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시사인) 제909호 : 2025.02.18
시사IN 편집국 지음 / 참언론(잡지)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호에도 여러 좋은 기사가 있다. 다음의 기사에서 많은 정보를 얻었다. 


... 딥시크의 LLM인 V3는 이 회사가 자체 개발한 모델이 아니다. 딥시크의 논문을 분석한 <파이낸셜타임스> 1월29일 보도에 따르면, 딥시크는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는 메타와 알리바바의 LLM을 추가 학습시켜 성능을 개선했다. 그 결과가 바로 V3다. 추가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는 R1으로 생성했다. 이를 통해 V3는 R1의 추론 방법을 모방해 더 나은 LLM으로 개선될 수 있었다. 

...

  이 외에도 작은 연산 능력과 메모리, 전력으로 비교적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여러 기술들이 딥시크 모델에 적용되었다. 그만큼 모델이 가벼워졌다. 그 각각의 기술들이 독창적인 것은 아니다. AI 업계에서 이미 파편적으로 사용되어왔다. 딥시크는 그런 기술들을 잘 결합시켰다. 그 덕분에 테크 자이언트들보다 훨씬 적은 자원으로 효율적인 추론 능력을 구현할 수 있었다. 당초에 딥시크의 주장을 의심하던 전문가들도 오픈소스를 따라 적용해보고 감탄하는 수준이다. (24~25 페이지)

  그러나 미·중 AI 전쟁의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이 거둔 가장 큰 성과는 미국 AI 산업의 발전 경로 자체에 치명타를 가했다는 것이다. 최첨단 모델 구축 비용이 딥시크로 인해 급격히 하락했기 때문이다. 그만큼 진입장벽이 낮아졌다. 소규모 스타트업이나 연구팀도 AI 시장에 비교적 쉽게 들어갈 수 있다. 이로써 미국 테크 자이언트들과 자본시장은 지금까지의 생태계에서 기대할 수 있는 독점 이익을 상실하게 되었다. (25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