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여서 좋은 직업 - 두 언어로 살아가는 번역가의 삶 ㅣ 마음산책 직업 시리즈
권남희 지음 / 마음산책 / 2021년 5월
평점 :
정말 그랬으면 좋겠다. 누구의 지시나 간섭도 받지 않고 혼자 일하면서 돈까지 벌고 싶다. 자주자주 생각하는 요즘이다. 며칠 전에 면접 하나 보고 왔는데 멘탈 털려서 내내 누워 있었다. 지나간 것에 후회나 자책을 하지 말라고 했지만 그 순간 나는 근무 시간, 급여 같은 기본적인 조건에 대해 묻지 못한 것이 죽도록 후회스럽다. 백수 되고 나름 여러 가지 일에 도전하고 있지만 진정 내가 하고 싶은 일은 문학과 관련된 것이라는 걸 깨닫고 있는 중이다.
가뭄에 콩 나듯 그런 자리가 하나 나서 당장 이력서를 보냈다. 구체적인 걸 말하고 싶지만 구체적인 걸 말하는 게 약간의 위험이 따른다는 걸 알기에 생략하고. 그날 나는 영혼이 털리고 멘탈이 깨져서 돌아왔다. 하라는 대로 하면 기본 사항에 대해 알려 줄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그냥 잘 가시라는 말. 연락드린다는 말. 검색창에 '면접, 다음에, 연락'이라고 쳐 보니 대부분 다음에 연락 같은 건 없다는 지식인들의 답변을 볼 수 있었다.
눈치는 있으니까. 망했구나. 연락 같은 건 오지 않겠구나 직감했지만 꼭 하고 싶은 일이기에 혹시나 하고 있지만 그날 나는 정말 바보 멍청이 같았다.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렸다. 희망 도서가 왔으니 찾아가라는 문자. 일본 문학 번역가 권남희의 『혼자여서 좋은 직업』을 신청했더랬지. 밀리지 않고 세금 내니 이 정도 요구는 할 수는 있는 거겠지. 하면서 매달 도서관에 희망 도서를 신청한다. 그전에 권남희의 산문집을 읽고 아 좋다, 쉽게 써서, 잘 읽힌다, 다음에 나오면 또 읽어야지 했다.
책에는 일본 문학을 번역하는 번역가의 자아와 딸을 키우는 엄마로서의 자아, 집을 사랑하는 집순이의 자아가 충돌하지 않고 모여 있다. 학연, 지연 같은 거 없이 번역해서 알리고 싶은 책이 있으면 발췌 번역을 하고 책 소개서를 써서 출판사에 돌렸다고 한다. 일본에 살 때는 서점에 서서 책의 뒷장을 보고 출판사의 전화번호를 적어 전화 기피증이 있는데도 전화를 걸어 판권이 팔렸냐고 물었다. 좀처럼 오르지 않는 번역료와 부드럽게 싸우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노력과 운이 더해지면 원하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는 걸 『혼자여서 좋은 직업』을 읽으면 느낄 수 있다.
도움이 됐던 글은 「자기소개」였다. 매일 밤공부 마치고 한글 창에 자기소개서 양식을 띄워 놓고 있는 게 일과다. 그래서 썼냐고? 단 한 편의 자기소개서도 쓰지 못했다. 어제는 이력서의 반까지만 썼다가 창을 꺼버렸다. 지원하려는 직무와 관련된 경험을 쓰라는 양식에서 막혀 버렸다. 없어요. 없어서 새롭게 도전해보려고요. 이따위로 썼다가는 서류에서 걸러지기에. 그전에 저는 내내 한 가지 일만 했어요. 라고 쓰면 성의가 없어 보이는 게 아니라 아예 성의 자체가 없기에.
잘나가는 일본 문학 번역가도 자기소개를 쓰는 게 힘들구나. 틈틈이 다른 이들이 쓴 자기소개를 보면서 고친다. 딸에게 한 번 보이고 고치고. 글을 읽고 대충 어떻게 써야겠다고 감을 잡은 건 아니지만 나 말고도 자기소개 쓰는 게 힘든 사람이 있구나, 외롭지 않을 수 있었다. 신춘문예 수필 심사 경험썰도 풀어준다. 혼자여서 좋은 직업인 번역가이지만 간간이 대외 활동을 하면서 쌓은 사람들과 쌓은 딱 책으로 쓰면 가슴 따뜻해질 사연이 곳곳에 있다. 문학은 사람 사는 이야기이니까.
책을 읽고 글을 쓴다는 건 일단 나를 돌보기 위함이라는 걸 그래야 다른 누군가들에게도 미움을 갖지 않을 수 있다는 걸 『혼자여서 좋은 직업』은 보여 준다. 혼자 일한다고 해서 사회성이 떨어진다거나 꽉 막힌 사람이 되진 않는다. 시답잖은 농담하고 말도 안 되는 지시를 내리고 고압적인 자세로 상대를 보는 태도를 가진 자들과 멀어질 수 있기에 정신 건강은 물론 육체 건강까지 챙길 수 있다. 그래서 정말 혼자 일하고 싶지만 그럴 능력이 되지 않으니 지금 가장 쓰기 힘든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