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달인, 호모 코뮤니타스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8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좋아라하는 글쟁이 중 한명이신 고미숙씨의 글이다. 물론 수유+너머 공부방에서 연구한 결과물이라 생각된다. 이번에는 타겟이 돈이다. 

이 세상에 돈 싫다하는 이가 어디있겠는가!? 우리 모두 돈 돈 하며 혈안이 되어 사는 게 일상화가 되었는데, 이 책은 돈은 어떻게 모아야 하고 어떻게 써야 제대로 쓰는 것인지 다양한 생각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말하고 있다.  

코뮤니타스의 정의: 코뮤니타스란 라틴어로 공동체라는 뜻이다. 화폐는 탄생 이래 늘 공동체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 화폐가 공동체적 삶의 다양성을 먹어 치웠기 때문이다.    

최근 내 통장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돈에 집착하는 삶을 살고 있는데, 이 책 돈의 달인에 대해 이야기한다는데 내가 읽어봐야 되지 않겠어!? 근검 절약을 몸에 배이게 하자라는 생각으로 지갑을 꾹 닫은채 살려고 노력하는데 생각처럼 쉽지 않다. 왜냐고? 이 사회는 돈을 쓰게 만들고 돈을 쓰지 않는 사람은 사회와 소통을 못하도록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도 같은 식으로 말하고 있다. 이 시대와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소비를 해야 하고 친구랑 함께 할 수 있으려면 여성은 쇼핑, 남성의 회식이라고 규정짓고 있다. 정말 맞는 말인 것 같다. 돈이 있어야 하고 외롭지 않기 위해서는 돈과 함께한 삶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돈의 달인이 되려면 돈보다 몸을 더 써야 한다. 사실 그렇다. 몸이 대신할 수 있지만 우리는 돈으로 그것을 떼우려고 하고 진정한 돈쓰기를 모른채 돈에 안달이 나서 남보다 더 벌어보겠다고 모아보겠다고 애를 쓰고 있다. 

그러면서 이 책에서는 돈을 아껴 써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인색함이 아닌 진정한 절제하고 검소한 삶으로 돈을 향유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돈을 쓰는 무게 중심을 책으로 옮긴다면 더 가치롭지 않겠냐고 구체적인 방법까지 말하고 있다. 

인상적인 글귀가 있어서 여기에 옮기겠다. 

돈은 물이다! 물은 생명의 원천이다. 돈 역시 그렇게 쓰여야 한다. 上善若水라고 최괴의 선은 물과 같다. 물언 어떤 것도 해치지 않을 만큼 부드럽지만 어떤 것도 살릴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부드러움과 강함의 변주. 돈 역시 이렇게 쓰여져야 한다. => 역시 고전국문학자다운 글이다. 그냥 이 세상의 돈이 아니라 도가의 상선약수와 함께 돈을 이야기 하고 있으니 정말 대단하다. 난 이런 글쓰기가 참 부럽다. 고전이 진정한 고전이 되는 이유는 현대의 사람들도 공감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 

나는 돈을 물처럼 소중하게 생각하는가!? 글쎄다. 늘 한번씩 돈으로 식겁한 뒤에서야 돈을 아껴야겠구나. 돈의 소중함을 그간 몰랐었구나 하며 반성의 눈물을 살짝 흘리지만 말이다. 진짜 돈을 잘아는 사람들이 돈을 많이 갖고 있었으면 하는 이상한 생각도 해본다. 이 세계의 부호들은 모두 돈의 달인은 아니다. 그치!?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고미숙의 몸과 인문학』 출간! -동의보감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from 책으로 여는 지혜의 인드라망, 북드라망 출판사 2013-01-29 17:11 
    『동의보감』의 시선으로 분석해낸 우리 사회의 현상과 욕망! ― 고전평론가 고미숙의 인문의역학 사회비평 에세이! 이 책의 키워드는 '몸과 우주'다. 몸과 우주, 우리는 이 단어들을 오랫동안 잊고 살았다. 몸은 병원에 맡기고, 우주는 '천문학적 쇼'의 배경으로나 생각하지 않았던가. 그 결과가 지금 우리 앞에 놓인 숱한 질병과 번뇌들이다. 그런 점에서 21세기 인문학의 화두는 몸(!)이라고 나는 확신한다. 몸이야말로 삶의 구체적 현장이자 유일한 리얼리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