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의 발레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김의석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빅토리아의 발레>를 읽게 된 건 내 정신적 스승께서 추천해 주신 책이어서다.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를 쓴 스카르메타의 작품이기에 전작 정도의 재미를 기대했지만, 이건 좀 너무했다. 주인공 앙헬이 출소를 하고, 간수가 그를 죽이라며 다른 죄수를 풀어주는 첫장면부터 "이거 너무 재밌잖아!"라고 중얼거리기 시작했는데, 그 후 난 책을 덮을 때까지 높이 12미터짜리 파도에 버금가는 재미에 몸을 적셔가며 책을 읽었다. 30페이지 정도를 남겼을 땐 마침 운전 중이었는데, 결말이 너무도 궁금한 나머지 차가 밀릴 때마다 두어줄 씩 읽다보니 차가 밀리는 게 오히려 반가웠다.


제목만 보면 <빌리 엘리어트> 비슷한 얘기가 아닐까 싶었지만, 피노체트 이후의 칠레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을 통해 저자는 민주화라는 게 민중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칠레처럼 군부독재를 겪은 나라의 국민으로서 감히 말해 보자면, 군사정권은 사람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것 같다. 이 정권만 무너지면 모든 게 다 잘될 것이라는 허황된 꿈을. 군사정권이 물러가고 절차적 민주주의가 정착된 지금, 우리는 지금 어떤 꿈을 꾸고 있을까?


우울한 이야기는 그만하고 책에 대해 다시금 말해 보자면, 아무리 생각해도 스카르메타의 글솜씨는 참으로 뛰어나다. 스피디한 전개로 읽는 사람이 숨을 못쉬게 한다는 점에서도 그렇고, 책 곳곳에 보석같은 표현들을 배치해 놓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예컨대 이런 표현.

"너무 뜨겁게 달아오르는 나머지 마린(성에 대해 대단한 능력을 가진 사내)은 손으로 셔츠를 다림질한다는 소문마저 돌았다 (133쪽)."--> 이걸 세명 정도의 지인에게 말해 줬는데, 웃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나만 재밌었나봐.

"그는 음식을 구걸하는 대신 말의 이빨 사이에서 빼낸 홍당무 반쪽을 씹어먹는 걸로 자존심을 만족시켰다 (171쪽)"--> 아이들이 말똥에 섞여 나온 곡식을 꼬챙이로 집어먹는 것으로 굶주림을 표현한 <칼의 노래>에 버금가는 표현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의 아쉬운 점을 말해 본다. 이따금씩 발견되는 오타는 별로 아쉽지 않았지만, 앙헬과 빅토리아가 질문을 주고받으며 시험공부를 하다 나온 다음 문장은 명백한 오류다.

앙헬: 담즙이 뭐지?

빅토리아: 췌장의 분비물이야.

담즙은 담낭에서 농축되어 담도로 배설되는 소화액이지 췌장의 분비물은 아니다. 이것 역시 책 전체로 보면 별 거 아닐 수 있지만, 전공이 전공인지라 이 대목이 오래 마음에 남았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8-08-08 1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하하하하 전 웃었어요. 얼마나 뜨거웠으면! 저런 비유와 상징은 글 잘 못쓰는 사람이 쓰면 정말 판에 박힌 그런 것들이 되곤 하는데, 제대로 쓸 줄 아는 이에게 가면 저런 글들이 나오는거죠. 말로 시리즈를 제가 그런 이유로 탐독했답니다.

무스탕 2008-08-08 1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운전하시며 책 내지는 신문 그런거 읽으시면 마~아니 위험합니다..(저도 몇 번 그래봤지만요.. ^^;;)

다락방 2008-08-08 1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무 뜨겁게 달아오르는 나머지 마린(성에 대해 대단한 능력을 가진 사내)은 손으로 셔츠를 다림질한다는 소문마저 돌았다 (133쪽)."--> 전 웃었어요, 마태우스님. 흐흐


[달콤 쌉싸름한 초콜렛]이 생각나는 문장이기도 했어요.:)

무해한모리군 2008-08-08 17: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저도 이책을 읽고 싶은 욕망에 아주 뜨거워지는데요 흐흐
근데 받는데 오일이나 걸리네요 ㅠ.ㅠ

최상의발명품 2008-08-09 0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손으로 다림질이라니, 어떻게 그런 표현을 할 수 있는 걸까요 ㅎㅎㅎ
차가 밀릴 때마다 못참고 읽으셨다니 정말 재밌게 읽으셨나봐요.
담즙 얘기 하시니 염상섭 소설이 생각나네요.
청개구리의 내장에서 김이 모락모락 난다고 했는데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선생님이 오류라고 하신 게 기억이 나요.

마태우스 2008-08-12 0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상의발명품님/그렇죠? 이런 대목도 있어요. 그 친구가 워낙 여자에게 잘 해서, 다른 남자들도 다 열심히 하려 했다는...^^ 염상섭 소설은 말로만 들었지 읽진 않았어요. 그게 오류란 얘기는 많이 들었지만요.
휘모리님/기다리느라 두근거리는 마음이 5일, 읽느라 즐거운 마음이 사흘!!^^
다락방님/역시 님과 저는 유머가 통해요!!
무스탕님/그렇죠? 원래는 운전 안하는데, 그땐 좀 사정이 어려워서 할수없이 차를 가지고 천안에 갔지요. 역시 대중교통이 좋아요
주드님/맞아요 판에 박힌 표현 대신 저런 멋진 표현들을 만들수 있는 힘, 그게 좋은 작가의 조건이죠!! 말로 시리즈라, 흠.... 궁금해지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