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판본 피노키오 - 1911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ㅣ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카를로 콜로디 지음, 엔리코 마잔티 그림, 이시연 옮김 / 더스토리 / 2021년 3월
평점 :
어렸을 때 읽었던 대부분의 동화는 원작과 큰 거리를 둔다. 많은 곁가지 이야기들이 삭제되거나 수정되고, 행복한 결말은 과장되기 마련이다. 안데르센, 이솝, 그림형제의 신비한 이야기들은 현실의 잔혹한 면을 동반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피노키오』는 이러한 괴리에서 벗어나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피노키오가 겪은 모험들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이고, 선행의 보답과 우정, 착하고 정직한 아이가 되어야 한다는 교훈 등은 아이들을 위해 읽히기에 적당하다. 하지만 원래 이 이야기는 목각인형이 교수형에 처해지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독자들의 갖은 항의로 원작자인 카를로 콜로디는 푸른 요정을 등장해 피노키오를 위기에서 구한다. 물론 이후의 이야기에도 작가의 냉철한 시선은 남아 있다. 푸른 요정이 피노키오에게 버림받아서 여기 누워 있다는 묘사, 피노키오를 당나귀로 만들어 서커스에 내보내는 상인 등은 아이들의 동화로만 읽기에는 무거운 내용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의 주제의식은 기존의 동화와 크게 다르지 않다.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어지거나 다리가 짧아진다는 발칙한 상상은 피노키오라는 목각인형을 통해 우스꽝스럽게 현실이 된다. 세상을 모르는 피노키오는 진실된 미숙함 속에서 성장한다. 그래서 푸른 요정이 그를 소년으로 만들어주었을 때, 피노키오는 더 이상 어리숙하고 다른 사람의 말에 휘둘리지 않는다.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것은 자신의 자아를 간직하는 것이라고 소설은 당당하게 이야기한다. 『피노키오』 내내 강조되는 진실된 태도는 사랑과 우정을 완성시키는 것이 솔직하고 진중한 마음임을 제시한다.
작품 내의 모든 에피소드를 다 열거하는 일은 무의미하다. 다만, 상어가 삼킨 제페토 할아버지를 피노키오가 구한다는 거대한 이야기의 틀 안에는 수많은 인간의 모습이 담겨 있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학교에 간 피노키오가 해변에서 놀기 좋아하는 아이들과 맞서는 장면이었다.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는 피노키오의 모습 때문에 선생님에게 낙인이 찍히고 그를 괴롭히다가 제풀에 다치는 아이들의 모습은 웃기면서도 안쓰럽다. 또한, 피노키오의 책을 뺏어서 해치려다가 도리어 경찰에게 오해받는 모습 등은 피노키오라는 이방인을 다른 대상에 적용했을 때, 인간 사회에서 언제든지 재현될 수 있는 장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은 이질적인 존재에 거부감을 느낀다. 그리고 집단에 속해 있을 때는 내가 그 존재를 억압하는 것이 정당화된다는 착각에 빠진다. 실제로 대면했을 때 그의 어리석음과 부족함이 나의 모습과 별 차이가 없음을 깨닫지 못한 채 말이다. 소설 속에서는 순진한 아이들이 그랬지만, 책장을 벗어나면 자신이 피노키오보다 더 성숙하다고, 더 인간답다고 믿는 어른들이 타인을 억압한다.
소설가의 의무는 인정하기 싫은 진실을 드러내는 일이다. 동화를 쓰는 작가들은 대부분 미래의 세대들이 어른의 실수와 과오를 반복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그렇게 한다. 안타깝게도, 현실 세계에서는 거짓말을 한다고 상대방의 코가 길어지지 않는다. 진실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진실된 사람이 되어야 한다. 피노키오는 미숙한 존재로서 세상에 던져진다. 그러자 사람들은 그를 교수형에 처하고, 튀김으로 만들고, 속여서 상품으로 팔기에 바쁘다. 피노키오가 소년이 되었다고 해서, 그가 이전보다 성장했다고 해서, 세상이 그에게 우호적이지는 않을 것이다. 내가 똑바로 선다고 사회도 바르게 변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도 누군가는 희망을 만들고 있다. 2년간 상어 뱃속에서 살아남은 제페토처럼, 한없이 아이들을 품어주는 푸른 요정처럼,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사람들이 있다. 소년이 된 피노키오는 타락과 희망 중 어떤 길을 걸어갈까? 다음의 이야기가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