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한 것이 없는 사람에게 왜 복음이 필요한가? - 풍요의 시대를 사는 이들이 복음대로 사는 법
윌리엄 윌리몬 지음, 이철민 옮김 / IVP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이 퍽 길다. 제목을 지은 사람이 할 말이 많았나 보다. 원래 이 책은 저자인 윌리엄 윌리몬이 한 교회에서 했던 설교문들을 모아 엮은 것이라고 한다. 사역 초창기에 이런 설교를 했다니,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는 옛말은 여전히 통하는 것 같다.



교회 안에서도 꽤나 익숙한, 전형적인 간증 레퍼토리는 한결같다. 한 때 자신은 꽤 성공적인 위치에까지 올랐지만, 어떤 이유로 그 모든 것을 잃어버리게(실제적일 수도 있고, 심리적인 문제일 수도 있다) 되었다. 그리고 바로 그 때 예수님을 만났고, 모든 것이 회복되었다.


저자는 여기에서 질문을 던진다. 과연 기독교는 이렇게 비참하고, 박탈당하고, 약하고, 소외된 사람들“만”을 위한 종교인가. 기독교 신앙을 가지기 위해 우선 비참해질(문자적으로든, 상징적으로든) 필요가 있는가. 우리는 억지로 자신이 불쌍한 위치라는 것을 끊임없이 되뇌어야 하는가.


이런 고정관념이 갖는 문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우선 성경은 우리가 예수님을 찾은 것이 아니라 그분이 우리를 찾으셨다고 말한다. 그 연장선상에서 우리가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시작한 게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무엇인가를 결단하시는 것에서 모든 것은 시작한다. 끊임없는 자기 비하와 감정적 회개의 요구는 진정한 회개가 무엇인지 잊어버리게 만들뿐더러, 이제 회개 이후의 은혜 안에서의 삶을 상대적으로 덜 강조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 책의 주제와 관련해서 앞서의 접근법이 갖는 결정적인 문제 중 하나는, “(경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 강한 사람”에게는 이런 방식이 잘 통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기존의 교회는 그들을 어떻게든 “무릎을 꿇리려고”(그래야 하나님의 필요를 인정할 테니까) 애쓰기만 하는데, 그들은 정말로 딱히 부족한 게 없기 때문에 이런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또, 그저 번영의 복음만을 외쳐온 얄팍한 공동체에 대해서도 이들은 별 흥미가 없는데, 그들은 이미 충분히 번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강한 사람에게는 강한 사람의 방식으로 복음을 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건 은혜에서 시작한다.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이 하나님 은혜의 소산임을 알려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건 자연히 감사의 자세로 이어진다.(당신은 죄인입니다로 시작하는 접근방식과 어떻게 다른지 주목하자)


물론 그들에게도 부족함이 있다. 사실 그들이 가진 것들에도 한계가 분명히 있다. 지식은 다함이 없고, 조직의 위계 정점에 올라간 사람은 자신이 생각보다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다. 오로지 자기 자신을 위해 돈을 모으기만 하는 사람은 정작 쓸 수가 없다. 즉, 그들의 강점이 잘못 사용되면 약점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이 점에 관해서 기독교는 분명 해 줄 말이 있다.




사실 조금은 강해 보이는 제목에 비해, 저자가 제시하고 있는 대안은 조금은 평범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책에서 여러 차례 반복해 지적되고 있는, 현재의 복음제시 방식에 문제가 있는 것도 분명해 보인다. 정말 우리는 누군가를 정서적으로 약한 상태로 몰아넣는 것이 기독교의 복음을 제시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여기는 것 같다.


문제는 이런 접근이 사람을 그저 “집단”이나 어떤 “덩어리” 정도로 뭉뚱그려버린다는 점이다. 예수님은 자신을 찾아온 모든 청년들에게 가진 재산을 다 팔아 나누어주라고 하지 않으셨다. 그분은 한 호숫가에서 고기를 잡던 어부들을 불러 자신을 따라오게 하셨지만, 바로 그 근처에서 그분에게 고침을 받은 어떤 사람은 그분을 따라다니는 것을 허락받지 못하기도 했다. 요컨대 그분의 처방은 사람의 상황과 처지에 따라 다 달랐지만, 우린 빨간 약 하나면 모든 병이 나을 수 있다는 식으로 밀어붙이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조금 다른 상황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조금은 다른 고민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공감한다. 다만 이 부분에 있어서도 좀 더 정교한 고민과 해답을 제시하기 위한 노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 같다. 그런데 이 책에 실린 설교가 나온 지 40년이 지났지만, 과연 이 부분에서 뭔가 제시된 것 같지는 않다는 게 함정이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