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물정의 사회학 - 세속을 산다는 것에 대하여
노명우 지음 / 사계절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사회학 책을 좋아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내가 살고 있는 사회, 현실이지만 제대로 볼 줄 모르고 있었다는 것을 전문가의 글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덜 무식하고자 이런 책을 읽으려는 것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세상살이에 대한 성찰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저자와 대화를 해보고자 한다고 말한다. 프롤로그에서 이 저자가 생각하는 사회학이란 무엇인지 밝히고 있는데, 인상적이다. 여기 써보자면, 다음과 같다.

"사회학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닐 때 존재 이유가 있다." "사회학은 삶의 리얼리티에 뿌리를 둔 학문이다"

 

이처럼 저자는 사회학이란 그저 사회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이론상 이렇다 저렇다 말할 것의 유형이 아니라 삶 속으로 들어가서 관찰하고 저 사람은 어떻게 사나 이 사람은 이렇게 살고 있구나 하는 삶의 모습과 양식을 통해서 학문의 깊이와 질을 깊고 넓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참 멋진 생각이다. 그래서 이 책을 쓸 때 연구실에서 쓴 것이 아니라 어디든 태블릿 PC를 갖고 사람들 틈바구니에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기록했다고 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1부 세속이라는 리얼리티, 2부 삶의 평범성에 대하여, 3부 좋은 삶을 위한 공격 방어 기술 로 나눠서 설명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나는 1부의 내용이 재미있었다. 왠지 지금 내 삶의 모습을 하나하나 뜯어 살펴보고 말하고 있는 느낌이 들어서였기 때문이다. 명품만을 지향하는 럭셔리 열풍, 고전보다는 베스트셀러를 읽으려는 모습, 여론과 언론의 허와 실, 자본과 종교가 함께 이야기되면서 성스러운 것이 무엇인지 헷갈리는 요즘 모습 등 다양한 내용들이 실려 있었다.

 

이 책은 분명 우리 삶에 대해 생각할 것들을 주는 것임에는 틀림없지만, 뭔가  뒤로 갈수록 다소 아쉬움이 없잖아 있다. 아무래도 내가 이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서 그런 것 같다. 개인적으로 이런 소신으로 글을 쓴 것이 현실과 조금이나마 가까워지려 노력한 전문가의 모습이라 참 좋고 고맙다고 해야 하나. 나 또한 어느 부분에서는 전문가라고 할 수 있겠지만, 다른 누군가에게 이런 도움이 될 수 있는 글 하나 남기는 게 큰 바람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