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애슐리 도슨 지음, 추선영 옮김 / 두번째테제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하루에도 100여 종의 생명체가 멸종되고 있다고 말한다이게 정확한 수치일까 의심부터 든다일 년이면 36,500종의 생물이 멸종된다는 얘기고, 10년이면 어림잡아 36만 종이 멸종된다는 말이다이런 속도로 멸종하면 지구에 있는 모든 생물종이 곧 사라지는 건 아닐까?


     그러면 지구상에 총 몇 종의 생물이 있을까찾아보니 보고된 것만 150만 종이라고 한다그러면 정말 큰 일 아닌가? 5년 후에 지구상의 모든 생물종이 사라진다는 말이니까그런데 이게 전부가 아니라아직 발견(보고)되지 않은 게 최소 1000만 종에서 많게는 1억 종까지 있을 거라는 추정이다그러면 지구상의 모든 종이 멸종할 때까지 최소 300년에서 3천 년 정도가 걸린다물론 지금처럼 하루에 100종씩 멸종을 계속하고새로운 종이 만들어지지(분류되거나 발견되지않는다면 말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 상황이 별 거 아니라는 말은 아니다하루에 100종이라니... 그래도 엄청난 수가 아닌가그런데 여기서 또 한 가지 의문이 든다그렇게 많은 수가 멸종하는데왜 우리는 그걸 실감하지 못할까.


     첫 번째 가능한 이론은 멸종되는 생물이 우리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만 살고 있다는 것이다오늘날처럼 전 세계가 이어져있고정보가 공개되는 시대에 좀처럼 가능할 것 같지 않다또 하나의 이론이 있어야 하는데그 이라는 게 매우 미시적인 구분으로애초에 특정한 지역에서 특정한 환경에만 적응 가능했던 소규모 무리혹은 매우 작은 특징으로 나뉘는 학문적 성격의 구분이었다는 설명이다.


     아마도 진실은 두 번째 이론에 가깝지 않을까 싶다. ‘매일 100종이 넘게 멸종된다는 말은 듣는 사람에게 확실히 위기감을 안겨주지만그 말을 들었을 대 우리 머릿속에 떠오르는 그런 그림과 실제는 조금 다를 수도 있다는 말이다.

 


     물론 그런 좁은 범위에 사는 적은 수의 개체 종들을 보호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 아니다다만 만약 앞서 한 추정이 옳다면그 적은 수의 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아주 복잡하거나(각각에 맞는 대책을 세워야 하니최소한 하루에 100개의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야 한다), 아주 단순하다(지금부터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행위를 모두 중단하면 된다).


     그러나 어느 쪽에 생각하는 일에 비해실천하는 건 어려워 보인다. 1년에 36만 개 종을 보호하는 계획을 실현하는 건 너무 복잡해 보이고(이 정도로 민감한 종들이라면 하나를 보호하기 위한 어느 행동으로 인해 다른 둘이 멸종할 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당장에 우리의 삶을 중단하는 것도 적절치 않아 보인다.


     그런데 저자는 내가 보기에 이 두 번째 방법을 만지작거리는 것 같다책은 이 대규모 멸종의 원인으로 인간을문명을제국을그리고 나중엔 자본주의를 지목한다지나치게 단순한 도식이 실제 벌어지는 일을 제대로 반영하는지도 모르겠고문제의 원인을 이렇게 지목하면우리가 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너무 좁아진다.


     당장에 문명을 파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고그렇지 않으면 최소한 급격한 다운사이징(Downsizing)을 통해 지금 누리고 있는 많은 문명의 이기를 포기해야 한다당연히 이 계획에 얼마나 동참할지 모르겠다우리가 자동차를스마트폰을인터넷망을 포기할 수 있을까?

 


     저자가 말하는 환경정의를 추구하는 광범위한 반자본주의 운동이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인지는 의심스럽다환경을 파괴하는 북반구의 선진국들이 재정을 내서 남반구에 주어야 한다는 주장이 결론부에 위치해 있지만어떻게 그 재정을 분배할 것이고효과적으로 집행할 수 있을지어떻게 선진국들로부터 그 재원을 얻어낼지는 불분명하다당장에 저개발국가들에서 코로나로 매일 수만 명씩 쓰러져 죽어가지만 선진국들은 백신을 독점한 채 내놓으려고 하지 않는 게 현실 아닌가.


     심지어 그렇게 해도 앞서 말한 하루 100종의 멸종을 막을 수는 없을 것 같다사실 멸종되어가는 100종에 관한 이야기는 책의 중후반으로 가면 더 이상 등장하지도 않는다.(저자도 그리 관심을 두지 않는 이야기를 이 리뷰 초반에 너무 오래 붙잡고 있었던 건지도 모른다)


     물론 대책이 있어야 비판을 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너무 큰 이야기도식적이기만 한 구조비판에 매몰되다보면 외곬만 보이게 되고타협과 협상의 여지가 사라진다당연히 실제적 문제해결로부터도 멀어질 테고그리고 환경정의를 추구하는 광범위한 반자본주의 운동이란 듣기만 해도 좀 무시무시하지 않은가이 반자본주의 운동이 하루에 몇 개의 종의 멸종을 막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