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어떻게 읽었을까 - 우리 시대 10인의 멘토
홍상진 지음 / 북포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10인의 멘토 이야기 하기 전에 이 책의 저자는 책에 대한 정의를 이야기하면서, "책을 통해 만났던 사람들의 힘으로 오늘의 내가 존재한다"는 말을 했다. 나는 과연 이렇게 말 할 수 있을만큼 책을 읽었는가.

 

이 책은 생각보다 술술 읽혔다. 나름 메모를 해가면서 읽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내가 본받고자 하는 이들의 독서법이라 나도 좀 본받아볼까하는 생각도 있고 왠지 쓰면서 머릿 속으로 한 번 정리해보는 의미로 한 것 같다. 그리고 10인의 글 가운데 필요한 부분은 적당히 잘 가져 와서 알맞게 쓴 것 같아서 읽기도 좋았던 것 같다.

 

내가 좋아라하는 이. 한비야. 그녀의 배낭에는 늘 책이 있다고. 여행 중에 배낭이라 함은 자기 몸과 같이 분신처럼 여기는 것으로 정말 최소화해야 하는 건데 그 중 책은 절대 포기 할 수 없는 거라네.

 

김대중 대통령의 연설문을 담당했던 아침 편지로 유명한 고도원, 그의 기본기는 독서라고 강력하게 권하고 있다. 우리 강산, 우리 것에 대한 기억과 함께 길 걷기에 대한 글의 대표 신정일.

 

스스로 배우는 것을 권하고 하루 2시간씩은 꼭 자신의 미래를 위한 투자의 시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그의 원칙이라는 구본형.

 

엎드린 채 세상을 올려보는 사람, 장애가 있어 학교 교육을 못 받았지만 만권의 책을 독파하고 누구 못지 않은 삶을 스스로 개척하는 사람 그녀는 장향숙.

 

정독, 사색, 열린 마음, 현실 반영, 글쓰기를 항시 생각하면서 책을 읽는다는 안철수.

 

책을 통해 옳고 그름의 판단을 한다는 안상헌.

 

1분 1초를 허투로 쓰지 않으며 쌍방향의 교류로 책을 거칠게 다루며 자신의 글쓰기를 인정하는 공병호.

 

한 분야를 제대로 아려면 100권을 읽어야 한다는 이장우. 독서경영으로 큰 이슈를 낳았던 장본인.

 

글 잘 쓰는 기술을 배우려 책을 읽고 하버드에 있을 때 시간관리를 몸소 실천하는 기자 강인선.

 

각 멘토의 책과 이 책의 저자 스스로의 좋은 글을 모아놓은 책. 아무나 전문가가 될 수는 없다. 이들처럼 부단히 노력했기에 가능했을 거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