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박수밀 지음 / 돌베개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가 들면서 책을 읽는 관점이 좀 바뀌었다.

그동안은 책을 곧이곧대로만 읽는것으로도 벅차,

책의 숨은 이면을 바라볼 수조차 없었는데...

이제는 책을 사람마냥 한걸음 떨어져서 관조적으로 바라볼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런 관점의 변화가 꼭 좋기만 한게 아닌 것이,

어떤 종류의 책들은 그렇게 한걸음 떨어져서 관조적으로 읽으면 읽을수록 알쏭달쏭하기만 해서,

 

채워가질 수 없는 결여로 허기와 갈증이 깊어져만 갔기 때문이다.

그 어떤 종류의 책들은 주로 우리 고전이었는데,

같은 책 같은 문장을 두고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해석이  가능했다.

 

예를 들면, 연암 박지원 같은 경우도...

사상가의 입장에서 봤을때와 문장가의 입장에서 봤을때 얼마든지 다른 견해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사상가로써의 연암과 문장가로써의 연암이 둘이 아니고,

그 둘을 아우르는 보편성으로 그를 바라보기 위해선,

그의 입장에선 '사상가'와 '문장가'라는 경계의 거품을 빼야 하고,

내 입장에선 관조적이라는 '간격'의 거품을 빼야 한다.

 

아직 내 깜냥으론, 보편성과 관조적이라는 단어를 하나로 아우를 수가 없는데,

그걸 개별성과 독창성으로까지 연결시켜 하나의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만든 사람과 책이 있다.

박수밀이 쓴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이 그것인데,

제목은 '글쓰기'를 다루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은이는 연암의 그것을 병법과 전략에 비유하는 등,

온갖 것을 아우르는 삶의 총체로 보았다.

게다가 지은이의 문장 또한 수려한 것이, 책을 읽는 재미를 더한다.

예를 들면 이런 대구를 이루는 문장들 말이다, ㅋ~.

ㆍㆍㆍㆍㆍㆍ그의 글은 가벼운 듯 진지하고, 유쾌하다가 불쾌하며, 통쾌하지만 슬프고, 상식에 맞는가 싶더니 새롭다. 그의 글은 능글맞되 삼엄하다.ㆍㆍㆍㆍㆍㆍ('책머리에'부분 발췌)

 

이 책에는 '생태 글쓰기'라는 새로운 용어의 정의가 나오는데,

그 정의를 분명하게 해주는 것에서 '연암'에 대한 이해는 출발한다.

 

옛 문장가들은 늘 자연을 얘기했는데, 대개 인간과의 일치를 추구하거나 혹은 속세를 떠나 자연으로 돌아가고픈 마음을 노래했다면,

연암은 자연을 변화와 창조의 공간으로 생각하고, 자연 사물의 원리를 들어 인간과 사회가 병들었으며 부조리하고 불합리하다는 것을 비판했다고 한다.

즉 사물의 생태로부터 얻은 깨달음을 인간 사회를 고발하고 교정하는데 활요해서 '생태 글쓰기'라고 명명했다고 한다.

 

내가 이 책의 제목은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이지만, 연암의 삶을 총체적으로 아우르고 있다고 한 이유는 다음에서 엿볼 수 있다.

  진짜 글과 가짜 글의 차이는 무엇일까? 자기 자신의 언어를 쓰는가, 남의 언어를 쓰는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 연암 생각에 옛말을 모방해서 주어진 틀에 맞추는 글은 가짜 글이다. 고전 시대 글쓰기의 기준은 옛것을 본받으라는 것이었다. 옛글을 닮아라, 옛글과 비슷해지라는 것이 전통적인 글쓰기 규범이었다. 과거 시험은 정해진 경전을 달달달 암송하고 정해진 문체에 맞추어 썼다. 그런데 연암은 도리어 옛 언어를 표절하지 말고 나의 언어를 쓰라고 말한다. 비슷함을 좇는 것은 진짜가 아니다. 비슷하다는 말에는 이미 다르다, 거짓되다는 의미가 전제되어 있다. 곧 연암은 중세 시대 보편적 지향인 '닮음의 미학'을 거부한다. 그는 작가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글을 써야 한다고 요청한다.(28쪽)

여기서 개념을 확장시켜 보면,

주자성리학으로 대표되는 유가의 자연관과 연암의 자연관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게 되는데,

주자성리학이 성행하던 조선시대에 그려진 그림을 보면 실제의 산수가 아니라 푸른산, 흰구름 등 이상적인 공간이다. 

반면, 연암은 자연 사물에 애정을 갖고 자연 사물과 대화적 관계를 형성한다.

자연과의 교감은 사물과 인간을 평등한 관계로 만든다.자연 사물도 인간과 똑같은 감정을 지닌 존재라 여기고 사물의 입장에서 생각하려 한다.

얼마전 읽은 '우주생명 오디세이'라는 책에 보면...우리가 이제는 많이 알고있는 인간과 침팬지의 DNA가 99%일치하며, 전혀 연관이 없을 것 같아보이는 바나나와 인간도거의 비슷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멀지 않은 친척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조선시대의 연암이 선견지명이 있어서,

현대에 쓰여진 '우주생명 오디세이'의 내용을 미리 예측할 수 있었던 것도 아닐테고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이용후생이라는 것은 인간 우월주의나 문명의 利己에서 비롯된게 아니라,

자연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 속에서 자연과 인간이 공생하는 방도로 제기된 걸로 보아야 할 것이다.

 

사물과 타자의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는 생각은, 인간 중심의 단순한 사고방식을 깨우치거나 배타적인 우월의식을 허무는 글쓰기에서 잘 활용된다.(40쪽)

 

눈으로 볼 수 있는 코끼리도 그 이치를 알 수 없을진대 코끼리보다 훨씬 큰 세상의 이치를 어찌 일일이 규정할 수 있겠느냐고 비판한다. 그리하여 사물의 관계는 상대적임을 말한다.(47쪽)

암튼, 그를 '사상가'나 '문장가'로 국한시킬것이 아니라, 그의 삶 전반에 걸쳐 이해해야 한다는 생각을 한것은,

어떤 현상을 놓고 봤을때 현상만 보지 않고 이편과 저편의 '사이'까지 꼼꼼하게 관찰하라고 한 '발승암 기문'과 그 해석을 보고 나서였다. 

이편과 저편의 '사이'가 됐을때 그 '사이'는 미미하게 작을지도 모른다.

사물과 사물의 '사이'가 됐을때 그 '사이'는 작아질 수도, 커질 수도 있을 것이며,

사람과 사람의 '사이'가 됐을때는 서로간의 친밀도나 정서적인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가감이 가능하겠다.

때문에, 이 '사이'를

'쉼표'로 생각할 것이냐,

또는 '틈'으로 생각할 것이냐,

또는 '가운데'로 생각할 것이냐,

또는 '이편도 저편도 아닌'으로 생각할 것이냐,

등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해석은 가능하게 되고,

 

그 때문에, 난 '사이'를 '쉼'으로 해석하고 싶지만,

어느 누군가는 '사이'를 '차이'로 해석하기도 할 것이다.

 

그걸 이 책에선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요컨대 연암은 사물과 사물 사이에 주목함으로써 기존에 관심을 두지 않았던 주변에 주목할 것을 요청했다. 그리하여 쓸모없는 것, 버림받은 존재도 조건에 따라 모두 소중한 개체가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삶의 방식으로 살아가는 생명체임을 보여 주고자 했다.(60쪽)

암튼, 연암 박지원을 통해,
박수밀의 해석을 통해,
또다른 독서법, 또다른 삶이 있다는 걸 깨달았다고나 할까?

근데 혼란스러운 것이,
그동안의 난, 나의 기준으로 다른 사람을 미루어 짐작하지 말자, 다름을 인정하자...그랬었는데,
오늘은 나와 상대가 다를것이 없다, 다 똑같은 존재이다...라고 한다.

이럴때 어려운 말로, 불일이불이(不一而不二)라고 했던거 같은데...
아닌가? 아님, 말고~(,.)

 

오행상생설에 의하면 나무는 불을 낳고, 불은 흙을 낳는다. 곧 나무는 불의 어미가 되고 불은 나무의 자식이 된다. 그러나 그(연암)에게 오행상생은 어미가 자식을 낳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를 힘입어 살아가는 것이다.
이것과 저것이 서로 비추어 주는, 서로가 주고받는 공생의 관계다. 물질과 세계를 바라보는 연암의 세계관이 드러난다. 모든 존재는 서로를 의지하며 힘입어 살아간다는 것이다.(275쪽)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3-10-29 17:07   좋아요 0 | URL
오행상생설에 의하면 나무는 불을 낳고, 불은 흙을 낳는다. 곧 나무는 불의 어미가 되고 불은 나무의 자식이 된다. 그러나 그에게 오행상생은 어미가 자식을 낳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를 힘입어 살아가는 것이다.
이것과 저것이 서로 비추어 주는, 서로가 주고받는 공생의 관계다. 물질과 세계를 바라보는 연암의 세계관이 드러난다. 모든 존재는 서로를 의지하며 힘입어 살아간다는 것이다.(275쪽)

2013-10-30 00:02   좋아요 0 | URL
양철나무꾼님/ 안녕하셨어요? 혹시 기억하시는지 모르겠으나 즈믄밤의꿈이라는... 글방을 열었다가 오래도록 자리를 비운 玄입니다. 선생님 글방에 들어와 풍요로운 독서의 성찬을 맛봅니다. 열정적인 독서와 글쓰기에 자극을 받고 힘을 얻습니다. 그럼 건강하시고요, 앞으로 자주 뵙도록 하겠습니다.^^

양철나무꾼 2013-10-30 13:59   좋아요 0 | URL
돌아오셨군요, 반갑습니다. 와락~( )
저도 그리 열정적인 독서와 글쓰기를 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우리 같이 분발하도록 하죠, ㅋ~.

숲노래 2013-10-30 04:52   좋아요 0 | URL
동양에서는 오행을 말하고 서양에서는 사원소를 말하곤 하는데,
쉽게 이야기하자면,

해(불+빛), 바람(공기), 물(비+내+바다), 흙(들+논밭), 풀(풀+나무)이에요.
동양에서는 '풀(나무)'까지 넣지만, 서양에서는 '풀(나무)'을 안 넣곤 해요.
'쇠'가 어디 갔느냐 할 수 있지만, '쇠'는 '돌'에 들며 '흙' 사이에 끼겠지요.

해, 바람, 물, 흙, 풀,
이렇게 생각하면
지구와 사람과 모든 목숨 이루는 바탕이 무엇인가를
한결 잘 읽고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양철나무꾼 2013-10-30 14:08   좋아요 0 | URL
제가 저'오행상생설'을 '본문'에 빼먹어서 '댓글'에 적었었던건요~^^
제가, 저란 인간이 오행하면 상생과 상극, 보와 사에 너무 익숙해져 있어서...
오행 상생이라는 것을, 모자관계가 아닌 상호공생의 관계로 본 시선이 낯설었고,
그렇지만, 꼭 기억해둘 필요가 있겠다 싶어서였습니다.

님이 댓글 달아주신 오행, 사원소 개념이랑은 약간 거리가 있어보여서요, 헤에~^^

암튼, 늦었지만, 또 다른 오해가 생길까 싶어, 본문으로 올리겠습니다, 죄송(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