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모두 저자가 되어야 한다 - 내가 만난 초보 저자와 글쓰기 비법
한기호 지음 / 북바이북 / 2017년 5월
평점 :
어떤 책은 내용은 별로인데 나와 코드가 잘 맞아 좋다고 설레발을 치게 하는가 하면,
어떤 책은 많은 사람들이 좋다고 상찬하는데, 내겐 지루하고 아무 재미가 없는 책이 있다.
이 책은 후자에 속한다.
이 책은 '내가 만난 초보 저자들과 글쓰기 비법'이라는 부제 아래 '우리 모두 저자가 되어야 한다'는 제목을 달고 있어서,
글쓰기 비법을 알려주는 안내서인줄 알았다.
거기다가 리뷰를 아주 맛깔스럽게 쓰시는 ㅂ님이 상찬하셔서 혹 했었다.
그동안 난 한기호 님의 책을 한 권인가 사서 읽었고,
기획 회의는 몇 권 술술 넘겨 읽었었는데 기억나지 않는 걸 보면, 임팩트 있게 다가오지 않았던 것이다.
사실 출판계 이슈가 되었던 도서정가제 관련,
독자가 아닌 출판계의 편을 드는 그의 입장이 맘에 들지 않았었다.
그의 논리대로라면 책을 정가보다 조금이라도 싸게 사읽으려는 독자들은 죄인이 되어야 하는 논리였으니까 말이다.
암튼 그는 출판계에 입문한지가 35년째라고 하고, 당신이 이런 이런 사람들을 발굴해 냈다고 자찬하고 있다.
그런데 이 팩트를 뒤집어보면,
그가 검증을 걸친다는 이유로,
이런 저런 상대방의 노동력을 헐값에 착취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뭐, 누구나 그런 과정을 걸쳐 글을 쓰고 편집을 하며 출판계에 입문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할말은 없다~--;
방송에 출연하게 하려면 하루를 빼야 한다. 책을 읽는 시간과 방송 녹음을 위해 방송국에 갔다 오는 시간을 합하면 그렇게 된다. 하지만 정작 한미화는 자신이 왜 그런 일을 해야 하냐며 망설였다. 나는 말했다. 나는 돈을 벌려고 전문잡지를 펴내는 것이 아니다. 뜻한 바가 있어 하는 일이니 돈을 많이 벌지 못 한다. 그러나 이 회사를 그만 두고 네가 내 곁을 떠날 때 세상 어느 곳에서도 살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 해주고 싶다.ㆍㆍㆍㆍㆍㆍ내가 한미화에게 그 일만 시킨 것은 아니다.(92~93쪽)
누구나 글을 쓸 수는 있지만 아무나 저자가 될 수는 없다.
그리고 그래서도 안 된다.
내용을 알차게 하고 책의 품격을 높이는 것만이 어려운 출판시장에서 살아남는 방법이다.
책 한권을 만들기 위해 베어 넘겨진 나무를 생각하면 더 더욱 말할 것도 없고 말이다.
때문에 이렇게 아쉬운 결론을 내려야 겠다.
어떤 사람들에겐 아주 유용할 수 있겠지만,
나와는 전혀 코드가 맞지 않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