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의 밤
한느 오스타빅 지음, 함연진 옮김 / 열아홉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는 노르웨이의 한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북유럽 근처에도 가보지 못했지만, 소설 속 배경이 되는 시골의 전경이 눈에 선하게 그려진다. 두껍게 내린 눈과 저녁이 되면 거리와 상점에 불이 꺼지고 주택 창을 통해 드문드문 빛이 비치는 곳, 주택가와 좀 떨어진 시내에도 별다른 놀이꺼리가 없어서 순회하는 놀이시설이 유일한 즐길 꺼리인 곳. 특별한 장() 구분 없이 단숨에 이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작가는 자신이 확실히 그림을 그려낼 줄 아는 표현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두 사람이다. 싱글맘으로 아들을 키우고 있는 비베케와 그의 아들 욘. 아홉 살 생일을 하루 앞둔 욘은 엄마가 자신을 위해 멋진 케이크와 선물을 준비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엄마의 신경을 거스르지 않으려고 애쓴다. 저녁 식사를 하면서 낮에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지만, 비베케는 그런 욘에게 진지하게 관심을 쏟기 보다는 자신의 삶에 관해 생각하느라 바쁘다. 식사를 마친 후 욘은 이웃집으로 복권을 판매하기 위해 나가고, 비베케는 도서관에 책을 반납하기 위해 나서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침 도서관 휴관일에 걸린 것을 알게 된 비베케는 이동 놀이시설에 갔다가 한 남자를 만났고, 그와의 환상적인 관계를 떠올리면서 시간을 보낸다. 이웃집에 갔던 욘은 한 노인에게 모두 복권을 팔고는 스케이트를 타고 있던 소녀들을 만나 그 집에까지 놀러가고. 같은 시간, 서로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있는 두 사람에게서 각각 묘한 긴장감과 불안감이 느껴진다.

     작가는 따로 장을 구분하지 않고, 겨우 문단만 바꿔가면서 두 사람의 이야기를 교차적으로 묘사하는 특별한 방식으로 글을 이어간다. 때문에 집중해 읽고 있으면서도 깜빡 하면 이게 비베케의 생각인지 욘의 이야기인지 헷갈릴 정도다. 이런 방식은 무엇을 위한 것이었는지 따로 설명은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두 사람이 뭔가로 이어져 있음을 보여주는 장치가 아닌가 싶다. 영상으로 표현하면 그냥 장면의 전환이 두 공간을 오고가는 식이겠지만, 글로 보면 마치 두 사람이 정신을 공유하는 느낌이랄까.

 

 

     주인공 비베케의 책에 대한 사랑이 인상적이다. 문이 닫힌 도서관 앞에서 가져온 책을 반납기에 떨어뜨려 넣는 장면에서 작가는 이런 문장을 덧붙인다.

 

책을 바닥에 쌓아 두는 것은 마음 아픈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좋아하는 사람들을 남겨두고 오는 일과 같았다.”

 

      정말 멋진 문장 아닌가. 조금 앞에 마을의 작은 도서관을 묘사하는 문장도 예쁘다.

 

이 도서관은 화분에 심긴 예쁜 식물들이 있고 벽에 멋진 포스터도 많이 붙어 있어 일단 오면 정말 기분 좋은 장소였다.”

  

      진심으로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나 느낄만한 포인트를 이렇게 잘 짚어 내다니... 이 부분은 비베케가 갖고 있는 소녀 같은 감성을 잘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누가 도서관 벽에 붙은 포스터를 보고 기분이 좋아질까. 이제 아홉 살이 되는 아들을 갖고 있지만, 여전히 비베케는 낭만적인 만남을 꿈꾼다. 그녀의 이전 남자가 어떤 인물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이런 비베케를 아마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것일 듯하다. 순수함은 때로 엄청난 부담감, 혹은 책임감을 느끼게 만드니까. 책을 읽는 속도를 가지고 상대를 알 수 있다고 여기는 여자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남자가 몇이나 될까.

     이 날 밤 선뜻 처음 보는 남자를 따라 그의 트레일러에 머물고 드라이브를 하고 바에 가는 모습도 그런 순진함을 보여주는 것 같다. 다만 독자들은 그런 모습을 보며 좀처럼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는 게 함정. 하물며 집에는(사실 집 밖이지만) 어린 아들만 혼자 남아 있는데 말이다. 그런데 이런 순진한 대담함은 유전이었던 건지, 욘 또한 처음 만난 사람들을 아무런 의심 없이 따라다닌다. 처음의 복권을 사 준 노인도, 소녀들의 집도, 그리고 처음 만난 여자의 차도. 그런데 우리나라 같으면 단숨에 유괴 같은 전개가 나올 것은 분위기에서도 이야기는 기대와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 (북유럽 시골 마을의 안전함인가..)

 

 

     ​단 하룻밤 동안 벌어지는 이야기인지라 많은 사건들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빠르고 긴박감 넘치는 식의 이야기를 좋아한다면 좀 심심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듯하다. 이야기의 결말도 아 이렇게 끝나버리나싶은 면이 있으니까. 무슨무슨 문학상을 받았다는 걸 보면 문학성은 이런 애매함 가운데서 나오나 싶기도 하지만, 뭐 그건 잘 아는 분들의 기준이고.

     노르웨이의 시골마을처럼, 모든 것이 느리고 조용히 지나간다. 그 느린 속도에 함께 올라탄다면 괜찮은 두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하지 않을까 싶다.

 

그녀는 그가 책을 읽을 때 안경을 쓸 것이라 생각했다. 금속 테로 된 둥근 안경. 한편으로는 그가 책을 빨리 읽는 사람인지 천천히 읽는 사람인지 궁금했다. 한번 물어보고 싶었다. 책을 읽는 속도가 그 사람의 생활 리듬과 삶의 방식을 대변한다고 여기기 때문이었다. - P1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