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듦 수업 - 중년 이후, 존엄한 인생 2막을 위하여
고미숙 외 지음 / 서해문집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시대 즉, 100세 인생에서 우리는 노년을 어떻게 맞이할지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실제로 2014년 하나의 주제 <노년을 노닐다>로 각 분야 전문가 6명이 포럼을 진행한 내용을 바탕으로 엮은 것이다.

고미숙 선생은 우리의 몸에 포커스를 맞춰 이야기하면서 몸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것이 늙어가는 이들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라 하고 있다. 고전인문학자로서 옛 선조들의 삶을 통해 그들이 생로병사에 임하는 태도를 살펴보고 성숙하게 늙음을 맞는다면 두려움 없이 잘 살아갈 수 있고, 젊음만을 추구하는 현재의 자본주의 전략에 대해 반기를 들며 현명한 노년의 삶에 대해 말하고 있다

여성학 연구가인 정희진 선생은 자본주의, 매력, 생산성이라는 키워드로 아름다움만을 강조하는 이 시대에 새로운 미추(美醜)에 대한 관념에 대해 생각해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심리학자인 김태형 선생은 젊은이들이 노인을 향해 꼰대라고 하는 것에 대해 왜 노인들이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는지 설명하고 자기치유로 인해 꽃대로 거듭날 수 있다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물리학자인 장회익 선생은 평생 호기심을 가지며 공부하는 습관을 갖는다면 늙음을 극복할 수 있으며 지혜를 갖춘 어른으로서 삶의 보람을 갖고 생존 의지 또한 길러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남경아 선생은 새로운 일자리를 마련하여 노인 주도의 문화를 추구하고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드는 등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 노인 본인과 지역사회, 정부와 함께하는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있다

유경 선생은 노인의 관계 맺기에 대해 언급하면서 부부, 자녀, 손자, 친구 등의 관계에서 소통하는 방법과 그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이 책을 통해서 노인, 노년의 삶에 대해 미리 생각해볼 수 있으며 누구나 나이가 들어 늙어가기 때문에 미리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현재의 삶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생각해볼 수 있다. 더불어 가깝게는 부모, 조부모에서부터 주위 나이 드신 어른들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 함께 잘 살 수 있는 방법들을 이 책으로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