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에 살다 - 조선 지식인 24인의 서재 이야기
박철상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한학자인 부친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옛 책에 관심이 많았고 추사 김정희의 학문에 대한 연구도 깊이 한 학자이다. 역사 속 문인들의 서재를 이야기하기 전에 자신의 서재를 먼저 이야기하길 서재의 이름은 수경실(修綆室)이라고 붙여 옛 사람의 학문이라는 깊은 우물물을 긷기 위해서 풍부한 자료라는 긴 두레박줄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두었다고 한다.

 

이 책의 내용은 '국회도서관보'의 '서재이야기' 코너에 매월 연재한 글을 엮은 것으로 북학파 지식인의 서재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을 통해서 옛 문인들의 서재를 엿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모두 24인의 조선시대 문인들의 이야기이다. 책을 좋아하고 늘 책과 함께 했던 이들의 이야기라서 서재라는 공간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었을 것이다. 정조의 홍재, 홍대용의 담헌, 박지원의 연암산방, 유금의 기하실, 이덕무의 팔분당, 유득공의 사서루, 박제가의 정유각 등 많은 이들의 서재 이야기가 이 책에 가득 담겨있다. 각 인물들이 왜 서재 이름을 이렇게 짓게 되었는지 그들의 삶과 학문관, 가치관이 서재이름에 다 품고 있다는 것으로 볼 때 서재 이름을 함부로 짓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재 이름이 자신의 모습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인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 우리집의 서재방에 어떤 이름을 지으면 좋을까 생각해보았다. 물론 나의 학식과 책읽기는 서재방 이름을 짓기에는 형편없지만, 마친 이 책을 읽었으니 잠시 재밌는 상상을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았다. 연륜도 쌓이고 무언가 차곡차곡 쌓여서 스스로도 조금은 만족스러운 그 때 서재 이름을 정해서 걸어놓아야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하나의 주제이지만 각 인물마다 다 다른 상황에 다채로움을 느낄 수 있었다. 다만 조금 단조로운 느낌의 글이라 오늘같이 비 오는 낮에 읽는다는 것이 쉽지는 않았음을 슬쩍 말해보련다. 아무래도 저자가 굉장히 진지한 학자이며 실린 잡지 또한 뭔가 엄정한 느낌이 드는 것이라 그런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