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을 만들지 않는 대화법 - 사람을 얻는 마법의 대화 기술 56
샘 혼 지음, 이상원 옮김 / 갈매나무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부제는 '사람을 얻는 마법의 대화기술 56'이다. 이 책의 부제가 딱 이 내용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들 누구나 상대와 원활한 대화를 원할 것이고, 말을 잘 하려고 노력한다. 나 또한 매사 혹여 말실수를 하진 않을까, 한참 전에 한 대화를 곱씹을 때가 간혹 있다.

이 책은 각 상황에서 어떻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현명한 지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다치지 않고 싸우지 않는 고품격 커뮤니케이션을 펼쳐보이겠다는 것이 이 책의 취지이며 일상적인 갈등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1부 우아하게 이기는 법

사람이니 버럭할 수 있다. 이 책을 읽는 중 내 성격과 평소 태도를 잠시 돌아보게 되었다. 성격이 급해서 나도 모르게 먼저 상대에게 버럭 화를 내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그 당시에는 몰랐다가 지나고 나서 왜 그랬을까 후회를 한 경험도 있다. 이 상황에서는 말하기 전 잠시의 여유를 가지라고 하고 있다. 상대를 공감하고 상대의 입장을 헤아려 마음의 평화가 오게 하란다.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무례한 직원이 있을 경우 그의 이름을 우선 묻고, 고객으로서의 내 권리를 전달하고, 그래도 안될 경우엔 지배인에게까지 연락을 한다는 것이다. 그 사람의 입장을 헤아려 공감하면서 적대감을 없애고 행복한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텅후(Tongue Fu)는? 조절이 기법으로 침묵도 하나의 큰 힘이 될 수 있다는 것.

분노의 상황에서 "무슨 뜻이지요"라고 되물으면서 분노를 지연할 수 있고, 사태를 파악하고 후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

 

2부 하지말아야 할 말, 해야 할 말

여기서는 해야 할 말/하지 말아야 할 말을 상황에 따라 비교를 해둬서 여실히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접속사도 '하지만(말싸움이 되어버리는, 반감의 단어, 부정적, 갈등 고조)'이 아니라 '그리고(대화가 공손, 부드러움, 공감)'를 쓰는 게 좋다고.

사후약방문의 말인 '~했어야 했다'는 분노를 더 높일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명령이 아닌 부탁과 권유로 긍정적인 표현을 하는 것이 상황을 크게는 인생을 바꿀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극단적 표현을 할 경우엔 객관적이되 질문의 방식으로 해야하며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해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부탁을 거절하는 기술도 알려주고 있다. 잠깐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고,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을 처음에 두고 남들을 함께 고려하는 게 인상적이다라고 하고 있다.

생산적인 회의 진행 기술도 전수하는데, 한 번에 한 사람만 발언을 할 수 있게 하고 그 발언 시간도 정해놔서 공평하고 공정한 진행이 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말을 할 때 자신감을 가지고 해야 하며 그 방법으로는 5초 자신감 교정으로 당당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한다면 두려움과 공포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대를 설득할 때 긍정적 기대를 갖고 상황에 접근->반대를 예상하고 준비->요점에 번호를 붙이기->상대의 언어로 변화->상대에게 동기부여 이 순서대로 한다면 실패율도 적을 뿐더러 이렇게 해도 안되면 안되는 것이란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으로 사람을 얻는 대화법 3가지를 제시했는데,

첫째, 듣고 침묵하라.

둘째, 바라보고, 눈썹 올리고, 그의 이야기를 경청하듯이 당겨 앉아라.

셋째, 남을 높이 올려줘야 한다.

합리적인 규칙에 따라서 하는 것이 가장 옳지만 매사에 그렇게 될 수는 없으니 당신이 옳소 하는 마음으로 임하기.

정말 쉬운말이지만 하기 어려운 말과 행동들이다. 부분 부분 읽으면서 나는 어떠한가라고 생각해보면서 지난 기억을 다시금 생각해서 반성하기도 하고 나름 괜찮은 시간이었던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