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진 스푼 - 주기율표에 얽힌 광기와 사랑, 그리고 세계사
샘 킨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11년 10월
평점 :
우리 주변에는 많은 생물들과 사물들이 있다. 그리고 그 생물들과 사물들은 각기 다른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한 마디로 우리 주변은 원소로 가득 찼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세상에 생물들과 사물들의 수가 많은 만큼, 원소는 그 종류도 성질도 다른데,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바로 '주기율표'이다. 이 주기율표는 멘델레예프가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의 주기율표는 모즐리의 것을 차용하고 있다. 『사라진 스푼』은 주기율표의 탄생에 얽힌 과학의 역사, 그리고 주기율표 속의 원소에 담긴 인간사를 다루고 있다.
저자 샘 킨은 2010년 혜성처럼 등장한 신예 과학자이다. 그는 500쪽이라는 긴 과학, 역사 이야기를 지루하지 않게, 그리고 이해가 쉽게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많은 신문들이 그에 대해 극찬하였고 이제 우리나라의 차례다. 나도 학교에서 주기율표를 배운 적이 있지만, 『사라진 스푼』처럼 주기율표에 대해 이렇게 풍성한 이야기를 전개할 줄은 몰랐다. 그것은 내 기대 이상이었고 이 과학책이 말 그대로 "이야기책"이라는 사실을 인식했다. 비록 이 속에는 어려운 과학 용어들도 많이 등장하고 낯선 원소도 등장하지만 샘 킨은 능숙한 솜씨로 그것을 풀어낸다.
과학의 역사는 우리 상상과는 달리 피와 논쟁으로 가득 차 있다. 갈릴레이가 "지동설"을 주장했을 때, 그는 종교와 맞서 화형을 당할 뻔했으며, 다윈이 "진화론"을 발표했을 때, 과학과 종교 간의 논쟁이 극에 달했다. 주기율표 역시 마찬가지였다. 사실 이 주기율표는 아직도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저자 샘 킨은 그 논쟁을 조금이라도 잠재우기 위해 이 책을 쓴 것 같다. 과학 시간에 배웠던 딱딱한 '주기율표' 이야기가 아닌, '주기율표'를 중심으로 한 흥미로운 사람 이야기를 들어보도록 하자. 바로 이 책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