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비저블 - 자기 홍보의 시대, 과시적 성공 문화를 거스르는 조용한 영웅들
데이비드 즈와이그 지음, 박슬라 옮김 / 민음인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이의 인정을 받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을까 싶지만, 이 책을 읽어보면 있다. 아니 많다. 나는 인비저블에 속하는지 읽는 내내 생각해보았는데, 글쎄.

 

타인의 인정을 받는다는 것은 그 실제 가치보다 훨씬 과장되어 있다고 미리 말한다. 독자에게 두가지 길을 말하면서 선택하라고 한다. 끝나지 않을 러닝머신 위에서 남들과 경쟁할 것인지 vs 스스로에게 도전하며 보상을 받을 것인지 말이다.

이 주제로 탐구하게 된 이유는 고도의 전문지식을 갖고 있으면서 중대한 역할을 하지만 무명으로 만족하는 이에 매료되어서라고 한다. 흥미로운 사례를 통해 조용한 고수들이 어떻게 그들의 삶을 만들어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단다. 목차에는 11가지로 나눠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3가지는 다음과 같다.

타인의 인정에 연연해하지 않는다.

치밀성을 가져야 한다.

무거운 책임감을 견뎌야 한다.

 

자기과시와 타인의 관심을 갈망하는 요즘에 인비저블의 사고방식은 완전히 상반된다. 남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문화는 과도한 감시문화라고 말하면서 다른이의 시선보다 자신에게 오히려 더 충실하고자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인비저블의 생각이라고 보면 되겠다.

 

공항에 항공기의 길표시 및 안내를 하는 이, 향수를 만드는 조향사, 타워의 구조 공학자, IS(UN의 동시통역부서), 작가, 영화 제작 보조스태프, 라디오헤드(기타&관련 장비 전문가), 피아노 조율사, 투표용지 디자이너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인비저블의 삶을 조망하고 있다.

 

읽으면서 여러 생각이 들었다. 알려지지 않는 영웅으로 성실함을 갖춰야 하며 경험이 많기에 그만큼 많은 책무가 있으며 끝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것. 자신의 일에 집중력을 쏟아 임하고 베푸는 사람. 집요한 끝기와 불굴의 의지로 겸손함까지 갖춘 이. 모든 일이 다 그런 것 아니냐고 말하면 어쩔 수 없겠지만, 이렇게 함에도 다른이의 보상보다는 스스로의 만족이 더 중요하다고 하는 점이 특이할 점이라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외부적인 보상을 더 요구하거나 무언가 어드밴티지를 찾지 않을까 싶은데, 이 책 속에서의 주인공들은 그렇지 않았다. 그게 놀라울 뿐이다. 우리는 인비저블인가? 그럴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