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 무슨 커다란 이야기가 펼쳐지는 건 아니지만, 전형적 일본의 시골 가족을 중심으로 소소하면서 감동적인 스토리가 그려질 거라고 예상했다. 비슷한 느낌의 다른 일본 영화들처럼. 하지만 이 영화는 완전히 그런 기대를 깨버린다. 영화를 보는 내내 ‘이게 뭐임?’이라는 생각이 계속 떠올랐으니까.

영화가 시작되자마자 짝사랑하던 여학생을 떠나보내는 아들 하지메의 이마에서 기차가 조금씩 빠져나오고, 그 빈자리가 뻥 뚫려 있는 엽기적인 모습이 등장한다. (여기서 알아봤어야 했다.) 하지메의 어린 여동생인 사치코는 자신의 거대한 이미지 때문에 골치가 아픈 초등학생인데, 영화 중간중간 정말로 엄청나게 큰 사치코의 얼굴이 사치코를 바라보는 모습이 묘사된다. 설정상 그 모양은 오직 사치코 자신에게만 보는 것 같은데, 무엇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는 알 수가 없다.
여기에 약간 치매기가 있어 보이는 할아버지는 무슨 마임을 하는 것 같긴 한데, 어떤 캐릭터인지 알 수가 없고, 엄마 요시코나 외삼촌 아야노도 별다른 이야기를 만들어 내지는 못하고 있다. 이 영화.... 어떻게 보라는 거지.
일단 재미가 있고 없고를 떠나서 이야기에 논리가 있어야 뭐라고 평을 할 텐데.... 영화 속 캐릭터들은 뿔뿔이 흩어져 있어서, 가족이라는 이름을 가지고는 있지만 서로 특별한 교류가 이어지지 않는다. 매우 적은 대화를 주고받으면서 각자의 고립된 생활을 이어나가는 식. 코미디를 표방하고 있지만, 기껏 사용하는 게 진지한 분위기에서 갑자기 튀어나오는 똥이나 슬랩스틱이라면 그닥 공감이 되지 않는 것이 당연할지도..

영화보다 네이버의 영화 한줄평이 더 재미있다. ‘이런 영화를 만드는 건 분명 재주인 것 같다’는 반어적 표현도 재미있지만, ‘산뜻하고 평화로운 어느 시골에서 자란 대마를 핀 것 같다’는, 작정하고 비꼬는 평도 재미있다. 정말 소위 ‘약 빨고’ 만든 영화 같으니까. 메시지도, 감동도, 비주얼도 볼 것이 별로 없었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