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땀 흘리는 글 - 내일도 일터로 나아갈 당신을 위하여 ㅣ 땀 시리즈
송승훈 외 엮음 / 창비교육 / 2020년 5월
평점 :
나만 힘든 거 아니다. 모두 지치고 힘들다. 힘을 내보자. 해도 힘들다. 내색하지 않으려고 했는데 얼굴에는 티가 난다. 찬물을 들이키고 심호흡을 한다. 애를 써보자. 없는 영혼이라도 불러오자. 멘탈이 탈탈 털리고 집으로 돌아온다. 집에 오는 길은 때론 너무 길어. 나는 더욱더 지치곤 해. 내 뒷모습에 패닉의 달팽이 노래가 깔리는 것 같은데. 기분 탓인가.
노동은 신성하다고 했다. 누군가 그랬다. 누가 그랬냐. 신성하다고 하니 열심히 노동을 했다. 일하지 않은 자 먹지도 말라고 했다는 말까지 덤으로 들으면서. 학교 졸업하고 바로 일을 구했다. 엄마가 한 달까지만 생활비를 준다고 했다. 100만 원이라고 했는데 실수령액은 90만 원을 받았다. 1년 6개월을 90만 원 받고 차비로 30만 원을 썼다. 뭘 모르고 몰라서. 출퇴근이 힘들어서 그만두고 쉬었다. 벌어 놓은 돈을 까먹으면서. 통장 잔고가 0으로 다다를 때 다시 일을 구했다.
일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다시 들까 봐 마음을 다잡기 위해 『땀 흘리는 글』을 읽었다. 창비교육에서 나오는 '땀 흘리는 시리즈' 중의 한 권이다. 그야말로 살아 있는 글의 모음이다. 노동의 현장에서 직접 겪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글을 읽으며 이렇게 쓰고 싶다고 나는 왜 이렇게 못 쓰는 건가 생각했다. 진솔하고 구체적이다. 화려한 기교 없이도 마음을 울린다. 모두 체험의 글이기 때문이리라.
작사가, 소설가, 선생님, 의사, 간호사, 교도관, 요리사, 아르바이트생, 콜센터 직원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이들이 노동을 하며 느꼈던 감정을 풀어 놓는다. 일을 시작하게 된 계기부터 일을 하며 겪어야 했던 부당함, 자신을 놓을까 봐 두려웠던 시간까지 들려준다. 부당 해고 이후의 시간. 일을 하다 다쳐 산재를 받기까지 과정. 일과 생활의 균형에 대해. 퇴사를 소비하는 행태.
『땀 흘리는 글』에는 꼭 알아야 하고 필요한 정보가 위로의 글과 함께 있다. 알바도 산재를 신청할 수 있고 비용이 부담 되면 고용노동청에 가서 노무사에게 무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고수익 보장한다는 구인 광고는 피해야 하고 스트레스에 짓눌리지 말고 적당히 달래고 져주기도 해야 한다는 것. 나만 힘든 게 아닌 땀 흘리며 살아가는 모든 이가 오늘 하루도 수고하고 있음을 한 번 더 깨닫는다.
힘들면 때려치우면 되는 거 아냐. 말할 수도 있지만 『땀 흘리는 글』에는 그럴 수 있는 사람은 용기가 아닌 더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고 한다. 버티는 내가 바보가 아니라고 말해주어서 고마웠다. 노동은 신성하지 않으며 신성한 건 노는 것이라고도 일러준다. 아닌 건 아니라고 말할 수 있게 되기까지. 월요일이 두렵지 않을 때까지. 성실, 근면, 노력, 열정이라는 허울 좋은 말로 우리의 내일을 압류 당하지 않게 되기를.
'토요일 땀의 방향'이라는 챕터 아래에는 이런 해시태그가 달려 있다. #퇴사하면 #입사하고싶고#입사하면#퇴사하고싶고. 힘들다고 징징대지만 내일도 알람이 울리면 성실하고도 근면하게 씻고 버스를 타러 갈 것이다. 스트레스에 비례해 통장 잔고가 쌓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날 필요로 하는 곳이 있다는 착각 같은 마음을 품고서. 숨쉬기를 잊지 않으며. 이래저래 지쳐 있다면 『땀 흘리는 글』을 추천합니다. 일단 글이 짧고요. 쉬워요. 내 마음이 네 마음? 공감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