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디 버드
그레타 거윅 감독, 시얼샤 로넌 외 출연 / 유니버설픽쳐스 / 2018년 8월
평점 :
품절


모든 게 답답했던 시기.


십대. 사춘기를 지나고 자의식이 강해지고, 주변 사람들(특히 어른들)이 하는 말이 다 귀찮고, 하찮게 느껴지는 시기, 자신이라면 뭐든지 다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자신이 언제나 가장 현명한 판단을 내리고 있다는 생각도 드는 그런 시기.


이 영화의 주인공 “레이디 버드”는 그런 고등학생이다. 레이디 버드라는 이름은 그녀의 본명은 아니고, 부모님이 지어주신 크리스틴이라는 이름이 있지만 어느 날 그녀는 자신을 “레이디 버드”라고 할 거라고 선언한다. 뭔가 잔뜩 불만이 있는 것 같은 그녀의 표정과 말투는 앞으로 진행될 영화가 어떤 분위기로 흘러갈지 살짝 보여준다.


영화 내내 주인공은 주변의 어른들(부모와 교사)에게 틱틱대고 불만을 터트린다. 하지만 또 그게 아주 엇나가겠다는 건 아니라서, 또 안심이 되긴 한다. 비록 금사빠라서 만나는 남자애마다 평생의 사랑을 만난 것처럼 다 줄 듯 연애를 하고, 그 나이 또래가 그렇듯 조금은 허영심도 가지고 있지만, “우리 애가 착하긴 해요.”


그리고 틱틱 댄다지만 은근 부모와의 관계도 그럭저럭 꾸려가고 있으니, 이 정도면 우당탕탕 그 답답했던 시기를 잘 넘어가고 있었다.





정말 막막한 시기.


사실 주인공 크리스틴이 처해 있는 상황은 정말로 조금 답답해 보이긴 하다. 아빠는 직장에서 구조조정으로 해고를 당했고, 엄마는 생계를 위해 매일처럼 직장에서 야간근무를 하고 있다. 하나 있는 오빠는 명문대를 졸업하고서도 무슨 이유 때문인지 여자친구와 함께 마트에서 일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고.


그런데 이런 상황 속에서도 주인공이 아주 엇나가지 않을 수 있었던 건, 그녀의 주변에 대화할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엄격하기만 할 것 같은 가톨릭 계열의 고등학교에서는 줄리라는 친구가 있었고, 아빠는 늘 딸에게 힘든 내색을 하지 않고 힘이 되어주려고 한다. 그리고 늘 티격태격 대는 엄마와도 가끔 대화는 되고 있으니까.


역시 사람은 대화가 필요한 법이다. 사람을 지탱해주는 건 돈도 명예도 아니고, 결국 사람이다.





조금 덜 흔들렸으면.


그래도 아쉬운 건 질풍노도의 시기를 보내고 있는 주인공의 시행착오들이다. 또래들과의 사이에서 모든 정보를 얻고, 그렇게 얻은 부족한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하고 결정을 하니 시행착오가 나오는 건 당연할 수밖에. 뻔히 멍청한 선택을 하는 게 보이지만, 막상 그 상황 속에 들어가면 다른 길이 잘 보이지 않는 게 인생이다.


그렇다면 조금 더 경험을 해 본 사람들의 조언에 귀를 기울이면 되는데, 그게 또 답답하게만 여겨지니...(결국 마지막엔 조언에서 크게 벗어나지도 않는데) 하지만 어쩌겠나, 이 또한 그 시절을 지나온 세대들이 갖는 우려인 거고, 그런 시행착오들을 온몸으로 맞부딪히는 것도 그 세대들의 특권일 것을.


수없이 흔들리면서도 결국 뿌리를 잘 박고 일어선 주인공에게 박수를 보내며, 그가 경험한 여러 새로운 모험들을 조금은 킥킥대면서 지켜볼 만한 영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