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페미니즘은 틀렸다 - 혐오에서 연대로
오세라비 지음 / 좁쌀한알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이라는 일종의 사회운동이 시작된 지는 수십 년 이상이 되었다지만, 나 같은 평범한 사람들의 귀에 이 명칭이 익숙해지기 시작한 건 최근 몇 년 사이의 일인 듯하다. 처음 간략히 그 이름과 개념을 들었을 때는 자연스럽게 동조하는 마음이 들었다. 여성들이 느끼는 상대적인 박탈감은 분명히 존재하는 듯했고, 단순히 성별을 이유로 차별을 하는 건 불공평한 일이라는 건 잠깐만 생각해봐도 동의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그 이후 언론에 등장하는 페미니스트들의 사고와 행동들을 보면서 의아한 생각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단지 충분한 논리적 사고가 부족한 것을 넘어(예컨대 머리를 짧게 자르고 화장을 하지 않는 것이 여성해방의 대단한 증거인 양 생각하며 강요하는 것이나 소위 미러링이라는 행태의 옹호 같은), 상당수의 주장들이 증오와 혐오 같은 파괴적 감정에 매어있는 듯했기 때문이다.(단순히 허세나 허언증에 근거한 거짓말 같은 건 그냥 넘어가자)

     물론 어떤페미니스트들이 이상한 짓을 한다고 해서 모든 페미니스트가 욕을 먹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개인적으로 페미니즘의 역사나 현실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페미니즘은 ~~’라는 식의 사고는 가능한 하지 않으려 했다. 이 책은 바로 그런 부분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페미니즘의 역사와 우리나라 페미니즘의 발전 양상, 다양한 페미니즘 내의 조류 가운데 최근 물의를 일으키는 이들은 어디쯤에 서 있는지, 그리고 어떤 식으로 발전적 극복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제안까지 실려 있다.

 

 

     저자가 꼽고 있는 현재의 극단주의적 페미니즘(분리주의 페미니즘, 레즈비언 페미니즘)의 가장 큰 문제는 역시 그것이 (남성 일반에 대한) 혐오 위에 세워져 있다는 점이다. 소위 미러링이라는 거창한 이름으로 남성을 조롱하거나 괴롭히는 행위를 당당히 표현하고, 이를 충분히 그럴 수 있는 것’, ‘그렇게 해야 마땅한 것정도로 변호하는 일련의 행위는 분명 비논리적이다. 어떤 남성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았기 때문에(이 때 부당한 대우는 꼭 자신이 받지 않은 것이라 해도 상관이 없다) 모든 남성을 공격한다는 논리는, 내가 새똥을 머리에 맞았으니 지구상의 모든 새들을 다 죽여야 한다는 황당한 생각과 비슷하다. 우선은 주장의 방향이 잘못되었고, 최소한의 비례성이나 대칭성조차 갖추지 못했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의 극단주의적 페미니즘에서는 모든 여성의 피해자와, 그리고 모든 남성의 (잠재적) 가해자화, 문화적 검열, 남녀의 분리 같은 다양한 문제들이 보인다. 저자는 그 이유를 우리나라의 페미니즘이 1970년대 미국의 극단주의적(그리고 백인 여성 중심적) 페미니즘을 그대로 수입한 후 별다른 발전 없이 교조주의적으로 따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분명 서로 상황이 다르고, 많은 시간이 흘렀는데도 불구하고 50년 전 이해(대표적으로 이미 사실상 희미해진 가부장제 철폐 구호다)에 머물고 있다는 것

 

     단지 일부의 문제인 줄 알았던 것들이 그 부류에 속한 사람들이 전반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생각이었다는 걸 알게 되니 확실히 문제를 바라보는 시선이 바뀐다. 애초에 건강하지 못한 세계관 위에 세워진 구호와 행동들은 태생적으로 좋은 열매를 맺기 어렵다. 여성들만을 위한 세계나 여성우월주의, 여성이 하면 모든 게 만사형통이라는 관점은 엉터리 판타지다.

 

 

      그러면 무엇 때문에 이런 상황에까지 오게 된 걸까? 저자는 우리나라 페미니즘을 이끌고 있는 이들의 성격을 분석하면서 그 해답을 찾아간다. 우선 다양한 여성할당제도를 통해 권력에 손쉽게 진출하려는 명망가 페미니스트들이 있다. 예컨대 한국여성단체연합의 대표가 되면 여야 정당의 비례대표를 통해 거의 당연하다시피 국회의원이 될 수 있다. 이들은 자신들에게 권력을 쥐어주는 현재의 구조를 그다지 바꿀 이유가 없다. , 페미니즘을 옹호하는 글과 강연을 통해 수익을 얻는 직업 페미니스트도 있다. 이들 역시 자신들을 필요로 하는 갈등을 마다하지 않는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정작 지지와 도움이 필요한 대다수 여성들의 상황의 개선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모든 남성을 적으로 돌리고 증오와 혐오를 통해 자기들끼리 킥킥대는 행동이 도움이 필요한 어린 미혼모의 지원이나 가난한 여성 노인문제, 여성 노동자들의 처우개선(특히 이 부분은 애초에 페미니즘 운동의 목적이기도 했다)에 어떤 도움을 제공해왔는가?

 

     저자는 여성우월주의가 아니라 인권을 중심으로 한 휴머니즘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남성과 여성은 적이 아니라 함께 인간적인 대우를 받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관계다. 하나의 성이 다른 성을 지배하는 식이 아니라, 함께 연대하며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는 극히 당연하고 타당한 주장이 반가워지는 현실은 분명 뭔가 문제가 있지 않을까.

 

 

      문장들은 쉽게 읽힌다. 가능하면 어려운 단어들을 사용하지 않고, 쉽게, 문제가 되는 상황을 정확하게 설명하려고 하는 노력이 보인다. 다만 비슷한 내용이 몇 번씩 반복되는 경향이 있고, 문제가 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조금은 추상적이고 구호에 그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든다. 일단 책이 문제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게 아니라 문제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니 어느 정도 이해해야 할 부분이다.

 

페미니즘 사상에 깊이 물든 젊은 여성들 대다수가 대학 교육 혜택을 받으며 과거 세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급진 페미니즘이 성장할 자양분이 부족한 셈이다. 하지만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성향은 상대적 박탈감을 제어하지 못한다. 욕망을 다스리지 못한 이들은 급진적 페미니즘에 쉽게 빠져들었다. - P6

우리 사회가 진일보하려면 메갈리아식 극혐은 지탄받아야 한다. 일베가 비난받듯 메갈리아도 비난받아야 한다. 메갈리아가 일베의 혐오에 미러링으로 되돌려줬다 해서 좌파 진영이 메갈리안들에게 정당성을 부여하고 더 나아가 부추김은 전적으로 옳지 못하다. 혐오를 넘어 연대로 나아가야 한다. - P21

상층부 엘리트 지식인들이 남성 혐오에 대해 정당성을 부여한 데 대한 피해 계층은 이른바 수많은 이름 없는 흙수저 남성들이다. 또한, 급진적 페미니즘 전성시대의 피해 계층은 주로 흙수저 여성들이다.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사회적 약자층으로 남성 혐오가 심하면 심할수록 먼저 희생양이 된다. 급진적 페미니즘이 성 권력에 주목하면 할수록 보통 여성들의 삶과는 동떨어지게 된다. - P60

대다수 여성들의 삶을 위한 제도 개선과는 거리가 먼 여성단체 상층부 인사들의 의회 입성 관문으로 전락한 것이 여성 할당제다. 여성이 정치권의 소수이고 사회적 약자라는 명분을 내세워 여성 할당제를 악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이것이 남성 역차별을 일으키지는 않는지 진지하게 돌아봐야 할 문제다. - P171

여자 대학생들은 페미니즘이라는 보호막이 자신들을 안전하게 해주리라는 착각을 한다. 여성단체가 압력을 넣어 갖가지 여성 전용 제도를 만들어주면 여기에 환호한다. 페미니즘이란 이렇듯 여성들을 사회적 약자, 신체적 약자라는 틀 속에 가두어버린다. - P1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