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영성 - 공간, 공동체, 실천, 환대
필립 셸드레이크 지음, 김경은 옮김 / IVP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론 세계라는 스케일로 보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시골에 살고 있지만산업화된 국가의 경우 적지 않은 비율로 도시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당장 우리나라만 하더라도서울과 그 주변의 경기도인천을 합쳐서 인구의 절반이 살고 있고그 중 대부분은 도시 거주민이다생각해 보면 나 역시도 군대에 있었던 36개월을 제외하고는 이제까지 도시에서만 살아왔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익숙한 도시생활이지만편리함이라는 장점만 있는 건 아니다흔히 도시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삭막하고정이 없고개인주의가 심하고다른 사람의 삶에 별 관심이 없으며상업적이고 하는 것들이다요컨대 도시는 물질적이다.


현대의 새롭게 만들어지는 도시들은 물질성(혹은 경제성이나 효율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를 두고 계획되어 있다사람들은 오직 소비할 때만 모이고원하는 것을 구입한 후에는 흩어져서 각자의 둥지에 들어가 개인적인 삶을 이어간다각 구획으로 나뉜 도시의 구조는사람들의 삶을(그리고 삶에 대한 감각을분열시켰다아마 이게 도시에 관한 전형적인 이미지다.





이 책의 저자는 이런 이미지에 조금은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정말로 도시가 그런 곳일까처음부터 도시는 그런 곳이었을까저자는 서양을 배경으로특별히 기독교 전통 속에서 도시에 관한 좀 더 적극적이고 참여적인 태도가 일찍부터 발견된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아우구스티누스부터 수도원 전통이라는 조금은 의아한 예를 끄집어 든다하나님의 도성과 세상의 도시를 완전히 분리시키고세상으로부터 고립된 그들만의 공간인 수도원을 만드는 전통과 세속 도시에로의 참여라는 주제가 어떻게 연결된다는 걸까저자는 언뜻 이런 전통들이 신앙과 세상의 완전한 분리를 말하는 것 같지만자세히 살펴보면 오히려 세속 사회에 대한 강력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


그런데 이 부분에 썩 크게 동의가 되지는 않는다물론 기독교의 사회 참여그리고 도시라는 상징적인 공간이 성경과 기독교 전통 안에서 결코 소외되지 않는다는 점에는 동의한다하지만 고대와 중세 수도원 전통을 도시로의 참여와 연결 짓거나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도시(도성)”를 반어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과연 그 좋은 해석일까그저 현대의 관점을 지나치게 고대에 이입시키는 시대착오적 이론은 아닐까도 싶고.


물론 앞선 시대의 기독교인들이 도시나 세상에 관해 그런 약간은 분리적인 생각을 했다고 해서 그들이 실제로 완전히 분리된 삶을 살 수 있었다거나오늘 우리도 그런 고립주의적 삶을 살아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근대에 이르러 새롭게 강조되어 왔던 것처럼 사실 성경 속 다양한 이야기들은 세상에로의 적극적인 차며를 독려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다만 그걸 너무 억지로 작업하지는 말자는 것.



책의 2부는 약간 어렵다주로 철학이 물씬 묻어나오는 신학적 고찰들인데장소공간공동체 같은 주제들에 대한 검토다이런 검토를 마친 뒤 결국 저자가 하려는 말은 공동선에 대한 강조기독교인들 또한 이를 위해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는 것인 듯하다지극히 당연한 결론이고 따로 부정할 만한 게 없는 이야기.


다만 이런 당위에 그칠 것이 아니라 그러면 이제 어떻게 해야 할지를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맥락에서 좀 더 설명해 주기를 바랐는데책은 거기까지 나아가지는 않는다살짝 아쉬운 부분그리고 기독교의 사회 참여에 대한 비전을 설명하는 하려는데 이 책은 지나치게 어렵다그게 어디 소수의 엘리트 학자들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일은 아닐 텐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