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삶이 과연 조선의 마지막 황녀의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 너무나 기구해서 일반 사람의 삶보다 못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종의 딸 덕혜옹주. 일본의 지배하에 있었던 시기였기에 그런 수모를 당할 수 밖에 없음은 알겠으나, 참 안타깝다.  

이 작품은 소설적인 표현이나 글이 멋진 게 아니라, 조선 마지막 황녀라는 주인공에 포커스가 되어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책표지 날개에 그녀의 사진 한 장과 5줄의 약력으로 그녀의 삶을 요약할 수 있겠냐만은 이 책의 내용은 이게 다다. 다만 그녀가 살았던 시기가 그러했기 때문에 일본이란 타국에 몸을 담고 살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이해가 되지만, 읽는 내내 답답하고 속이 터졌다. 그 당시 조선이라는 나라는 세계적으로 콩알만하고 힘 없는 약소국이라 군국주의 시대에 먹잇감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이 너무 싫다.  

황녀지만 식민지된 나라의 황녀가 무슨 의미가 있었겠는가? 그렇게에 제대로 대접은 커녕 일본의 동학들에게 무시당하고 비웃음 당하는 상황. 아궁. 차마 또 포기할 수 없는 삶이기에 죽음을 자행할 수도 없고. 여자였기에 더 그랬겠지. 그녀를 구하려는 몇 번의 시도가 있긴 했지만 계속된 실패로 그자리에 주저앉을 수 밖에 없었겠지. 

그녀의 신분으로 인해 그녀는 오히려 더 불행했다. 그녀가 그냥 평범한 여자였다면 일본 남자와 결혼했다 하더라도 그 속에서 가족의 의미를 찾으며 행복할 수도 있었을텐데. 남편도 고집은 있었지만 그녀를 배려해주는 마냥 나쁘지만은 않은 사람으로 비춰지던데. 딸인 정혜와의 관계도 안타깝다. 정혜에게 마냥 덕혜인 엄마의 나라 조선이라는 나라를 머릿속에 기억시키려고 할 게 아니라  우선은 모녀간의 관계를 일반적으로나마 정착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았을까. 그랬다면 자신도 정신병원에 안 갔을테고 딸도 극단의 방법에 이르기까지 했을까.

결국 자신의 삶, 딸의 삶까지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녀를 옭아맨 신분이 참 한스럽고 그 시대는 더 못 견디겠다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여러 생각을 하게 되고 짧지만 역사 속 우리나라의 모습도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