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과 예순 사이 행복한 잡테크 - 2만 명의 퇴직 예정자에게서 찾아낸 인생 2막 직업설계 노하우
김명자 지음 / 민음인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균 수명이 늘면서 우리 모두 지금 하고 있는 일에서 은퇴를 하고 난 뒤의 삶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은퇴하신 분들의 모습에서도 다양한 생각을 하고 있는 요즘이기에 분명 이런 류의 책이 필요한 것이다. 이 책은 시기 적절히 나온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은퇴한 자신을 돌아볼 때 이 두가지를 꼭 자문하라고 한다.

1. 어떻게 살고 싶은가

2. 무엇을 하고 싶은가

사실 이 질문은 은퇴한 자들 뿐 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질문이 아닐까 싶다.

실제로 은퇴한 사람들 중 미리 준비한 사람은 1-1.2%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정말 준비 없이 노후를 맞는다는 느낌이 든다. 점차 이런 책들로 인해 미리 준비하는 사람들이 많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책은 실용편과 정서편으로 나눠서 설명하고 있다.

젊은이들이 은퇴를 생각하면 굉장히 먼 일 같지만, 이 책에서는 현실적으로 퇴직 후 직업을 계속 갖는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또 자산을 어떻게 관리할 지 진지하지만 어렵지 않게 설명하고 있다.

평생 직업 선택 기준은 행복, 현실 상황, 재정 상태에 따라 생각해봐야 할 필요가 있다. 맞다. 우선 그일을 선택했을 때 행복할까, 지금의 현실 상황에서 그 선택이 맞는지 더불어 지금 갖고 있는 돈으로 앞으로의 선택이 현명한 것일까 충분히 고려 후 결정해야 될 문제이다. 드라마나 뉴스를 보면 은퇴 후 퇴직금을 경솔하게 잃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을 볼 때 더욱 그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을 보면서 세계직업지도 라는 것을 보고는 좀 놀랐다. 내가 직업을 선택할 때도 제대로 보지 못했던 자료를 이 책을 통해서 보는 것이 참 묘하고 새삼 직업의 세계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창업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점을 고려해야 되는지 예를 들어 식당을 창업하게 된다면 초기 어떤 작업에서부터 그 과정을 소상하게 알려줘서 실제로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에게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되었다. 또 귀농을 하는 사람의 예도 그 못지 않게 자세하게 나와있어 귀농의 성공 사례를 이 책으로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산관리 전략이 잘 나와있는데, 30대 독자인 내가 크게 안 와닿아 할 수도 있지만 누구나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 평소의 가계 상황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자산을 어떻게 구성하고 준비해야 할 지 이 글을 통해 새삼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결론적으로 재테크가 아닌 잡테크를 하라는 책 표지의 글이 이 책의 주제라고 볼 수 있다. 돈이 많은 사람들이 아닌 일반적인 다수의 사람들을 위한 은퇴계획서라고 할 수 있는 이 책 충분히 권할 만 하고, 기회가 된다면 젊은이들도 읽어보면서 자신 뿐 만 아니라 부모님에게 조언을 해 줄 수 있는 책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