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시절.


우리나라는 1991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딱 30년 전북한과 동시에 유엔 가입을 했다. 1990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가 유엔에 가입조차 되지 않은(못한나라였다는 게 지금으로서는 믿어지지 않지만그땐 그랬다전쟁으로 모든 게 폐허가 되어버리고군부독재의 힘든 시기를 지났음에도 아무튼 그렇게 정상국가가 되어왔다(물론 동시에 유엔에 가입한 북한이 정상국가인지는 여전히 미심쩍지만).


유엔 가입은 국제사회에서 합법적인 국가로 인정받는다는 걸 의미했고북한과의 체제경쟁에 한참이었던 시기 우리나라는 당연히 이 일에 매진했을 것이다영화는 그 시절 유엔에서 가장 많은 표를 가지고 있던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 애썼던 우리 외교관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미 모든 게 갖춰진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이야, ‘체제 경쟁을 위해 했던 여러 일들을 어리석은 행동이라고 비웃을 지도 모르겠다하지만 한 국가에 있어서 정통성이란 그리 가벼운 문제가 아니었고냉전이 여전히 지속되던 시절 그건 존립을 흔드는 위협과도 연결되어 있었다.


영화는 그 시절 우리가 어떻게 살아왔었는지를 (직접 경험하지 못했던 이들에게도한 번 진지하게 떠올려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준다우리 참 힘든 시기를 잘 헤쳐 나왔다이건 당연한 일도자연스러운 결과도 아니니조금쯤 자랑스러워해도 좋다.

 






위기.


작중 소말리아에 머물고 있던 우리나라 외교관들은 독재 정권에 반대하는 반군이 시작한 내전으로 인해 위기에 처하게 된다어린 아이의 손에도 들려진 AK-47 소총의 총구는 누구를 향하게 될지 알 수 없었고국제법적으로 다른 나라 땅으로 인정되는 대사관마저 공격을 당하는 상황에서대사관 직원들은 생존을 위해 탈출을 계획한다.


감독은 이 위기 상황의 분위기를 실감나게 그려낸다현지 상황은 전혀 모른 채늘 안전한 곳에서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며 딴지나 걸어대는 훈수꾼들의 생각과 달리실제 상황에선 예측할 수 없는 요소들이 수두룩하기 마련이다감독은 예측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들을 적절하게 나열해서 보는 사람들도 긴장감을 갖게 만든다.


이 위기 상황 속에서 더욱 돋보이는 건역시나 동포애가 아니었나 싶다대사관을 습격당한 북한 외교관들이 중국 대사관에 이어 결국 찾아간 곳이 우리나라 대사관이었다는 거굳이 통역이나 외국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대화가 통한다는 것만 해도 급할 때 매우 큰 메리트인데다국교관계를 수립했느니 안 했느니 하는 의례를 생략하고도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상대라는 게 드러나는 장면이런 결단이 정부 사이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면 지금보다 두 나라 사이의 관계는 훨씬 더 진전되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도 들고.





 


반복.


영화 속 비참한 현실은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역사상 수많은 곳에서 반복되고 있다. 10년이 넘은 내전에 시달리고 있는 예멘이나 시리아에서 탈출한 난민들의 수는 이미 수백 만 명을 넘겼다가깝게는 최근 벌어진 아프가니스탄 사태로 수많은 사람들이 탈레반의 보복을 피해 탈출을 시도하는 상황이고.


이 혼란상을 보면서 다양한 감상이 생길 수 있겠지만개인적으로 가장 크게 떠오른 건기존 질서가 무너지고 무질서한 상황이 될 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위험에 빠지게 되는가 하는 점이다물론 거의 대부분의 혁명은 피를 흘리기 마련이지만그렇게 흐르는 피의 무게는 결코 가볍지 않다감상적인 이상주의에 취해서 혁명이니전복이니 하는 단어들을 가볍게 입에 올리는 사람들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체제에 대한 비판은 언제나 가능해야 한다그렇지 못하면 앞서 설명한 것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사람들을 죽일 테니까하지만 그게 대책 없는 질서 무너뜨리기가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현실은 아무렇게나 무너뜨리고 쉽게 다시 조립할 수 있는 레고 블럭이 아니니까.(이렇게 나이가 들면서 사람이 보수적으로 되나 보다)


 

간만에 본 잘 만든 영화올해 지금까지 본 30여 편의 영화 중 가장 괜찮았던 작품오락성도 있고생각할 꺼리도 던져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