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소 삐끼로 시작해서 이제 자신의 클럽까지 열게 된 찬우(박해수). 비록 유흥업소지만 불법을 저지르지 않고 운영하겠다는 나름의 신념을 가진 인물이다. 그리고 그 반대편에는 자신의 성공을 위해 사건을 조작하고 은폐하는 데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검사 윤식(이창훈)이 있다.(다만 이쪽은 그간 주로 조연급으로만 출연해서 그런지 영화 안 비중이 제법 높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만큼 강한 존재감을 내비치지 못하는 느낌이다)

 

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유흥업소 사장과 준법 의식 자체가 탑재되지 않은 검사라는 캐릭터는 그 자체로 뭔가 그림을 만들어 내나 싶었지만, 주연을 거의 처음 맡았던 두 배우의 연기가 역할에 몰입되지 못하고 살짝 들떠 있는 느낌을 준다. 또 뭔가 판을 그린 것은 알겠는데, 그게 매우 제한된 인물의 대사로만 묘사되니 실감이 나지 않는달까.

 

결정적으로 영화 제목이면서, 주인공 찬우가 끊임없이 떠드는 양자물리학이라는 소재도 지나치게 가볍게만 다뤄지는 느낌이다. 정말로 양자물리학 이론 가운데에 생각하는 대로 일이 이뤄진다는 말이 들어있던가? 영화 속에선 별 맥락 없이 무작정 긍정적으로 생각하려는 주인공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소재 그 이상은 아니었다. 개인적으로는 처음 이 제목을 봤을 때 양자두 사람으로 해석해서 뭔가 언어유희를 시도하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그런 건 전혀 없다. 그렇다면 이 영화의 차별성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

 

 

 

 

최근 검찰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영화 속 검사와 같은 인물들이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 수법의 강도는 다르더라도 우리에게 잘 알려진 특별한 수사들에서 검사들이 보여주는 행태는 대체로 실망스러웠던 것 같다. (물론 많은 사건들을 성실하게 담당하는 검사들이 있다는 걸 잊어버리면 안 되겠지만.) 정치인들이나 재계 인사들처럼 드러나지만 않았을 뿐이지 그들은 엄청나게 많은 힘을 가지고 있었고, 이 힘을 자신들의 권력을 강화하는 데 재사용해 왔던 것처럼 보인다.

 

물론 뭐 이 영화가 그런 개혁의 대상이 된 검찰을 고발하거나 비꼬는 작품은 아니다.(그런 쪽이라면 차라리 영화 부당거래의 류승범이 훨씬 더 제대로 깐족댔다) 어쩌면 그런 걸 겨냥해서 만들었을지도 모르지만,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도 검착 개혁이라는 게 그리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 외려 최근 돌아가는 형세를 보니 검찰 쪽은 자신들이 가진 권력의 작은 한 조각도 뺏기기 싫다는 형태로 달려들고 있으니, 이런 영화가 사회혼란을 조장하고 검찰의 명예를 훼손시켰다며 기소하겠다고 나설지도 모를 일이다.(농담이다)

 

 

 

 

 

특별히 인상적인 포인트가 보이지 않았던 영화. 어디선가 본 듯한 소재에, 어디선가 본 듯한 전개(그나마 생뚱맞은 부분도 많고), 별 감동도 없는 결말까지. 각자가 맡은 역할이 할 수 있는 일을 최대한 뽑아내지도 못하고, 게임의 NPC처럼 움직이는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