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뜬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는 모든 것을 완전히 통제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가 상황의 주인이라고 생각했지요,

그러다가 아무도 상상도 못했던 일이 튀어나와 놀라게 된 것 아닙니까,

대단한 극적 효과지요.


 


. 줄거리 。。。。。。。                   

 

     단 한 명만 빼 놓고 모든 사람의 눈이 보이지 않게 된 끔찍했던 상황이 끝난 지 4년, 사람들은 모두 암묵적으로 그 때의 기억을 묻어버리기로 약속을 한 듯하다. 하지만 수도에서 일어난 한 사건으로 인해 사람들은 다시 그 때의 일을 떠올리게 된다.

     어느 날 일어난 백지투표 사건이 모든 사건의 시작이었다. 새벽부터 쏟아지는 엄청난 비는 사람들의 발걸음을 투표장으로 오지 못하도록 막는 장애물의 역할을 했고, 오후가 되어서도 좀처럼 투표장에는 사람들이 찾아오지 않았다. 모두가 사상 최악의 낮은 투표율을 기록할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가질 즈음, 드디어 비가 그치자 일순간 수많은 사람들이 투표장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떠올려보라, 엄청난 사람들이 같은 시간 집에서 나와 투표장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모습을. 공중에서 보면 마치 거대한 생명체가 그 촉수를 구역별로 마련된 투표장으로 뻗는 것처럼 보이지 않았을까?

     모든 문제는 그렇게 끝나는 줄 알았다. 하지만 개표가 시작되면서 더욱 경악스러운 일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사상 초유의 백지투표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전체 투표수의 70% 이상이 아무 정당에도 투표를 하지 않은 말 그대로 백지 투표지를 투표함에 넣었던 것. 일주일 후 실시된 재선거에서는 그 비율이 더욱 높아져, 무려 83%에 달하는 백지투표가 이루어졌다.
 

  

 

     이 사건을 도대체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정부는 말 그대로 혼란에 빠진다. 총리 이하 각 부의 장관들은 연일 회의에 회의를 거듭하지만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고, 결국 모든 책임을 수도의 주민들에게로 돌리는 결론을 도출한다. 계엄령을 선포하고, 정부의 모든 기관들을 수도 밖으로 이관시키고(우리나라였으면 관습헌법 위반으로 문제가 되었겠지만), 이 경악할 일을 꾸민 사람을 찾아내기 위해 비밀요원들을 침투시키고, 아무런 이유도 없이 사람들을 가두고 심문하지만, 밝혀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러던 중 수도에서부터 날아 온 한 통의 편지는 사건에 대한 접근의 방식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게 만든다.

 

. 감상평 。。。。。。。                    


     전작인 ‘눈먼 자들의 도시’보다 훨씬 더 정치적 색채가 많이 가미된 책이다. 아마도 ‘선거’라는 소재를 전면에 내세웠기 때문에 그런 느낌이 더욱 강하게 드는 듯하다. 만약 대부분의 사람이 특정 정당에 투표하는 대신 백지투표를 하게 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라는 역시나 이색적인 상상은 이 책에 재미를 부여하는 핵심적 요소이기도 하다.

 

 

     이번 작품에서 강하게 부각되는 부분은 정부를 비롯한 권력자들의 무능과 무책임이다. 법을 만들고 그것을 집행하는 자리에 있는 그들은, 법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대로 해석하는 데에도 전문가였다. 누가 봐도 현 정치권에 대한 불신임을 강하게 드러낸 것이 분명한 대량의 백지투표 사건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일찌감치 이번 사건은 현 정권에 대한 불신임을 나타낸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 버리고, 도리어 이 일을 주도한 세력을 반정부인사나 불순한 선동가로 몰아세운다.

 

     한편 정부의 무책임한 계엄령과 정부기관들의 이전으로 일어난 무정부상태에서도 수도의 주민들이 보여준 의연함은 매우 대조적이다. 정부 당국자들은 각종 언론을 통해 곧 폭동을 비롯한 심각한 혼란이 수도에서 일어날 것이라고 위협했지만, 그들의 말과는 달리 실제 수도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오히려 수도 주민들을 괴롭히는 것은 그들로 하여금 불안감을 조성하기 위해 지하철 폭발이나 일으키는 정부 당국자들이었다. 그들은 법을 수호한다는 미명 아래 초법적인 일까지도 서슴지 않는다.

 

     이 모든 내용들을 통해 저자의 이력에도 있는 공산주의의 냄새가 느껴지는 것은 나 혼자만의 느낌일까. 정부와 같은 권력자들을 근본적으로 믿지 못하고, 시민 혹은 인민들의 대동단결로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사회주의적 발상. 물론 저자를 비롯한 사회주의자들의 주장에 일견 타당성이 있는 것은 부인할 수만은 없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것을 실제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너무나 많은 제한과 문제들이 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 가운데 가장 큰 문제는 지나친 ‘폭력’. 하지만 이 책의 저자 주제 사라마구는 전혀 폭력이 동원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혁명’을 제안하고 있다. ‘투표’라는 민주주의의 핵심적 도구를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연장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것에서 현실성이 배제되어 있다는 점은 피할 수 없는 약점이다. 과연 사회주의자들이 원하는 세상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해 누구도 실제적인 대답을 제시하지 못했다. 저자 역시 소설 상의 도시의 모습은 매우 인상적인 스케치로만 그려져 있을 뿐, 그 세부적 구조는 드러나지 않는다. 사실 책 속에 등장하는 수도 주민들의 모습은 그들 자신이 무엇을 했는지 그 의미에 대해서도 충분히 알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그려지고 있을 정도다.

 

 


     전작인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는 기발한 발상으로 인간의 폭력적이고 잔인한 본성을 실감나게 그려낸 저자는, 이번 작품 ‘눈뜬 자들의 도시’에서는 비록 사물을 분간할 수 있는 시력은 가지고 있지만, 어쩌면 우리는 여전히 진실에 대해서는 눈을 뜨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하지만 저자가 드러내고자 하는 ‘진실’에 전작과는 달리 지나치게 정치색이 많이 칠해져 있어서 오히려 마이너스적인 요소가 되는 것은 아닌가 싶다. 그보다는 인간성에 대한 탐구가 좀 더 드러났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