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받기 위해 태어나다 - 트라우마에서 벗어나 공감 능력을 회복한 아이들
브루스 D. 페리, 마이아 샬라비츠 지음, 황정하 옮김 / 민음인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사람은 상호의존적이며 그렇기에 인간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이 책에서는 밝히고 있다.

남을 배려하는 이유는 자신이 행복하기 위해서이며 한 사람의 공감 능력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 책에서는 소상히 밝히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정신 의학 교수이자 아동 트라우마 아카데미의 연구원이다. 그의 직업이 안내하듯이 그는 무수한 아동들의 데이터를 통해서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확실히 밝히고 있다.

 

1장에서는 고든과 소피아의 관계를 통해서 공감의 의미를 밝히고 있다.

p44 "공감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볼 수 있는 능력이에요. 만일 다른 사람이 어딘가 다르게 행동한다면 그 사람이 뭔가 신경 쓰이는 일이 있음을 알아차리고 무슨 일이 있는지 또 기분이 어떤지 주의 깊게 들어주는 거예요"

 

2장에서는 얼굴에 털모반이 있는 제레미라는 아이 이야기를 중심으로 인간 관계 형성에서 얼굴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제레미가 견딜 수 있는 수준의 스트레스를 제공하고 완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스스로 스트레스 반응 조절을 연습하고 숙달하게 함이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3장에서는 어릴적 방임을 겪었던 유지냐의 이야기를 통해 개별화된 양육과 애착관계 형성이 가지는 의미를 말하고 있으며 더불어 극단적으로 감옥 엄마가 키운 아기와 고아원의 아기를 비교함으로서 부모 자식간의 결속감이 얼마나 큰 영향을 지닐 수 있는지 밝히고 있다.

 

4장에서는 자폐증인 요나의 이야기로 꼭 필요한 사회적 자극에 노출되지 않았을 적에 생기는 상황을 말하고 있고 5장에서는 거짓말이 일상이 된 형제들의 이야기를 통해 불안정한 환경 속에서 자라난 아이들의 삶은 결국 자신이 경험한 사회적 맥락 안에서 뇌가 발달하고 그렇게 살 수 밖에 없을 말하고 있다. 6장은 공감과 양심이 결여된 소시오패스 이야기, 7장은 트라우마를 극복함으로써 회복력을 가진 트리니티 이야기, 8장은 왕따를 당하는 앨리슨 이야기, 9장은 갱단에서 자란 테럴 이야기, 10장에서는 TV에만 무방비하게 노출된 브래든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사실 아이를 갖고 낳아 키우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 잘 알지만, 부모가 처한 상황이나 여건이 마땅치 않아서 방임으로 키워진 아이들이 엄청나게 많을 수 있게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의 부모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아이를 키우고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시키는 것이겠지만, 이미 힘든 상황을 지낸 아이들이 다시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것 또한 어른으로서 부모로서 필요한 자세라고 전문가다운 말을 하고 있다.

 

책 후반에는 아이슬란드의 아이들 모두가 공감력을 가지고 함께 더불어 살 수 있는 마인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쉽지 않지만 충분히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하나의 해법이 되듯 제시해주고 있으며 아이는 부모 혼자 키우는 것이 아니라 환경이 중요하듯이 그 마을, 그 나라 모두가 잘 키울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여 말하고 있다.

 

읽으면서 예비 부모로서 한 인간의 탄생, 성장, 삶 이 모든 것을 부모가 어떻게 한다는 것이 참 어려운 일이구나. 새삼 느끼게 되었고 우리가 이렇게 무난하게 자란 것 또한 감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