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이 일인칭의 관점이냐, 삼인칭의 관점이냐, 즉 주관적 서술이냐 객관적 서술이냐고 했을 때, 당연히 객관적 서술이라고 우리는 이해한다. 하지만 양자역학은 객관적 서술이 불가능함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로벨리는 관계적 해석을 통해 객관성이 단지 환상이며, 세상의 본질은 '상호작용'임을 강조한다. 물리학도 본질적으로 주관적 서술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파동함수의 붕괴를 일으키는 것은 '의식'이 아니라 '상호작용'이다. 문제는 (적어도 미시 세계에서) 객관적 실재라는 것이 없어진다는 것인데, 정말 그럴까. 세상은 실체가 없다는 차원에서 '공'이 본질인가? 


사실 의식은 양자역학과는 큰 관계가 없다는 것이 일반적 의견이다. 물론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 Typhoons and volcanoes, as far as we know, don't have subjective worlds of inner experience. We aren't missing first-person accounts. But for anything conscious, that is precisely what our objective third-party description lacks. (Greene, p. 126)

  Thomas Nagel, in a celebrated article, asked the question, "What is it like to be a bat?" He argued that this question is meaningful but escapes natural science. The mistake, here, is to assume that physics is the description of things in the third person. On the contrary, the relational perspective shows that physics is always a first-person description of reality, from one perspective. (Rovelli, p. 183)

... He [David Chalmers] argued that not only are we lacking a bridge from mindless particles to mindful experience, if we try to build one using a reductionist blueprint--making use of the particles and laws that constitute the fundamental basis of science as we know it--we will fail. (Greene, p. 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