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최인호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최인호씨의 글을 개인적으로 좋아한다. 그의 상도, 유림은 이미 익히 알려져있는 소설이다. 그 소설을 길게 끌고 갈 수 있게한 공부한 양도 어마어마해서 존경할만하다. 

오랫만에 만나는 그의 소설이다. 반갑다. 그의 암투병 소식을 들었는데도 장편 소설이 이렇게 세상에 나올 수 있다는 것만으로 신기하고 대단하다 싶다. 

제목에서부터 모순이다. 낯익은<->타인 이게 뭐야.  시작부터 주인공의 이름이 아닌 이니셜 K의 등장. K가 주인공인가보다.  K가 휴일 토요일 아침 자명종 시계 소리에 깨면서 이야기는 시작한다. 늘 자신이 잠자고 일어나는 익숙한 자신의 집이건만 이 사람 헛소리를 한다. 낯설다고 자신이 원래 쓰던 것이 아니라는 둥. 부엌에서 요리를 하고 있는 아내가 자기 아내가 아니라며 혼자 공상에 빠진듯이 이야기를 한다. 

그 전날 밤 기억에서 사라진 자신의 휴대폰과 그 시간동안의 행적을 알아내기 위해서 나서면서 이야기는 점점 더 구체화된다. 처제의 결혼식에서 죽은 줄로만 알았던 장인, 누나JS, 형부 P 등 자기의 지인에서부터 새로이 경험하는 사람들 등이 줄기차게 등장한다.. 계속 다니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주인공의 모습에서 일탈적인 행동을 하기도 하고 스스로 반성하기도 한다.  

거의 마지막 부분에 K1,K2 이 둘이 동시에 등장해서 읽는 나로 하여금 이게 뭐야 하는 상황도 되었지만 누구나 자기와 똑같은 또 다른 누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이 소설이 딱 그렇다면서!! 끝까지 읽어도 그 부분은 뭔가 찜찜한 느낌이 드는 것이 풀리지 않는 숙제같은?

사실 누구나 이런 경험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늘 함께하는 사람인데 낯설게 느껴진다던지 공간도 그런 경우가 있을테니 말이다. 그럴 때마다 이 소설의 주인공 같은 행동과 생각들이 떠오를지도 모르겠는걸!? 이 글은 너무 술술 읽혀서 어떻게 읽었는지 모르겠다. 워낙 글을 잘 쓰는 사람이라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제재도 신선한 것 같고 작가인 그를 또 다른 관점에서 보게 된 것 같아 참 좋았던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