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과 수단.


영화는 목적과 수단에 관한 고전적인 질문을 던진다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는가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될까아니면 정확한 길과 신호를 따라서 도착해야 할까영화 속 영화 속 광역수사대 반장인 박강윤(조진웅)은 범죄자만 잡을 수 있다면 어지간한 수단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보는 전혁적인 목적지향주의자이고그의 반에 들어간 강력계 출신의 최민재(최우식)는 정반대로 동료의 불법행위까지 있는 그대로 증언할 정도로 원칙주의자이다.


감독은 이 둘을 한 자리에 묶어두고 캐릭터 차이에서 나오는 갈등을 보여주려고 했던 것 같은데사실 팀의 막내가 반장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는 상황 자체가 잘 그려지지도 않고(오히려 그랬다면 더 개연성이 떨어졌을 것이다), 이야기 속에서 민재가 강윤을 비밀리에 내사한다는 설정도 있어서 더욱 갈등요소는 떨어져 버렸다.


이야기의 전개는 민재의 시선으로 강윤을 관찰하는 식으로 이어지는데비싼 옷과 차를 타고 다니면서 수사에 필요한 돈을 펑펑 쓰니 당연히 성과도 나타나는 상황을 보며어쨌든 나쁜 놈들을 잡았지 않느냐는 목소리에 조금씩 휘둘리는 모습이 보인다영화의 결론부에서는 이를 아예 대놓고 보여주고 있고.


영화 속 몇몇 인물의 대사로는 끊임없이 그런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는데(특히 감찰계장 역의 박희순이나 민재 역의 최우식), 이쪽은 또 이쪽 나름대로 꽉 막힌 느낌인지라 또 완전히 수긍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그러고 보면 영화는 목적지향 쪽에 좀 더 가까운 메시지를 던지고 있지 않나 싶다.

 





 


작은 희생”.

다만 정당한 수단이라는 규정은 나름의 이유가 있어서 만들어진 것들이고이것들이 모두 무시되어 버릴 때잡는 사람과 잡히는 사람의 차이를 어디서 찾을 수 있느냐는 지적은 쉽게 흘려들을 말이 아니다무조건 규제를 없애기만 하면 힘없는 사람들이 주로 희생되는 게 세상이니까.


개인적으로는 큰일을 하려면 작은 희생 쯤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는 사고방식을 갖고 있는 사람과 함께 무슨 일을 하고 싶지는 않다언제 내가 그 작은 희생이 될지 모르니까그렇게 작은 원칙들작은 사람들을 희생시켜서 이룬 공은 앞에 선 사람이 다 가져가버리는 정당하지 못한 일들에 우리는 이미 지쳐있지 않은가.

영화 초반 강윤은 피의자의 마스크를 벗겨 언론에 노출시킴으로써 결국 그를 죽음으로 밀어 넣는다물론 그가 나쁜 짓을 했을지라도그런 식으로 사적 죽임을 당하도록 내버려두어도 좋을까그 판결(결정)의 정당성은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


사실 이 부분은 오늘날의 일반적인 법관들에게도 그대로 물을 수 있는 질문이다단지 시험성적이 좋다고 그들에게 법의 적용권을 일임하는 제도는 과연 민주주의 원칙에 부합할까수사와 기소그리고 재판의 영역은 가장 비민주적인 자리 중 하나일지 모른다.



 




경찰의 본질.


영화 속 캐릭터들이 수단이나 목적이냐를 두고 갈등을 하고 있긴 하지만흥미롭게도 그 모든 경찰 캐릭터들은 나쁜 놈들을 잡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강윤은 어떻게 해서든 큰 범죄조직을 소탕하려 하고 있고같은 목적을 가지면서도 방법에 의문을 제기하는 민재그리고 잘못된 방식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나쁜 일이니 그런 나쁜 일을 하는 사람을 잡겠다는 감찰반장까지.


각자의 원칙은 다르지만옳고 그름이 분명 존재하고잘못된 일을 바로잡기 위해 전력을 다하는 모습인데이게 경찰이라는 직책의 본질과 가깝긴 하다정말 경찰들이 그렇게만 해 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