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야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7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역자의 번역을 칭찬하고 싶다. 도스토옙스키의 가장 위대한 점이자, 그를 번역하기 어려운 작가로 만드는 점은 예측할 수 없이 튀는 인간의 심리를 집요하게 추적한다는 점이다. 『백야』에 수록된 작품들의 번역이 대체로 이러한 심리 묘사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따라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물론 러시아어 전공자가 아니라서 원문이 어떨지는 알 수 없으나, 나에겐 꽤 깔끔하게 읽혔다.


 이 책에 실린 중·단편은 인간의 불완전한 심리와 그로 인한 비극적 또는 우스꽝스러운 상황을 싣는 데에 집중한다. 물론 기독교적 휴머니즘에 기반한 작품들도 있지만, 현대의 독자들에게 조금 더 인상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풍자 소설이나 표제작인 「백야」에 담긴 정신 추적극이리라. 이 작품들에 나타난 치열한 고뇌들이 『죄와 벌』이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이라는 대작에 반영되는 것을 보면, 도스토옙스키 입문서로 적절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가장 기억에 남는 소설은 단연코 「악어」였다. 이 작품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던 것은 고전 소설답지 않게 예측할 수 없는 줄거리를 지녔기 때문이었다. 이반 마트베이치는 아내인 옐레나 이바노브나와 함께 파사주에서 악어를 구경하다가 산 채로 잡아먹히고 만다. 이로 인해 악어의 배를 갈라 남편을 구해야 한다는 옐레나와 귀하디귀한 악어를 지켜야 하는 악어 주인과의 말다툼이 일어난다. 이 때만 해도, 인간의 생명이 고작 악어보다 못하는 씁쓸한 상황이 펼쳐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결국 이반이 그 안에서 고통 받는 모습을 상상했다. 그러나 이 소설의 진가는 그가 악어 안에서 생존해 있으며, 오히려 그 상황을 이용하려 하는 모습에서 드러난다. 그때부터 「악어」의 전개는 일반적인 소설과 달라진다.

 

 작품의 논쟁은 이런 것들이다. 이반을 살리기 위해 악어의 배를 가르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악어의 뱃속에 머무는 것이 공직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급휴가를 주어야 하느냐 마느냐로 논쟁하며 이반의 오랜 친구인 서술자는 이반이 악어 뱃속에서 인류의 운명을 바꾼다는 헛소리를 들어야 한다. 그와중에 서술자는 이반의 아내인 옐레나를 흠모하고 있어서 친구의 소식을 전한다는 핑계로 그녀에게 찾아간다. 이러한 대혼란의 한복판에서 소설은 종료된다. 독자는 자연스럽게 이후의 내용을 상상해야 한다. 어떻게 되었겠는가? 뭐, 이반이 악어 뱃속에서 빠져나온다면 그의 모든 망상과 '나'의 헛된 희망도 사라지겠지만, 정말로 그가 원하는 것을 다 이룰 수도 있지 않겠는가? 인간은 자신의 마음 속에서 수천 번도 넘게 세계를 정복할 수 있으니까.


 도스토옙스키의 무릎을 탁 치는 심리 묘사를 따라가다 보면, 결국 인간에 대한 그의 이해심이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마치 그는 이렇게 말하는 것 같다. "인간의 마음은 백야와 같아서, 앞뒤가 맞지 않는 것 같아도 맞는다. 밝은 밤이나 어두운 낮처럼, 극단의 모순 속에서 진실을 발견한다." 실제로 불완전한 인간의 심리를 추적하다 보면, 서로 모순된 상태가 공존하며 끊임없이 투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때로는 밝은 면이 승리하지만, 어두운 면이 승리하면 인생이 진행된다. 인생이 고통이고 사랑이 매임이라는 불편한 진실을 그는 알았던 탓인가? 사상이나 종교의 차이를 뛰어넘은 인간 내면의 근본적인 어둠을 조명하는 그의 작품들은 늘 잠들었던 정신을 깨우는 힘을 가진다. 나의 마음 속에 숨어 있는 '자기'라는 우상을 파괴할 때, 그의 소설은 꽤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