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내는 것을 좋아하는 저는 2017년부터 작년까지 2개월마다 읽은 책들의 목록을 소개하고, 간단히 분류했었습니다. 2년이면 이제 나름의 기초자료도 모인 셈, 몇 가지 간단한 통계를 내 보았습니다.



1 가장 책을 많이 읽은 기간은 2017년 07-08월, 가장 적게 읽은 기간은 2018년 09-12월. 각각 120권, 74권을 읽었습니다. 평균적으로 각각 60권, 19권을 읽은 셈이니 약 3배보다 좀 더 차이가 나네요.


2 2017년엔 458권, 2018년엔 337권을 읽었습니다. 동기 대비 27.4% 감소했네요. 2018년 1월부터 6월까지는 외려 동기 대비 35% 증가했었지만, 그 뒤에 동기 대비 57.5%나 줄어버려서 평균이 저렇게 나온 것입니다. 저도 사실은 작년 6월까지만 해도, "음, 올해는 작년보다 책을 한 권이라도 더 읽을 수 있겠군." 하고는 생각했었죠. 그런데 그러지 못할 이유가 충분히 있었다고 봅니다. 단순히 게으름에서 비롯된 일은 아닌 것 같네요.


3 대분류 중에서는 '문학'을 가장 많이 찾아 읽었네요. 2년 동안 444권이었습니다. 그중 일본문학68.2%이니, 편식이 좀 심했지요. 달리 말하면 하나를 충분히 끝낼 시간이었기도, 그럴 만한 노력을 쏟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각 기간 동안 읽은 책 중 일본문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1월부터 8월까지 수직상승해 8월에는 결국 읽은 책 중 30%를 차지하고, 2018년 2월엔 무려 66%나 됩니다. 하지만 12월에는 23%까지 떨어집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이긴 합니다.


4 '문학'의 비중은 어떨까요? 2017년 2월을 제외하고는 모든 기간에서 40%를 넘습니다. 2017년 12월부터는 50%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네요. 사실 읽은 책 수가 급격히 올라간 것은 문학을 읽는 비중이 커진 것과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5 '문학' 다음으론 '사회과학'이었습니다. 3위인 '자연과학/기술과학'을 1만큼 읽었다면 '사회과학' 분류는 2.58만큼, 문학은 7.01만큼 읽었네요.


6 '일본문학' 다음으로 자주 찾은 것은 '기타문학'입니다. 사실 2위이다 보니 '기타'라는 수식이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만, 그리 자주 읽으리라 생각했기 때문에 부득이 이렇게 나타냈었습니다. 분류는 각 분야에 하나라도 포함되도록 한, 2017년 2월에 만든 것이니까요.


이 '기타문학'엔 '영미문학'을 필두로 '프랑스문학', '독일문학', '중국문학' 등 '한국문학'을 뺀 모든 문학이 들어갑니다. '한국문학:일본문학:기타문학' 읽은 도서의 비는 '8%:68%:24%'이더군요.


7 가장 좋아하지 않았던 소분류는 '인문학'이었습니다. 하지만 혹시라도 글을 읽으실 여러분께는 첨언을 해야만 하겠네요. 저는 인문학에서 사회과학과 역사학을 빼내 따로 분류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인문학에는 심리학과 철학 그리고 잡다한 자기계발서 등만이 포함됩니다. 인문학에 포함된다고 한 위 두 장르와 자기계발서는 대표적인 것만 나타낸 것으로, 두 장르는 그래도 그나마 관심을 가진 분야이고 나머지엔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한국의 인문학 저자들이 매년 써내는 저작에는 시간을 그리 들이고 싶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서민, 고미숙, 홍성수, 강준만, 하승수, 정희진 등이 해당됩니다. 이들이 써내는 책은 엄연한 사실을 무시해서 객관성을 해친다고 표현할 수 있다거나 편협하고 내용이 빈약해서 투자한 시간 대비 얻는 게 기적적으로 적습니다. 사회과학 및 철학 서적이라는 훌륭한 대체재가 있다는 사실을 언제나 잊으면 안 됩니다.


여러 가지 더 찾아볼 수 있겠지만 이 정도로 해 두고 다음에 추가하든 해야겠습니다. 시간 나면 그래프도 붙여 봐야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국 도서관 네트워크는 꽤 만족스럽게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지자체별로 망이 분리되어 있었지만, 어느새 책이음 서비스가 서울권에도 도입되어서 이제 서울시민들도 카드 한 장으로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책을 빌릴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책이음 서비스와 같이 열심히 광고를 하고 있지만 절망스러운 인지도를 가진 게 하나 더 있는데, 그것이 바로 책바다 서비스다. 이름이 모호해 이게 뭔지 알아차리기 힘들다, 아니 알아차릴 수 없다! 쉽게 말하면 보고 싶은 책이 자신이 가는 도서관에 없을 때 다른 도서관에서 그 도서관으로 배송을 해주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시대가 이렇게도 변했나, 이런 프리미엄 혜택이 공공도서관에?"라고 생각할 사람들이 많을 거다. 사실 고등학교 다닐 때 논문 신청하면 학교로 배송도 해주는 걸 봐와서 크게 놀라진 않았지만. 물론 반전도 있어서, 이건 장애인 이용자를 제외하면 유료다. 대학도서관은 4,900원, 공공도서관은 4,500원으로, 협약이 된 도서관으로만 제한되었다.

그런데 언제부턴지는 모르겠지만 일부 지자체에서 3,000원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내 권역도 여기에 해당이 된다. 문제는 카드를 발급받은, 즉 소속 도서관으로만 책이 간다는 데에 있다. 내가 카드를 발급받은 도서관은 집에서 좀 떨어진 곳이다. 3년 하고 반년 전에 애인이랑 도서관 가서 공부하려다 회원증이 필요하대서 거기서 만들었건만 이게 이렇게 발목을 잡는다. 그곳까지는 거의 왕복 90분 정도라 온전히 서비스의 덕을 보기 그른 듯싶다.

언젠가 귀찮지 않으면 민원을 넣어봐야겠다. 지금은 소속 도서관이 아닌 곳으로 홈페이지에서 설정이 불가능하다. 내 지금 회원증 카드를 바꾸는 대안도 있을 것 같지만 그렇다고 또 그리 하고 싶지는 않다. 내게 저장강박증스러운 면이 있어서 오래된 물건을 갱신하는 것을 썩 좋아하지 않는다. 변명도 굳이 적어 보자면 누구나 출국 도장 찍힌 여권을 바꾸고 싶지 않아할 것이지 않나! 뭐 도서관 카드에 도장은 없지만.


아무튼 이를 가능하면 이용해보셔도 괜찮을 듯하다. 다만 서비스 이용절차는 한국답게 복잡하다. 관료들의 의견을 반영한다면 처음만 복잡하다고 한 걸음 뒤로 물러설 수도 있겠다.

먼저 소속 도서관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 아마 책이음 회원을 말하는 것 같은데, 도서관 가면 10분 내로 해준다. 아마 우리 빈곤한 독서가 여러분은 모든 책을 구매 못해 도서관을 이용하셨을 테니 회원 가입이 되어있을 것이고.


그다음은 책바다 회원가입이다. 이건 도서관에서 해주는지 모르겠다. 그냥 사이트에 들어가서 하면 된다. 어찌 된 것인지 도메인은 nl.go.kr을 달고 있으면서 책이음 사이트 아이디와 별개로 하나 더 만들어야 한다. 엄청난 삽질이다.

가입을 하고 승인이 되기까지 또 시일이 걸린다. 그래서 언젠가 빠르게 이용하고 싶다면 지금 가입해두는 게 좋다. 며칠이 지나 승인이 된 순간 진정으로 회원가입이 모두 완료된 것이다. 이제 자료 신청을 책바다 홈페이지에서 하면 된다. 대출 한도는 세 권까지인데 한 권이든 세 권이든 왕복 배송비는 위에 적힌 대로 고정이다. 자신이 소속 도서관에서 빌릴 수 있는 한도 다섯 권과 겹치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그 책을 소장한 도서관에서 승인이 난 뒤 택배비를 결제하면 책이 자신의 소속 도서관으로 배달된다. 그러면 이제 대출하여 최대 14일 동안 보고 소속 도서관으로 반납하면 된다. 내 권역 도서관에서 빌린 책은 그 권역 아무 도서관에 반납해도 알아서 제 위치를 찾아가는데 책바다 서비스는 아무래도 이를 지원하지 않을 것 같다. 14일이 넘어가면 어떻게 되는지도 나는 잘 모르니 부디 준법정신을 하루에 한 번 외치면서 문장을 읽어내려 가는 것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에버노트에 본격적으로 읽을 책 목록을 모은 건 약 1년 전이다. 어느덧 17,105 단어나 되었다고 하여, 과연 몇 권인가 엑셀에 넣어봤다.

1,602권이었다. 일견에 판단하기에 의외로 많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작년에 읽은 책이 약 150여 권이라는 사실을 상기해보면, 같은 속도로 읽었을 때 약 10년이 걸리는 셈이니 또 그렇지만도 않은 것이다.

당연하지만 이 목록의 도서 선정에 가장 우선이 되는 기준은 내 관심사와 취미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를 바탕으로 괜찮은 책들을 열심히 선별했다. 그러니까 대충 고른 것들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물론 나는 책을 읽지 않은 상태에서 골랐으니 그 수준을 장담할 수는 없지만.

세어 보진 않았지만 사회과학 분야가 가장 많아 보인다. 적어도 600권은 넘는다. 그 다음으로는 역사 관련 도서와 문학 및 에세이 분야 책의 수가 비슷한 것 같다.

독서의 즐거움을 늦게 깨달은 것은 두고 아쉬울 듯하다. 10년이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설이나 저서를 읽다 보면 "이 사람은 정말 아니다", "이 사람에게선 배울 것이 없다", 혹은 과장을 묻어 두고 "이 사람의 책을 읽는 시간을 다른 곳에 쓰면 더 생산적이겠다"와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다. 결국 우리가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 그리고 학계 추천 도서를 찾는 이유는 저러한 저자와의 만남을 최소화하려 하는 것이 아닌가. 나도 그런 욕망을 가진 인간이라 그런 방식으로 책을 골라 오기도 했다.

하지만 가끔은 그런 외적 판단에 의구심을 가지고 일부러 지뢰를 밟아 보기도 했다. 이것은 나의 유구한 버릇이기도 하다.

그 결과 정말 그런 사람들을 추려낼 수 있었다. 나는 그 사람들의 학문적 성과나 윤리적임을 존중하지 않는다. 신뢰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이들이 책을 낸다면 아마 그걸 또 읽을 것이다. 모르고 밟는 지뢰는 충격을 동반하지만 알고 밟는 것은 그 나름의 재미가 있다. 물론 사견이다.

곰곰이 생각해 보다 생각나는 대로 몇몇을 끄적이기로 했다. 다음과 같다.


  • 강O만
  • 하O수
  • 한O구
  • 하O창
  • 노O태
  • O욱
  • 유O찬
  • 김O철 (녹O평O)


  • 랑시에르
  • 프로이트
  • 바디우
  • 라캉


나와 같은 취미가 없다면 이들의 저작에 시간을 들이는 걸 그다지 추천하지 않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