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시를 얘기할때 어려운 말로 언어유희라고 한다는 건 알고 있었다.

난 그런 어려운 말로 꾸미기보다는 이렇게 얘기하고 싶다.

말 장난 같다.

지나친 말 장난 같은 시집 한권을 만났다.

 

 

 

 

 

 아름답고 쓸모없기를
 김민정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6월

 

그동안 김민정 시인을 좋아했었다.

문학동네에서 낸 시집들을 보다보면, 여기저기 따뜻하고 기지 넘치는 그녀의 코멘트를 볼 수 있어서 좋았다.

그동안 그녀의 코멘트를 보고 넘어가지 않았던 적이 없을 정도로,

그녀를 향하여 팔랑귀였던 것을 보면 말이다.

 

이 시집은 언젠가 내게 돌멩이를 보내줬던 친구가 보내준 것인데,

그래서 그런 것인지 어쩐 것인지,

표제시 '아름답고 쓸모없기를'을 보다가 내 돌멩이가 불쌍해졌다.

 

아름답고 쓸모없기를

 

지지난 겨울 경북 울진에서 돌을 주웠다

닭장 속에서 달걀을 꺼내듯

너는 조심스럽게 돌을 집어들었다

속살을 발리고 난 대게 다리 두 개가

V자 안테나처럼 돌의 양옆 모래 속에 꽂혀 있었다

눈사람의 몸통 같은 돌이었다

물을 채운 은빛 대야 속에 돌을 담그고

들여다보며 며칠을 지냈는가 하면

물을 버린 은빛 대야 속에 돌을 놔두고

들여다보며 며칠을 지내기도 했다

먹빛이었다가 흰빛이었다가

밤이었다가 낮이었다가

사과 쪼개듯 시간을 반토막 낼 줄 아는

유일한 칼날이 실은 돌이었다

필요할 땐 주먹처럼 쥐라던 돌이었다

네게 던져진 적은 없으나

네게 물려본 적은 있는 돌이었다

제모로 면도가 불필요해진 턱주가리처럼

밋밋한 남성성을 오래 쓰다듬게 해서

물이 나오게도 하는 돌이었다

한창때의 우리들이라면

없을 수 없는 물이잖아, 안 그래?

물은 죽은 사람이 하고 있는 얼굴을 몰라서

해도 해도 영 개운해질 수가 없는 게 세수라며

돌 위에 세숫비누를 올려둔 건 너였다

김을 담은 플라스틱 밀폐용기 뚜껑 위에

김이 나갈까 돌을 얹어둔 건 나였다

돌의 쓰임을 두고 머리를 맞대던 순간이

그러고 보면 사랑이었다

 내 돌멩이는 '아름답고 쓸모없기를'하는 시의 소재로조차 등장하지 못하니 말이다~--;

 

시집의 뒷표지를 보면 김민정 시인의 이런 글이 실려 있다.

시는 내가 못 쓸 때 시 같았다.
시는 내가 안 쓸 때 비로소 시 같았다.

그랬다.
그랬는데,

시도 없이
시집 탐이 너무 났다.

탐은 벽(癖)인데
그 벽이 이 벽(壁)이 아니더라도
문(文)은 문(門)이라서
한 번은 더 열어보고 싶었다.

세번째이고
서른세 편의 시.
삼은 삼삼하니까.

 

나도 같이 말장난을 해보자면,

시도 없이 시집을 탐내면 탐욕이 되는데,

詩集이 아니라 여자가 결혼하여 남의 아내가 되는 그 시집을 일컫는 모양이다.

그런데 시집 간 여자의 탐욕은 예로부터 칠거지악이라는데 말이다.

암튼 본인도 민망했는지,

'현대시 5월호'에서 신형철과 대담한 내용의 한 꼭지를 '출판사 책 소개' 란에 실었는데,

'이게 시가 아니면 뭐 어때?'라고 말하듯이 쓰인 시가, '그런데 이게 인생이 아니면 뭐냐'라고 말하듯 삶의 깊은 데를 툭툭 건드린다.'

고 하는데, 뭐~(,.)

그런데 말이다.

'삶의 깊은데'를 툭툭 건드린다고 하여, 시도 덩달아 깊어지는 건 아니다.

시는 깊은 데를 건드리는 매개일 뿐이다.

지인과의 카카오톡 내용 따위가 시가 될 수 있는 시대라지만,

굳이 그 시의 저작권을 따지자면,

그런 카카오 톡 내용을 보낸 시인의 지인에게 일정 부분 있고,

시인은 찬조출연 쯤 되는 것이 아닐까?

모든 시인에게서 윤동주 같은 시심을 바래선 안 되겠지만,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부끄러운 일이다.'

라고 고백하던 윤동주가 생각나는 건 어쩔 수 없다.

 

 


댓글(9) 먼댓글(1)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어려운 돌, 어려운 시
    from 공음미문 2016-10-25 14:29 
    조약돌  조약돌은 잘 정의하기에 쉬운 사물이 아니다.단순한 묘사로 만족한다면 우리는 우선 조약돌이 바위와 자갈 사이의 돌의 형태나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그러나 이 말은 이미 돌에 대해서 증명되어야 하는 하나의 개념을 의미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노아의 홍수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나를 비판하지 말 것이다. * 모든 바위덩이들은 엄청나게 큰 하나의 선조로부터 분열되어 나왔다. 전설적인 이 몸체에 대해 한가지밖에 말할 수 없다. 저 세상을 벗어나면
 
 
yureka01 2016-10-25 13:46   좋아요 2 | URL
시집 제목이랑 돌맹이 하나가....마음의 연못에 툭 뎐저질 때의 파장은 그래서 더 물이 결로 일어나는 것인지도^^..잘봤습니다`~^.

양철나무꾼 2016-10-25 14:01   좋아요 1 | URL
우와~~~~^^
댓글이 더 시 같이 멋집니다여.
근데 시집은 그니의 명성만큼은 아니어서 씁쓸했답니다~--;

AgalmA 2016-10-25 14:30   좋아요 1 | URL
양철나무꾼님, 이 글에 먼댓글 썼는데요. 혼내기 없기요-,-;;

양철나무꾼 2016-10-25 14:38   좋아요 2 | URL
먼댓글 잘 읽었고 `좋아요`도 눌렀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제가 님의 먼댓글을 혼낼 깜냥이 안 되는지라, 쭈뼛쭈뼛~--``(땀나라~)

어려운 돌, 아니 어려운 댓글 말고...쉬운 댓글만 던져 주시길~^^
이곳은 비가 내리다가 그쳤습니다.
님 계시는 그곳은 어떤가요?^^

AgalmA 2016-10-25 15:22   좋아요 2 | URL
좋아요는 프랑시스 퐁주에게 주시는 것이지 제 것은 아니니까 감사 안할래요ㅎㅎ;;
저도 말 공기놀이 좋아하는데, 양철나무꾼님 이 글이 퐁주 시를 부르는 걸 어떡해요; 작가가 작품이 원하는 대로 따라 글을 쓴다 하듯이 저도 양철나무꾼님 글이 부르는 글을 찾아 데려 왔다고 핑계댈래요ㅎ;;;
여기도 비는 그쳤는데, 덕분에 시 읽다보니 일이 너무 하기 싫어졌어요. 으앙ㅜ.ㅜ

양철나무꾼 2016-10-25 17:56   좋아요 2 | URL
어떡하죠?
전 이런 님의 투정같은 글을 사랑한답니다.
온몸으로 흠뻑 받아들였다나, 어쨌다나~(,.)

우리 비도 그쳤는데, 일은 이쯤에서 작파하고,
술한잔 합시다~!
그대는 거기서 난 여기서,
잔을 채우고,
건배~!^^

2016-10-25 17: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양철나무꾼 2016-10-25 18:01   좋아요 1 | URL
아핫~, 관심을 가져주시고 감사합니다.
낙엽만 굴러가도 웃음 지으실 님은 아직 모르겠지만,
이런 가을 저녁이 되면,
그냥, 불현듯,
있지도 않은 옛사랑 생각도 나는 것이 괜히 멜랑꼴리해진답니다~^^

이 시간에 커피 먹으면 밤을 꼴딱 지새우지만,
오늘은 님말씀 듣고 퇴근길 편의점에서 따끈한 캔커피 하나 사봐야겠어요~^^
신경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2016-10-25 18:1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