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박현찬,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최근 글쓰기 관련 글들을 좀 읽고 있다. 두서 없이 읽고 있던 차에 이 책을 추천받았다.  

연암의 글쓰기는 익히 잘 알고 있고 감히 범접하기 힘든 그만의 독특한 세계가 분명히 존재함을 알고 있다. 이 책은 어떻게 연암의 글쓰기를 풀어나갈지 궁금했다. 

이 책은 소설형식의 글이다. 그래서 솔직히 낯설었다. 연암의 작품을 우리 말로 풀고 그에 따른 해석&이해하는 방식의 글이 대부분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 책... 나름 액자형식의 소설의 틀을 갖고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다. 

알다시피 연암 박지원의 아들인 박종채가 아버지의 모습을 찾는 과정에서 아버지의 글을 통해 본 이야기가 펼쳐진다. 지문이 연암의 제자가 되면서 연암이 조선시대 문인으로 어떤 생각을 갖고 살았으며 글을 지었는지 그 과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문에게 전하는 스승으로서의 메세지가 결국 연암 본연의 글쓰기와 시각이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지문을 계속 여러 과정으로 시험해보는 연암의 속셈이 조금은 재밌기도 하고 그 속에서 지문이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나름 재밌었다. 이 책 속에 나오는 김조순, 박제가, 정조, 이옥 등.. 조선후기 내노라하는 인물들 등장으로 이게 소설이라 할 수 있나 싶기도 하고 이제껏 내가 생각해왔던 인물의 모습과 또 다른 모습으로 접할 수 있어서 좋았다.  

스토리가 전개되면서 곳곳에 연암의 글쓰기 방식을 배울 수 있었다. 더구나 p.238-239에는 간략하게 정리되어 한눈에 볼 수 있게 되어있어 좋았다. 그런 원리를 보면서 앞으로 연암의 글이 또달리 보일 것 같다는 생각도 해보았다. 이 글은 전공자가 아닌 연암을 아는, 아니 알지 못하는 사람도 소설 읽듯이 쉽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아 좋은 것 같다. 전공자라면 다른 양식의 글로 연암을 새로 볼 수 있는 기회도 될 듯 하다.  

이런 책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인문학의 실종, 쇠퇴라는 말이 나오고 있는 요즘 이런 글들이 대중화된다면 인문학의 필요성, 가치를 새삼 알게 되는 이가 점점 많아지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