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숭배
피터 브라운 지음, 정기문 옮김 / 새물결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세기 후반의 그리스도교도들은

동료 인간으로서 동일시할 수 있는 보호자와 친교하기를 원했고,

이미 그들이 친숙하게 알고 있는 인간 관계였던

보호자와 피보호자 관계와 유사한 방식으로

그 보호자와 관계를 맺고자 했다.

 

     성인숭배. 제목만 보고서 선택했던 책이다. 고대, 중세인들의 흥미로운 성인숭배 관습들을 수집해 놓은 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실제로는 전혀 다른 책이었다. 이 책은 ‘성인숭배’라는 주제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가를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책이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서 그동안 성인숭배라는 주제에 대해서 그다지 깊게 가지고 있지 못했던 빈자리를 어느 정도 채울 수 있었다.

     저자는 성인숭배의 관습을 단순히 미신적인 것으로만 치부해버리는 기존의 통설을 반박한다. 집단적인 개종으로 다신교를 숭배하던 대중들이 대거 기독교 안으로 들어오게 되었고, 그 결과 기독교 교리의 변형이 일어났다는 것이 기존의 관념이었다면, 저자는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 사이의 긴장’(p. 97) 때문에 발생한 문제라거나, 신흥 엘리트의 부유한 속인들과 주교들 사이의 긴장(p. 98) 때문이라고 말한다.


지금 우리는 이제까지 우리가 기대해온 바와는 완전히 다른 상황을 마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종교가 점점 더 “대중적”으로 되어가는 형식을 띠어가는 것을 마지못해 혹은 정치적으로 수용했던 사실도 없고, “미신”이라는 동종 요법을 동원해 지도자가 없는 다신교 “대중”을 흡수하려고 했던 일도 없었다. 오히려 우리는 그리스도교 공동체 안에 지도력의 질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성인 숭배 내부의 변화를 다루고 있는 것이다.(105 : 1 - 8)


 

     그 밖에도 성인숭배의 의식을 통해 여자들이 공적인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성인과의 관계를 로마의 전통적인 관계인 파트리엔트와 클리엔테스 사이의 관계에 대응시켜서 설명하는 부분도 흥미롭다. 

     전반적으로 성인숭배의 관습을, 그것이 널리 퍼져있던 시기의 여러 정황과 밀접한 관계아래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엿보이는 좋은 책이다. 성인숭배에 관한 좋은 밑그림을 갖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얻게 된 성인숭배에 관한 여러 관점들이 당분간은 쉽게 수정되지 않을 듯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