 전쟁은 그를 내버려두지 않았다. 이렇게 유이치는 운명적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게 된다.
(윤동주)
이 소설은 누구를 위한 이야기일까? 우선, '윤동주'가 주인공이라는 가정을 세워보자. 그렇다면 이 소설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별'이었던 윤동주 시인의 삶 말기를 극적으로 구성한 평전이 될 것이다. 물론 『별을 스치는 바람』은 동주의 아름답고 슬픈 이야기와 비밀들을 하나씩 털어놓는 책이다. 하지만 나는 그에 앞서 화자인 '유이치'가 주인공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더 섞자면 '스기야마 도잔' 정도. 이 두 간수의 공통점은 문장과 시에 감동되어 새로운 삶을 살게 된 인물이라는 것이다. 유이치는 동주를 만나기 전부터 글 읽는 것을 좋아한 문학 소년이었지만, 스기야마는 다르다. 스스로의 상처를 감추기 위해 강한 척 하지만 속으로 무척 괴로워하고 있는 스기야마는 동주의 시를 접한 이후로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깨닫기 시작한다. 이 시인은 자신의 임무를 다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 전에 도잔은 의문의 죽음을 맞게 되고 그 이후 윤동주의 육신 역시 약해져 간다. 유이치는 소장으로부터 이 살인 사건을 해결해달라는 청탁을 받았으며, 이 때부터 그는 돌이킬 수 없는 시인의 비밀과 만나게 된다. 참으로 놀라운 이야기가 아닌가?
『별을 스치는 바람』에서 가장 인상깊은 것은 우리의 가슴을 전율케 하는 수많은 고전들과 시들이었다. 유이치의 사상을 만든 것도, 스기야마 도잔의 인생을 바꾼 것도, 윤동주의 이야기를 가능하게 한 것도 모두 그들 덕분이었다. 그들이 없었다면 이 작품은 그저 음모와 비밀로 가득찬 흔한 역사소설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독자들까지 감동시키게 하는 문장들과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이라는 음악의 감동까지 동시에 선사하니, 독자인 나 역시 이 책에 빠져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소설 속의 영상들은 작품 안의 등장인물과 작가만 체험할 수 있지만, 문장은 보는 이들 모두가 똑같은 것을 보게 하면서 창의적인 생각을 품게 한다. 그렇기에 시인은 일제의 탄압과 검열 속에서도 그 뿌리깊은 나무를 베지 않았다. 일제가 약물을 투여하면서 그의 정신으로부터 뿌리깊은 나무를 뽑으려고 했지만, 죽을 때까지 그들은 그 작은 가지만 벨 뿐이었다. 그들은 몰랐던 것이다. 그 나무가, 윤동주 자체라는 걸. 그 나무는 별이라서 닿을 수 없고, 수억년 후까지 우리 미래를 밝히리라는 사실을.
별이 스치는 밤, 문장들이 바람처럼 내 가슴을 스쳐갔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오늘도 나는 문장들을 섭취했다. 그 중에 나의 관심을 끄는 문장들은 얼마 없다. 그러나 한 번 지목하면 기어코 놓치지 않는다. 그래서 그 문장들은 더욱 값지다. 이 세상에 똑같은 작품과 똑같은 감동을 주는 책은 없다는 것을 기억하길 바란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 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기계의 위대함은 경이할 만하다. 나사들, 태엽들, 톱니바퀴와 작은 쇠붙이들……. 잘 만들어진 기계는 인간의 영혼에 봉사한다. 정교한 스위스 시계는 시간을 구획함으로써 삶에 개입한다. 굉음을 내는 방적기가 쏟아 낸 직물들로 영혼은 사치를 누린다. 나침반, 화약, 증기기관차, 자동차, 비행기……. 기계들은 인간의 의지를 북돋우고 용기를 자극하고 삶을 바꾸어 놓았다. 그 시는 스위스 시계처럼 완벽한 기계였다. 쇠붙이가 아닌 언어로 만들어진 기계, 나사와 태엽과 톱니바퀴와 크랭크와 밸브와 변속기 대신 어휘와 음절과 구문, 동사와 명사와 형용사와 수많은 구두점으로 조립된 기계. 그 기계는 놀랄 만큼 정교하게 작동하며 시계가, 자동차가, 방적기가, 기관차가 제공하는 편리함과 안락함 이상의 충만감을 주었다. -『별을 스치는 바람』 1권 중
『죄와 벌』의 한 페이지는 도스토옙스키가 아니라 내가 쓴 문장 같았다. 물론 나는 죽었다 깨어나도 그렇게 열정적이면서도 깊은 통찰로 삶의 진실을 성찰하는 글을 쓸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 문장을 읽은 그 순간만큼은 언젠가 내 영혼이 도스토옙스키와 같은 생각을 한 적이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아니, 나는 그 때 확신할 수 있었다. 나의 영혼이 도스토옙스키의 영혼과 균질하다는 것을. 비록 다른 시대, 다른 장소에 다른 모습과 다른 이름으로 존재하지만 그와 나는 같은 꿈을 꾸며 같은 진실을 인식한 같은 인간이었다. - 『별을 스치는 바람』 2권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