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잎관 1 - 2부 마스터스 오브 로마 2
콜린 매컬로 지음, 강선재 외 옮김 / 교유서가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여전히 그 영향력의 일부는 남아 있던 마리우스는 갑자기 소아시아로 여행을 떠나기로 한다물론 이건 단순한 여행은 아니었고최근 그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심상치 않은 일들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였다소아시아 북동부의 폰투스 왕국에 미트리다테스라는 이름의 새 왕이 나타나 국력을 기르며 주변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었던 것이다그는 여섯 번이나 집정관이 되었지만예언에 따르면(그리고 역사에 따르면아직 한 번의 집정관 기회가 더 남아 있었다.


     이야기의 또 하나의 주인공인 술라는 여전히 음침한 구석이 있지만조금씩 사회적 명망을 얻어가고 있었다여전히 여자와 관련된 스캔들 때문에 최고참의원의 눈 밖에 나서 잠시 고생을 하기도 하지만수도 담당 법무관이 되고이어서 앞서 마리우스가 느꼈던 의혹이 점점 실현되어 가고 있던 소아시아에서의 문제를 멋진 연극으로 해결해 낸다.

 


     이 번 책에서 작가는 소아시아를 새로운 무대로 삼고 있다정치적으로민족적으로또 혈통적으로도 복잡하게 얽혀 있는 이 지역의 여러 나라들의 문제는 어느 한 가지 해법으로 쉽게 해결할 수 없어 보인다재미있는 포인트는나름 계몽된 군주로 보였던 미트리다테스를 만난 마리우스와 술라의 태도인데그들은 수 십 만의 대군을 부릴 수 있는 미트리다테스를 전혀 두려워하지 않고 있었다.


     일견 로마인들의 자만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후반에 술라와 미트리다테스가 직접 만나는 장면에서 그 이유가 설명된다술라의 군대가 도로를 만들고 있다는 소식에 미트리다테스는 병사들은 쓰고 버리면 그만인데다가어떤 길이든 있기만 하면 채찍을 써서 병사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며 구태여 길을 더 낫게 만들려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반문한다애초에 잘 훈련된 병사들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이고이후 원활한 보급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작전을 꾀할 수 있다는 군사적 목적을 떠올리지 못한다는 것만으로도 그가 얼마나 전략적 사고가 부족한지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미트리다테스는 로마를 이길 수 없었다.

 


     또 한 가지는 이 시기 결혼에 관한 부분이다드루수스와 카이피오 집안의 결혼 중 하나(드루수르와 카이피오는 서로의 여동생과 결혼을 했다)는 완전히 망가져버렸다가부장적 사회에서 아버지를 대신하는 오빠의 명령으로 카이피오와 원하지 않은 결혼을 했던 리비아는 결국 남편이 없는 사이 불륜관계를 맺다가 발각되어 이혼을 당한다(리비아는 기꺼이 응하고불륜 상대와 결혼해 몇 년간 즐겁게 살다 출산 후유증으로 사망한다).


     비단 리비아의 불행한 결혼을 가부장제의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그 시대 수많은 가정들은 그런 식으로 맺어졌고모두가 리비아의 경우처럼 이혼으로 끝난 건 아니었으니까그보다는 결혼에 대한지금과는 상당히 다른 관점을 가졌던 고대인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기회로 여기면 좋을 것 같다결혼과 이혼은 지금보다 훨씬 자유로웠고정치적인 이유로경제적인 이유로 맺어지는 커플에 관해 아무런 문제의식이 없었다.


     사실 결혼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이 생겨나기 이전에는 이런 모습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일반적이었다결혼에서 그 당사자들의 의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개념은 오롯이 기독교의 산물이다.

 


     이번 권에서 세 번째로 중요한 주제는 로마 시민권이다특히 이탈리아 반도 안에서 살아가는 이탈리아인들은 로마 시민권도그보다 낮은 급의 (투표 참여가 불가능한) ‘라티움 시민권도 갖지 못하고 있었다반면 그들은 전쟁에 나갈 때마다 병력제공을 요구받았고시민권자가 아니기에 세금(직접세)의 부담도 가지고 있었다전쟁에서 이탈리아인들이 전사하는 수가 늘어나면서 그들의 땅은 로마에서 온 돈 많은 귀족들이 차지하는 결과가 반복되면서 이들의 불만은 점점 늘어간다소위 동맹시 전쟁이 일어날 전조가 무르익고 있었다.


     하지만 로마의 귀족들은 이런 상황을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자신들이 마치 태초부터 신성한 피를 가지고 태어나기라도 한 양이탈리아인들의 불만을 어이없는 일로 무시해버린다동맹시 전쟁으로 서로간의 엄청난 피해가 생긴 이후에야 비로소 시민권 확대를 생각했으니어느 시대든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는 혜안을 지닌 사람은 소수라는 점을 떠올리게 된다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로마의 귀족들이 이탈리아인들을 접할 기회 자체가 적었다는 점에 있었다사업상 매우 제한된 범위 안에서만 만났을 뿐이고이런 사회적 차단벽은 문제 해결을 막는 위험요소였다생각해 보면 이런 벽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것 같지만.

 


     작가의 글쓰기 방식에 서서히 익숙해지는 듯하다로마 공화정이라는 거대한 고목이 서서히 쓰러지는 과정을 다양한 장면을 통해 보여주는 기술이 훌륭하다마치 드라마를 보듯큰 줄기와 거기에서 뻗어나오는 지류가 교차되면서 지루함도 덜어주고흥미로운 건 포에니 전쟁에서 승리한 이 시점이 로마 공화정의 전성기였다는 부분이다전성기 로마는 동시에 쓰려지고 있었다.


     여전히 큰 그림에서의 분석은 부족하지만이게 역사 소설이라는 걸 생각하면 이제 그런 불만은 묻어둬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